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Utilization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via YouTube Chann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4, pp.165-193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16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re organized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the records with a lot of social interest or request for reading.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accessibility of archival contents,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difficult to use and less interesting delivery method, and lack of customized content. As an alternative to this, this study proposed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through YouTube channel.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YouTube channel of the foreign agencies and the National Archives, and evaluate and compare them. Based on this, we propose and apply the process of the archival contents visualization using YouTube. Through this, We expect that the recognition and usability of the contents informa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Records will be improved.

keywords
archival contents, National Archives of Korea, YouTube, 기록정보콘텐츠, 국가기록원, 유튜브

Reference

1.

강주연. (2015).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PBL모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29-54.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3.029.

2.

국가기록원. (2011). 국가기록원 온라인 콘텐츠 가이드북:국가기록원.

3.

국가기록원. (2017). 2017년 기록으로 만나는 대한민국 콘텐츠 개발결과 보고. 국가기록원.

4.

국가기록원. (2018). 2018년 기록콘텐츠-네이버 지식백과 연계추진계획. 국가기록원.

5.

국가기록원. (2018).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자체평가 결과 보고. 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18). 2018년 기록으로 만나는 대한민국 콘텐츠 개발계획(안). 국가기록원.

7.

남승윤. (2017). 유튜브를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 전략 연구 - 국내 로드숍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16(2), 63-81.

8.

박동일. (2012).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홍보영상 콘텐츠 제작 연구 : After Effects Templates 활용을 중심으로.

9.

박민주. (2011).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디자인을 위한 기초조형교육과 실습 방법론. 애니메이션연구, 7(4), 85-105.

10.

박성대. (2014). 영상콘텐츠 제작에서의 영상편집 교육 방법론.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12), 39-48.

11.

박영란. (2017). 대학 수업에서의 유튜브 동영상 활용: 영어신문기사의 배경지식을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18(1), 207-231. http://dx.doi.org/10.16875/stem.2017.18.1.207.

12.

박정이. (2018). 유튜브 브랜드 채널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광고홍보학보, 20(2), 95-151. http://dx.doi.org/10.16914/kjapr.2018.20.2.95.

13.

백진이. (2018). 영국 국립기록보존소(TNA)의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1), 49-7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8.18.1.049.

14.

서윤진. (2015). 국가기록원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5.

송정은. (2013). 유투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 홍콩의 10-20대 유투브(YouTube) 이용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4), 155-169.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4.155.

16.

신주희. (2018). 기록정보콘텐츠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7.

심광현. (2006). 영상제작수업 교육교재 (Ⅱ):원주문화재단,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8.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 203-258.

19.

안사랑. (2014).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25.

20.

양인호. (2010). 기록정보콘텐츠의 품질향상 방안 연구 - 한국·영국·일본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23), 87-139.

21.

염군. (2018). 유튜브 뷰티 채널의 선호도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22.

오픈서베이. (2018). 소셜미디어와 검색포털에 관한 리포트. 오픈서베이.

23.

오효정. (2018). 기록정보콘텐츠 구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1, 21-34.

24.

윤기원. (2015). 협동학습을 위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9-17).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5.

이연정. (2016). 학문목적 한국어 듣기의 학습 효과 제고 방안—강의 청취 능력 향상을 위한 유튜브(YouTube) 활용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67, 333-372.

26.

이윤주. (2007). 기록관의 온라인 서비스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6), 143-201.

27.

이은영. (2011).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에 관한 연구-영국 TNA와 미국 NARA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8), 83-121.

28.

이충희. (2004). 디지털영상의 제작과정과 현황분석 : 모션그래픽과 영화의 비선형편집 사례를 중심으로.

29.

임철일. (2011). EBS 다큐멘터리 콘텐츠의 교육적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미디어와 교육, 1(1), 147-174.

30.

장희정. (2012). 국가기록관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51-70.

31.

전수진. (2008).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127-152.

32.

전화영. (2010).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한 화학 I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4(4), 465-470.

33.

정대영. (2006). 소설의 영상화에 관한 연구 : <서편제>와 <삼포 가는 길>을 중심으로.

34.

정승은. (2016). 스낵컬처 영상에 관한 연구: 72초 대표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24), 75-99.

35.

조윤희. (2008).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문화유산기관 협력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5-21.

36.

조인희. (2013). 한류문화에 영향을 미친 Youtube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가수 싸이(PSY) 신드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2), 9-18.

37.

최민희. (2017). 기록관 홍보를 위한 브랜드웹툰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245-27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1.245.

38.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7). 동영상 플랫폼의 절대 강자, 유튜브의 성장과 변화. KB지식비타민, 17(50), 1-9.

39.

Fleiss, J. L.. (1981). Statistical methods for rates and proportions:John wiley & Sons.

40.

와이즈앱. (2018). 유튜브, 전 연령에서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https://platum.kr/archives/100314.

42.

(2018). 뉴욕 현대 박물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MoMAvideos.

43.

(2018). 대영박물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britishmuseum.

44.

(2018). 대한민국 국가기록원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tk3SPfRDV8VFGQnR7FfsKQ.

45.

(2018).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usnationalarchives.

46.

(2018). 미국 의회도서관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LibraryOfCongress.

47.

(2018). 영국 국립기록보존소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NationalArchives08.

48.

(2018). 캐나다 국립도서기록청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LibraryArchiveCanad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