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cquisition Methods for Disaster Archives Based on the Issue Life Cycl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2, pp.115-139
https://doi.org/10.3743/KOSIM.2018.35.2.11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Due to the value and the importance of preservation of disaster web records, to build disaster archives is globally becoming a national challenge. This study proposes a acquisition methods based on the issue life cycle model for collecting disaster web records. We firstly analyzed web records acquisition status, methods and period of domestic and foreign disaster archives. In addition, the issue life cycle model was deriv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isaster issues in the last 10 year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ssue life cycle model was divided into the sudden type and periodic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 a method to collect web records according to each model and verify its applicability.

keywords
재난 아카이브, 수집 방안, 이슈 생존 주기, 웹 기록물, disaster archives, acquisition methods, issue life cycle, web records

Reference

1.

강주연. (2017).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빙 전략의 실증적 검증 - 유관기관 웹 기록물 자동수집 결과를 통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223-246.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4.223.

2.

김철민. (2015). 대형 재난사고 이슈의 생존주기 분석. 서울도시연구, 16(4), 147-162.

3.

김현정. (2014). 재난 위기 관련 정부 기관 소셜미디어의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광고PR실학연구, 7(4), 60-98. http://dx.doi.org/10.21331/jprapr.2014.7.4.003.

4.

신동희. (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3.001.

5.

유호선. (2018). 재난 사건별 이슈 생존 주기 유형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6(3), 125-134. http://dx.doi.org/10.14801/jkiit.2018.16.3.125.

6.

유호선. (2017).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재난 이슈 생존 주기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5(7), 139-147. http://dx.doi.org/10.14801/jkiit.2017.15.7.139.

7.

이미영. (2009).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 한신·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21), 85-116.

8.

이미옥. (2014). 대구지하철화재참사 기록의 단계별 관리 방안.

9.

이종혁. (2013). 이슈 보도 주기로 관찰된 ‘냄비저널리즘’ 현상 운형함수 방법론 적용. 한국방송학보, 27(4), 206-250.

10.

임지훈. (2017).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기록학연구, (51), 175-208.

11.

장인호. (2014). 정부부처의 페이스북 페이지 기록물 수집·보존·재현 방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2), 117-128.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2.117.

12.

정혜지. (2016). 9/11 컬렉션을 통해 본 재난 기록의 관리 (157-161). 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3.

한희정. (2017). 자동수집 기반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브 설계 및 구축전략.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127-154.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4.127.

14.

Downs, A. (1972). Up and down with ecology-the issue attention cycle. PublicInterests, 28, 38-50.

15.

Hilgartner, S. (1988). The rise and fall of social problems: A public arenas mode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1), 53-78. http://dx.doi.org/10.1086/228951.

16.

(2018). OASIS 재난 아카이브. http://www.oasis.go.kr/collection/mainDisa.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