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n Influence of Record Manager's Job Stress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1, pp.103-127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10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job stresse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levels relating to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rs and study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levels significantly occurs on the depression followed by their job stresses. So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of 9 factors including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record managers, asking them job stresse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levels, and collected 98 questionnaires finally. We analyzed the effect of mediation on the surveyed data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full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level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that, therefore, state anxiety levels of the record managers must be managed to lower their depression levels.

keywords
records management agent, records manager, job stress, depression, state anxiety, mediation,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기록연구사, 직무스트레스, 우울, 상태불안, 매개분석

Reference

1.

김미영. (2011). 콜센터 고객 상담원의 직무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비교 분석. 보건의료산업학회지, 5(2), 187-197.

2.

김지혜. (2014). 중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3.

문유석. (2011).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영향요인. 지방정부연구, 14(4), 41-60.

4.

박숙영. (2017).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5.

박태섭. (2017). IPA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163-192.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1.163.

6.

배점모. (2011).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 비교 연구.

7.

서혜란. (2008). 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235-256.

8.

송혜진. (2013). 기록전문직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부처를 중심으로.

9.

유현경. (2016).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7), 95-130.

10.

윤명숙. (2014).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 미치는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 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2(2), 5-34.

11.

이상현. (2015).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우울증상, 직무스트레스에 영향 연구.

12.

이영학. (2009).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운영 현황과 전망. 기록학연구, (21), 323-353.

13.

이을지. (2016).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1-15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3.131.

14.

이종목. (1988). 직무 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4(1), 241-262.

15.

이종윤. (2013).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181-205.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3.181.

16.

이현아. (2014). 당뇨환자의 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불안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7.

임미경. (2010). 기초자치단체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18.

장세진.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19.

전겸구.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0.

정하영. (2013).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57-85.

21.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1). 직업성 스트레스 조사표 개발: NIOSH 조사표의 한국어판 개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2.

한덕웅.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505-512).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23.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The Guilford Press.

24.

Kahn, R. L.. (1964). Organizational stress :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John Wiley.

25.

Robert Karasek. (1998).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psy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3(4), 322-355. http://dx.doi.org/10.1037/1076-8998.3.4.322.

2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7.

Spielberger, C. D..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8.

Christopher Tennant. (2001). Work-related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1(5), 697-704. http://dx.doi.org/10.1016/S0022-3999(01)00255-0.

2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27460호, 2018.01.01., 일부개정].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