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3, pp.67-8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67
유병희 (덕성여자대학교)
박소연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생의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두 곳의 사립 대학교 대학생들 36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차 조사 결과, 시설 만족도와 교육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을 통제한 상황에서, 대학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 조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변수를 세 가지 차원(직원, 자원 및 서비스, 시설 및 환경)으로 추가하였으며, 분석 결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이 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도서관 이용 만족도는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 또한 두 집단 분석 결과, 도서관 이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보다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대학 도서관 만족도, 대학 생활 만족도, 서비스 품질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test this relationship,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volving 360 college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show that after controlling for the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and facilities satisfaction,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second study added variables for the three components of library service quality (librarian service quality,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 quality, and libr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quality).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library service quality on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and again a significant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wo group analysis show that the influence of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s stronger in high usage group than low usage group.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대학 도서관 만족도, 대학 생활 만족도, 서비스 품질

참고문헌

1.

강보라. (2014).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159-175.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159.

2.

고명철. (2013). 공공서비스 만족도가 지역사회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미국 스폴스시의 경험적 증거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2), 243-270.

3.

김규환. (2007).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135-159.

4.

김보람. (2016). 학교도서관 이용행태가 고등학생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121-128).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5.

김선애. (2008). 대학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 K대학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281-299.

6.

김희섭. (2015).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 유용성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113-129.

7.

노영희. (2017).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1), 45-77.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1.045.

8.

오동근. (2013).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335-361.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4.335.

9.

오동근. (2009).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LCSI) 모형개발 및 측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267-286.

10.

오윤정. (2014).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관계품질, 재이용의도 및 전환의도 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25(3), 33-55.

11.

유병희. (2016). 도서관 이용자가 지각하는 전환비용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4), 159-174.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4.159.

12.

이동진. (2008). 건강관련 웰빙 제품 소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델 연구. 마케팅연구, 23(3), 37-56.

13.

이성신. (2013).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83-103.

14.

이성신. (2013).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지셔닝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279-303.

15.

이성신. (2014). 도서관 마케팅 모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249-270.

16.

이영수. (2014).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209-2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년도 동계 학술발표대회.

17.

이용재. (2012). 공공도서관 마케팅 전략 - 뉴욕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113-137.

18.

장윤금. (2007). 공공도서관의 e-서비스 품질평가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15-329.

19.

Sevda Arslan. (2014). Quality of College Life (QCL) of Students in Turkey: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Identific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115(2), 869-884. http://dx.doi.org/10.1007/s11205-013-0235-9.

20.

Richard P. Bagozzi. (1991). Multitrait-Multimethod Matrice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4), 426-439. http://dx.doi.org/10.1086/208568.

21.

P. M. BENTLER. (2016).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6(1), 78-117. http://dx.doi.org/10.1177/0049124187016001004.

22.

Namho Chung. (2014).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using a booth recommender system service on exhibition attendees’ unplanned visit behavio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0, 59-68. http://dx.doi.org/10.1016/j.chb.2013.07.035.

23.

Cote, J. A.. (1987). Estimating trait, method, and error variance: Generalizing across 70 construct validation studi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 315-318.

24.

Diener, E..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25.

C.W. J. Granger. (1974). Spurious regressions in econometrics. Journal of Econometrics, 2(2), 111-120. http://dx.doi.org/10.1016/0304-4076(74)90034-7.

26.

Herzberg. (1966). The work and the nature of man:The World Publishing Company.

27.

Hooper, D..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Electronic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Methods, 6(1), 53-60.

28.

Dong-Jin Lee. (2015). Effect Symmetry of Benefit Criteria in Postpurchase Evaluations. Psychology & Marketing, 32(6), 651-669. http://dx.doi.org/10.1002/mar.20807.

29.

Nawijn, J.. (2013). Positive Leisure Science:Springer Netherlands.

30.

David B. Newman. (2014). Leisure and Subjective Well-Being: A Model of Psychological Mechanisms as Mediating Fac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5(3), 555-578. http://dx.doi.org/10.1007/s10902-013-9435-x.

31.

M. Joseph Sirgy. (2010). Quality of College Life (QCL) of Students: Further Validation of a Measure of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99(3), 375-390. http://dx.doi.org/10.1007/s11205-010-9587-6.

32.

Sirgy, M. J.. (2004). Further validation and extension of the quality-of-life/community-healthcare model and measur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9, 167-198.

33.

Jerry G. Thursby. (1977). Some Properties of Tests for Specification Error in a Linear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2(359), 635-641. http://dx.doi.org/10.1080/01621459.1977.10480627.

34.

Watson, D..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http://dx.doi.org/10.1037//0022-3514.54.6.1063.

35.

Grace (Byung-Hee) Yu. (2008). A Model of Quality of College Life (QCL) of Students in Korea. Social Indicators Research, 87(2), 269-285. http://dx.doi.org/10.1007/s11205-007-9172-9.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