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위한 과학기술 연구지원 서비스 동향 분석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upport Service Trends for Open Science Era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3, pp.229-24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229
김순 (이화여자대학교)
이보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환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혜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공연구 성과물(출판물 및 데이터)을 디지털 포맷으로 공개하여 이들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가 국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오픈 사이언스의 주요 특징인 공개 연구, 오픈 액세스, 연구데이터 공유, 공개적인 동료 평가, 투명한 연구 성과 평가에 맞추어 연구자 중심의 다양한 연구지원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대비하여 해외의 과학기술정보 서비스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 국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국외의 적극적인 오픈 사이언스 대응현황에 비해 국내에서는 오픈 액세스나 기관 리포지터리 정도만 준비가 되어 있고, 연구데이터 관리나 협력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준비가 미비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정보서비스 기관에서도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대비하여 해외 우수 사례들을 충분히 고찰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 정책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open research, open data, open science, open access,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esearch support, 공개 연구, 데이터 공개, 오픈 사이언스, 오픈 액세스, 과학기술정보, 연구지원

Abstract

Open science project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globally. Publishing the results of public research (publications and data) in digital format and enhancing access to these materials are getting more important. Various research support tools are being used to support open research, open access, open data, open peer review and ope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We analyzed research support services to prepare open science movement in Korea. Korea is not ready for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research collaboration except open access and institutional repositories. It can be seen as an urgent matter to analyze these international open science research support services carefully and reflect them in research support policy and service guideline.

keywords
open research, open data, open science, open access,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esearch support, 공개 연구, 데이터 공개, 오픈 사이언스, 오픈 액세스, 과학기술정보, 연구지원

참고문헌

1.

권나현. (2012). 과학기술분야 R&D 전주기 연구 - 국내 생명 및 나노과학기술 연구자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103-131. http://dx.doi.org/10.4275/KSLIS.2012.46.3.103.

2.

김선태. (2010). 과학데이터 보존 및 활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81-93.

3.

신은자. (2015). 디지털 시대 오픈 데이터 정책의 현황과 과제. 정보관리학회지, 32(3), 49-68.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3.049.

4.

신은정. (2015).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에 관한 OECD 논의 동향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22, 1-21.

5.

신은정. (2016). 오픈 사이언스를 위한 연구 성과물 공개정책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심원식. (2016). 미국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지원 서비스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4), 311-332.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4.311.

7.

심원식. (2015). 인문학 분야 연구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성 증진을 위한 전략 연구 - 기초학문자료센터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155-183.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155.

8.

조재인. (2013). ORCID 기반의 학술 연구 결과물 저자명 식별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45-62.

9.

조재인. (2015). Altmetrics를 통한 연구의 영향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1), 65-81.

10.

Auckland, M.. (2012). Re-skilling for research: An investigation into the role and skills of subject and liaison librarians requir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evolving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rs [report]. Research Libraries UK.

11.

Fecher, B.. (2014). Opening Science: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2.

Norbert Loassau. (2006). e‐Sci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library community. Library Hi Tech, 24(4), 515-528. http://dx.doi.org/10.1108/07378830610715383.

13.

Liz Lyon. (2012). The Informatics Transform: Re-Engineering Libraries for the Data Decad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7(1), 126-138. http://dx.doi.org/10.2218/ijdc.v7i1.220.

14.

Yuri Niyazov. (2016). Open Access Meets Discoverability: Citations to Articles Posted to Academia.edu. PLOS ONE, 11(2), e0148257-.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48257.

15.

OECD. (2015).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OECD Publishing.

16.

Carol Tenopir. (2013). Academic librarians and research data services: preparation and attitudes. IFLA Journal, 39(1), 70-78. http://dx.doi.org/10.1177/0340035212473089.

17.

The Royal Society. (2012). Science as an open enterprise. The Royal Society Policy Centr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