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의 테마전시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및 이용행태 변화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2, pp.27-45
https://doi.org/10.3743/KOSIM.2017.34.2.027
정유라 (연세대학교)
이지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테마전시, 이용자 서비스, 도서관 평가, 사서 역할 인식, public library, theme display, user services, library evaluation, acknowledgement of librarians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keywords
공공도서관, 테마전시, 이용자 서비스, 도서관 평가, 사서 역할 인식, public library, theme display, user services, library evaluation, acknowledgement of librarians

참고문헌

1.

강미혜. (1996). 대학도서관의 전시에 대한 효과분석- 이용자와 사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2), 107-125.

2.

강준만. (2013). 교양영어사전2:인물과사상사.

3.

김용. (2006). 공공도서관의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모형화 및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195-215.

4.

박양하. (2016). 학교도서관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도서추천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79-303.

5.

박준식. (2000). 정보환경의 변화와 사서의 역할변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2), 21-40.

6.

박현희. (2015). 지역 지식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393-412.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393.

7.

송혜지. (2015). 사서 신뢰성과 도서관 가치 인식 간의 관계 연구.

8.

안인자. (2005). 사서직 업무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233-246.

9.

윤영민. (2002). 정보사회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15.

10.

이란주. (200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13.

11.

이해성. (2013). 빅 데이터 시대의 개인화 데이터 큐레이션에 대한 연구 (124-127). 한국산업번역원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2.

장우권. (2014).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345-367.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345.

13.

조찬식.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71-188.

14.

최은주. (2002). 이용자서비스 관련 항목이 공공도서관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2), 165-184.

15.

한나은. (2014). 외국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비교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93-116.

16.

Aguilar, W.. The influence of a book display on circulation in a two-year college library.

17.

Baker, S. L.. (1986). The Display Phenomenon: An Exploration into Factors Causing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Displayed Books. The Library Quarterly, 56(3), 237-257. http://dx.doi.org/10.1086/601769.

18.

Leticia Camacho.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2), 114-124. http://dx.doi.org/10.1080/08963568.2014.883874.

19.

Cochran, G. W.. (1963). Sampling techniques:John Wiley & Sons.

20.

Dutta, D. N.. (1961). Display of books in the library. Journal of library science, 4, 5-8.

21.

D. Yvonne Jones. (2011). Simple Marketing Techniques and Space Planning to Increase Circulation. Collection Management, 36(2), 107-118. http://dx.doi.org/10.1080/01462679.2011.553774.

22.

Riadh Ladhari. (2008). Perceived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and recommendation. Library Management, 29(4/5), 352-366. http://dx.doi.org/10.1108/01435120810869129.

23.

Patricia, E.. (2014). Tips from the experts: Creating a featured book display when most of the books are e-books.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77, -.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