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 및 이용자 관심도 분석: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Media Usage of Government Archival Services and Users' Interestedness: Focused 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6, v.33 no.2, pp.135-15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2.135
최정원 (전북대학교)
강주연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박준형 (전북대학교)
오효정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이용자 중심의 기록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공기록관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를 통해 기존 방식인 단방향이 아닌 쌍방향 활동으로 이용자와 소통을 유도하여 이용자 중심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이용자들의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 트위터를 선정, 2010년부터 2016년 4월 15일까지의 공공기록관과 관련 트윗(tweet)들을 수집하였고, 계량분석과 소셜미디어 분석 방법(노출추이분석, 시계열분석)을 적용하였다. 공공기록관에서 자체적으로 게시한 트윗과 일반 사용자가 게시한 트윗 집합간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공공기록관에 대한 이용자 관심이슈와 시계열에 의한 사회적 이슈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공공기록관 서비스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기록관, 이용자 관심, 소셜미디어, 계량정보분석, archives, users’ interestedness, social media, informetric method

Abstract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user-oriented archives manag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government archives try to serve interactive servic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beyond one-way approach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usage of government archives service in social media and examine users’ interestedness. We especially select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as target government archives and collect tweets from 2010 to 15th April 2016. Our study adopts informetric approaches and social media analysis including buzz analysis, time series analysis. We differentiate between the tweet collection posted by government archives themselves and the other collection generated by general users. Furthermore we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of tweet and social issues and propose application plan for government archives services in social media environment.

keywords
기록관, 이용자 관심, 소셜미디어, 계량정보분석, archives, users’ interestedness, social media, informetric method

참고문헌

1.

강혜경. (2012). 모바일 환경에서의 SNS를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33-58.

2.

김수정. (2011). SNS 적용 기록정보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3.

문소라. (2016).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미디어 특성이 조직-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공중의 지각된 미디어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4.

박성미. (1988). 한국통계학문헌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5(1), 104-130.

5.

박재희. (2013). 트위터 데이터를 통해 본 생활환경 만족도의 공간적 특성 (383-386).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

배정환. (2013).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2012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19(3), 141-156. http://dx.doi.org/10.13088/jiis.2013.19.3.141.

7.

송은지. (2013). 빅 데이터를 이용한 고객평판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10), 2439-2446. http://dx.doi.org/10.6109/jkiice.2013.17.10.2439.

8.

오효정. (2014). 소셜 빅데이터 내용 분석 기반 사용자 그룹별 선호지역 및 이동패턴 시각화.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2(12), 195-203. http://dx.doi.org/10.14801/jkiit.2014.12.12.195.

9.

우경숙. (2014).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보건복지 분야의 시계열 분석 연구 동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5(3), 579-599. http://dx.doi.org/10.7465/jkdi.2014.25.3.579.

10.

윤진영. (2013). 트위터에서 추출한 감기 증상의 사회적 신호와 영향요인과의 상관분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6(6), 667-677. http://dx.doi.org/10.9717/kmms.2013.16.6.667.

11.

이명희. (2002). 내용분석법에 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논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87-310.

12.

이병엽. (2013). 빅 데이터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기법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2), 211-219.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2.211.

13.

이종욱. (2011). 교수연구업적 평가법의 계량적 분석: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업적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8(4), 119-140.

14.

장우권. (1996). 계량정보학의 변천과 응용에 관한 고찰- 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 101-104.

15.

전미녀. (2012). 온라인 소셜미디어에서의 정보 확산 분석을 위한 가시화 시스템 (50-54).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17.

허정. (2014).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 기반 이슈 분석보고서 자동 생성.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3(12), 553-564. http://dx.doi.org/10.3745/KTSDE.2014.3.12.553.

18.

홍주현. (2012). 트위터에서 형성된 정치적 의견 분석을 통한 분화된 공중 연구: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9(3), 138-161.

19.

황동열. (2011). 예술마케팅분야 연구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문화산업연구, 11(2), 63-83.

20.

황윤찬. (2013). 악성 집단 댓글 분석에 의한 SNS 여론 소셜데이터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1(5), 41-51.

21.

Freeman, E. T.. (1984). In the eye of the beholder: Archives administra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American Archivist, 47(2), 111-123. http://dx.doi.org/10.17723/aarc.47.2.a373340078502136.

22.

Pitchard, A.. (1969). Statistical bibliography or bibliometrics. Journal of Documentation, 24, 348-349.

23.

Elizabeth Yakel. (2012). Economic Impact of Government Archiv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155-176.

25.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http://www.kinds.or.kr/.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