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도서관 운영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A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6, v.33 no.1, pp.139-160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139
박현영 (협성대학교 도서관)
이혜영 (동덕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A대학도서관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그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에 속해 있는 E그룹 대학도서관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투입․산출요소의 세 가지 조건과 지역 범주별 조건을 구분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 종합적인 결과는 E그룹의 38개 대학도서관과 A대학도서관은 투입요소를 증가시킴으로써 산출물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 대한 법적․제도적 근간을 마련하여 대학의 구성원들에게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켜야 한다. 둘째, 도서관 이용교육이 교육과정에 편성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책을 빌리고 컴퓨터를 사용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 공간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복합공간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keywords
대학도서관, 자료포락분석, 효율성, 투입요소, 산출요소, university library, data envelopment analysis, effectiveness, input factors, output factors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afte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library. So,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E-group “A” university,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classifying with three conditions about input & output and factors and conditions about regional categori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operate E-group 38 university libraries and “A” University library by increasing input factors to increase outputs. The improvements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stir up member’s recognition on libraries. To this, there is a legal system for university libr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library use education in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mplex space so that the members can borrow books and use it for cultural space and rest space.

keywords
대학도서관, 자료포락분석, 효율성, 투입요소, 산출요소, university library, data envelopment analysis, effectiveness, input factors, output factors

참고문헌

1.

곽영진. (1992).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DEA 적용.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경영논집, 8(1), 255-285.

2.

구승환. (2014). DEA를 이용한 B2B 온라인 쇼핑몰 상품관리 효율성 증대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7), 4237-4245.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237.

3.

김선애. (2005).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21-239.

4.

노영희. (2010).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자원요소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71-88.

5.

박만희. (2008).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한국학술정보.

6.

孫承泰. (1993). DEA方法에 의한 銀行의 經營效率性 測定에 관한 연구.

7.

정영미. (2011). DEA를 적용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301-315.

8.

조성한. (2009). DEA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253-274.

9.

최욱. (2010). HRD 용어사전:한국기업교육학회.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학술정보통계시스템. http://www.rinfo.kr.

11.

한두완. (2002). DEA를 이용한 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75-286.

12.

한하늘. (2009). DEA/Window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의 효율성 추세변화 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0(3), 41-60.

13.

Charnes, A.. (1978). Measuring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2(6), 429-444.

14.

Chen, T.. (1997). A measurement of the resource utilization efficiency for university libra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53, 71-80. http://dx.doi.org/10.1016/s0925-5273(97)00102-3.

15.

Reichmann, G.. (2004). Measuring university library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Libri, 54(2), 67-146. http://dx.doi.org/10.1515/libr.2004.136.

16.

Shim, W.. (2003). Applying DEA technique to library evaluation in academic research libraries. Library Trends, 51(3), 312-332.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