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의 가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Virtual Information Grounds and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Korean Youth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3, v.30 no.4, pp.155-17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155
김성은 (연세대학교)
이지연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상 정보 공간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위한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물리적 정보 공간의 개념을 가상 정보 공간으로 확장하였고, 청소년 시기의 특징을 반영하여 다양한 일상적인 활동과 또래집단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청소년들의 가상 정보 공간과 정보 이용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도서관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추후 학교도서관에서의 정보 서비스 기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가상 정보 공간, 청소년 정보 이용 행태, 일상 정보, virtual information grounds, information use behavior of youths, everyday life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Korean youths in a virtual information grounds. The concept of a physical information ground is expanded to include virtual spaces. A variety of hobbies and peer groups of Korean youths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youths. The study was formulated and conducted using group interviews for pretest and a survey given to respondents who are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and proposals will be used for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nformation services in school libraries.

keywords
가상 정보 공간, 청소년 정보 이용 행태, 일상 정보, virtual information grounds, information use behavior of youths, everyday life information

참고문헌

1.

김미량. (2008). 진지한 여가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

2.

민윤경. (2002). 디지털 정보환경하 기업정보센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75-80). 제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

박성익. (2000).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 행동특성 연구.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4.

박언규. (2011).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용자의 지식 생산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5.

박주범. (2012). 일상적 만남의 담화분석을 통한 정보탐색행위에 관한 연구: 기러기엄마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2), 93-112.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93.

6.

서우석. (2007). 청소년의 여가 활동에 사회경제적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1), 273-302.

7.

설진아. (2010). 10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동기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상관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14(14), 43-72.

8.

안라희. (2002).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점자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209-214). 제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9.

유현종. (2008). 선거에서 정보환경이 유권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대통령선거(제14대-제16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2(4), 157-190.

10.

이시형.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녀교육. 삼성생명공익재단사회정신건강연구소.

11.

이은주. (2011). 대학생의 학습활동에 있어 도서관의 의미 - P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정보행태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105-126.

12.

이정미. (2010). 대학생의 일상생활 및 선거 시기 정보원 이용 행태 비교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3), 117-135.

13.

정진수. (2009).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보이용에 관한 연구의 비판적 분석 I - 학습을 위한 정보이용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43-153.

14.

조윤경. (2008). 미디어 이용과 대인 간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5), 255-274.

15.

지영숙. (2002). 가족여가 유형이 가족체계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자녀교육기의 도시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89-196.

16.

한재용. (2007). 온라인 커뮤니티 유형별 다중비교를 통한 커뮤니티 특성요인의 설명력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17, 219-242.

17.

황진구. (2003). 청소년의 사이버커뮤니티 참여 및 이용실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8.

Agosto, D. E.. (2006). Toward a model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needs of urban teenagers, part 1: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10), 1394-1403.

19.

Agosto, D. E.. (2006). Toward a model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needs of urban teenagers, part 2: Empirical model.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11), 1418-1426.

20.

Chelton, M.. (2004). You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 Theories, models, and issues:Scarecrow Press.

21.

Dervin, B.. (1983). Information as a user construct: The relevance of perceived information needs to synthesis and interpretation, In Knowledge structure and use: Implications for synthesis and interpretation:Temple University Press.

22.

Dresang, E. T.. (1999). More research needed informal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youth on the Internet.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0(12), 1123-1124.

23.

Fisher, K. E.. (2007). Social spaces, casual interactions, meaningful exchanges: ‘Information grou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llege student experience. Information Research, 12(2), -.

24.

Hartel, J.. (2003). The serious leisure frontie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Knowledge Organization, 30(3), 228-238.

25.

Java, A.. (2007). Why we twitter: Understanding microblogging usage and communities (56-65). In Proceedings of the 9th WebKDD and 1st SNA-KDD 2007 Workshop on Web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bKDD/SNA-KDD ’07).

26.

Kelly, J.. (2000). 21st century leisure : Current issues:Allyn & Bacon.

27.

Kuhlthau, C.. (1991). Inside the search process : Information seeking from the user’s perspective.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2(5), 361-371.

28.

Li, C, Bernoff, J.. (2007). How consumers use social networks:Forrester Research, Inc.

29.

박미향. (2011). An Empirical Study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the Baby-boomers as Pre-retirees. 정보관리학회지, 28(2), 195-208.

30.

Pettigrew, K. E.. (1999). Waiting for chiropody: Contextual results from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information behaviour among attendees at community clinic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5(6), 801-817.

31.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2: Do they really think differently?. On the Horizon, 9(6), 1-9.

32.

Savolainen, R.. (1995).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 Approaching information seeking in the context of"way of lif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7(3), 259-294.

33.

Stebbins, R. A.. (1982). Serious leisure : A conceptual statement. Pacific Sociological Review, 25, 251-272.

34.

Stebbins, R. A.. (2001). New directions in the theory and research of serious leisure:Edwin Mellen Press.

35.

Wilson, T. D.. (2000). Human information behavior. Informing Science, 3(2), 49-5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