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09, v.26 no.1, pp.321-35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32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and its efficient operation by analyzing the status quo of the digital rooms in public libraries, which had been built nation-widely about 5 years ago. It is found that it is urgent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infrastructure of them. It is also required to build multi-functional digital rooms and an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or digital rooms.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irst of all, for applicable sections of digital room may be the best alternative. The multi-functional digital rooms can be built, which, in addition to its traditional function, can include a variety of original information resources and function of information creation using application programs, as well as functions such as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online/offline community creation, and activating information sharing. In the future, the digital rooms in public libraries must play a significant role as online/offline spaces, which are not the places for use and access to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 but for information/knowledge sharing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It also must provide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s well as among users themselves.

keywords
public library, digital room, utilizing, operational system, integrated operation, multi-function, information/knowledge sharing, public library, digital room, utilizing, operational system, integrated operation, multi-function, information/knowledge sharing,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운영모델, 통합운영, 기능 다변화, 지식공유

Reference

1.

고영삼. (2007). 정보화 역기능 해소를 위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 탐색.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29-48.

2.

김도승. (2008). 정보화촉진기본법의 개편 과제와 전망. 정보통신정책, 20(9), 1-16.

3.

김판준. (2003).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향후 운영관리 방안. LG CNS.

4.

노영진. (2003). 남산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동위원회.

6.

도태현. (2006).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131-150.

7.

문정희. (2005).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남시 S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을 중심으로.

8.

문화관광부. (2002).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2- 2011):문화관광부.

9.

문화관광부. (2007). 전국적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방안:문화관광부.

10.

배순자. (2004). 지역공공도서관을 활용한 농촌지역의 지역정보화에 대한 전략적 구상. 정보관리학회지, 21(3), 45-60.

11.

서여화. (2006).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실태 분석과 정책 대안 모색-경남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12.

심재민. 2007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 조사.

13.

여위숙. (2007). 인포메이션 코먼스 서비스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중심으로.

14.

오경묵. (2003).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3), 261-276.

15.

이용남. (2007).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협력 체제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53-372.

16.

이재숙. (2004).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17.

이종구. (2005). 정보사회의 이해:미래 M&B.

18.

주디스 A. 시스. (2005). 눈에 띄는 도서관 마케팅:이채.

19.

차미경.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20.

차미경. (2000). 공공도서관 정보화와 정보봉사의 개선.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2, 67-81.

21.

한국도서관협회. (2007). 한국도서관연감:한국도서관협회.

2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지역대표도서관 기반조성 및 운영활성화 방안:동연구원.

23.

한국인터넷진흥원. 테마별 이슈 조사분석 2008-1호, 기획분석: 한중일 인터넷 이용실태 비교.

24.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각국의 정보화 및 혁신을 위한 국가전략 분석.

25.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가정보화백서.

26.

황정숙. (2002). 공공도서관의 전자정보실 이용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27.

McClure, C. R. (1987). Planning and Role Setting for the Public Libraries:ALA.

28.

24/7 Reference Services. http://questionpoint.or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