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web information, 검색결과: 115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경쟁력 및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공공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막대한 공공재원이 투자되는 공공정보시스템은 효율성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한 존재가치의 입증 및 문제점 진단을 통한 성능개선의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웹 기반 공공고용정보시스템 워크넷(Work-Net)의 데이터 및 서비스 품질을 10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도구는 학계에서 많이 사용해온 정보내용, 정확성, 적시성, 출력형태, 사용의 용이성, 지원성으로 구성하였으며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이용자의 특성 및 검색정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구직자들의 고용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 및 민간운영 고용정보시스템 운영체제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 public information system is being expanded, along with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rovide people with better services. And there also is a growing need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that system, as a tremendous amount of public finacial resources is invested in that. To address that need, it's required to make an evaluation of its efficiency on a regular basis to identify its problems and make it work be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quality of data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Work-Net, a Web-based public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2 users of it, and the system was evaluated in terms of content, accuracy, timelines, display format, ease of use and customer support. For data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to see whether or not their view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searched f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lay some foundation for intensify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and private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웹 정보 네비게이션의 개념에 대해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그 개념정의에 따른 핵심적인 특성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웹이 등장한 1995년을 기준으로 최근 2012년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학술지에 출판된 총 32편의 웹 네비게이션 연구 논문들을 정성적 내용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웹 네비게이션 개념의 정의유형과 그 구성요소와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웹 정보 네비게이션 개념은 크게 네비게이션 행위, 네비게이션 전략, 네비게이션 디자인으로 구분되며, 행위적 특성에 따른 네비게이션 유형 비교는 네비게이션 전략과 디자인 요소들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는데 개념적 틀로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notion of web navig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by investigating the concepts and its consequences. The analysis is based on 32 articl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LIS journals between 1995 and 2012. The study noted the changing contexts of information retrieval in the Web environment, and discusses the changes over time in the way in which the notion of navigation have been regarded. Three main concepts are identified: navigation behavior, navigation strategies, and navigation designs.

초록보기
초록

역사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우리 역사에 쉽게 접근하여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역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구축을 통해 정보의 공유 및 재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링크드 데이터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문연구자 중심의 원문 DB구축에서 탈피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 콘텐츠 구축은 여러 기관, 포털, 그리고 일부 개인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으나 정보 공유 및 활용성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적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공유 및 연결을 통한 정보유통 체계를 확보하여 웹상의 다양한 데이터와의 연결로 풍부한 정보제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nyone curious to easily access and learn Korean history has become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data bases, which will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historical information. Furthermore, user demand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reusability, available through setting up a semantic web, have been increased, which have taken the shape of linked data.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struct public data bases containing readily usable contents a user can understand and utilize with ease. They have been produced by several organizations, portal sites, and individuals, trying to deviate from existing mainstreams - expert-based text data bases. A problem with those data bases is that they have not considered such vital factors as the sharing and utilizing of information as a whole. This study suggests a LOD-based Korean history contents implementation system, providing rich information environment by way of multi-dimensional web-data connections. In doing so, this system has tried a historic information circulation service system which is based on information sharing and connecting.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Policy information is very valuable around the nation in its aspects of uniqueness, professionalism and specificity, so it has great significances to individual citiz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instruments for anyone to have easy access to policy information owned by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particularly, it is so impending to develop efficient policy information service(PIS) system. Indeed, however, Korea doesn’t have yet established any policy or system to make policy information available en bloc to citize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to analyze actual profile of Korean policy information circulating institutions, and is also to analyze needs for domestic circulation of policy information, so that it can seek possible ways to consolidate domestic scattered policy information into a nationwide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national policy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Kore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구술자료 아카이브 정보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구술기록물의 생산, 수집절차, 접근의 용이성, 저작권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설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안과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활용 가능한 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내외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5개 기관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평가용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on production, procedures of collection, accessibility, copyright of archival records for designing oral history archive information system, and aimed to suggest practical standards by developing 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building of web oral history archives. For this, based on evaluation framework, guidelines for evaluation designed by researchers were applied to five domestic and foreign web oral history archives as case study analysis. Base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ome possible suggestions were made for building successful web oral history archive information system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and the value of Web resources as an academic information in writing a paper by citation analysis. In this study each articles from five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LIS and computers, published from 1999 to 2000, was selected for cit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ited the most, and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the least, in terms of average number of citing Web resources. In respect of citing rate of Web resources Communica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as high to 22% of all cited documents,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was the second as high as 18.5%. Articles from selected journals have been increased in citing Web resources form 1999 to 2002. However,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appears to be decreased, instead.

초록보기
초록

최근에 이르러 차세대 웹 아키텍처인 시멘틱 웹에 관한 연구와 투자에 대한 관심이 계속해서 증대되고 있다. 정보학적인 관점에서, 차세대 웹 아키텍처인 시멘틱 웹은 하나의 거대한 메타데이터 조직으로 볼 수 있다. 시멘틱 웹을 거대한 메타데이터 조직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시멘틱 웹을 구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웹 정보자원에 대한 정형화된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며, 이용자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멘틱 웹 환경 하에서 서로 다른 정보체계구조를 지닌 개방형 전자도서관간의 상호운영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의 응용프로화일 메타데이터구조를 개발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응용프로화일 메타데이터구조를 토대로, 개방형도서관모델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대규모 메타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공동서지목록 자동생성 및 통합검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web - the Semantic Web. From the perspective of a information science, the next generation web - Semantic Web is a metadata initiative. It is reason that One of important stage of Semantic Web Construction is adding formal metadata that describes a Web resource's content and so people can find easy material using metadata. In this paper, We designed new application profile metadata architecture as a way to serve as interoperability between various open digital libraries using different information architecture in Semantic Web environment. Based on new application profile metadata architecture, we developed union catalog automatic generation and union search algorithm to integrate heterogeneous huge-scale metadata in open digital library.

28
진주영(명지대학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8, Vol.35, No.1, pp.183-203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183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 정보이용환경이 웹으로 변화하면서, 기록관리기관들도 종전보다 더 많은 서비스를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최근 유입경로와 10년 반 동안 매달 상위 100개의 검색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기록정보서비스방안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유입경로는 크게 포털 사이트별 접속, 국가별 접속, 유사기관별 접속 및 모바일 접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용자들의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이 10년 반 동안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는 ‘토지조사부’였으며, 꾸준한 관심을 갖고 검색한 검색어 또한 ‘토지조사부’였다. 그 외에 정부 기관에서 생산한 문서 또는 관보에 대한 관심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와 꾸준히 등장한 검색어를 파악한 결과, 검색어들을 크게 토지, 일제강점기, 6․25 전쟁과 남북관계, 기록관리 및 이용으로 묶어볼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포털 사이트 및 모바일 등을 활용한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의 연계성 강화와 검색 서비스의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이렇게 웹로그나 이용자 검색어 등을 분석하면 기록관리기관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s the users’ information use environment changes to the Web, the archives are providing more services on the Web than b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users’ recent inflow route and the highly ranked 100 search terms of each month for 10 and half years in the Web site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suggests suitable inform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 inflow route could be divided into access from portal site, by country, from related institutions, and via mobile plat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arch terms of users for the last 10 and half years,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term turned out to be ‘Land Survey Register’, which was also the search term that was searched for with steady interests for 10 and half years. Also, other government documents or official gazettes were of great interests to users. As results of identifying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and steadily searched terms, we were able to categorize the search terms largely in terms of l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records management and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strengthening connec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Web site with portal sites and mobile, and upgrading and improving search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nalysis of Web log and user search terms would yield meaningful results that could enhance the user services in archives.

29
유수연(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6, Vol.23, No.2, pp.81-96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81
초록보기
초록

웹기반 학술정보 커뮤니케이션이 보편화되고 정보공급자 및 이용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확산되는 등 원문서비스 환경의 변화는 원문서비스 기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웹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원문을 제공하는 전자원문서비스의 등장은 전자형태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복제 및 배포로 인하여 그 운영에 있어서 저작권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원문서비스 환경의 주요 변화와 동향을 검토하고, 해외 전자원문서비스 사례를 파악함으로써 국내 웹기반 원문서비스인 e-DDS가 국내 저작권법에서 이슈가 되는 부분 및 향후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Abstract

Changes in document delivery service environment such as spread of web-based research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document delivery service institutes. Swift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allowed users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ir desktops via web. Web-based document delivery makes the massive scale of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possible so it need to protect the copyright holders' rights.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trends and issues of document delivery service environment and reviews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foreign countries. Also this study introduces the domestic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 e-DDS, and evaluates the copyright issues for the service.

30
박성재(Florida State University) ; Bradley Wade Bishop(University of Kentucky) 2011, Vol.28, No.2, pp.159-175 https://doi.org/10.3743/KOSIM.2011.28.2.15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navigability of three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navigability of all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With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web-based survey congruent with a think aloud and systematic observation for individual participants, followed up by a focus group with all participants.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or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that include a standard click and drag panning function in mapping applications, a scaled zooming option, increased text for icons and buttons, and other potential changes to computer hardware for increased navigability in these applications. By improving the navigability of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the learning time may be reduced for each application and the speed at which users’ geographic information needs are met will be quicker.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