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검색결과: 4
1
강보라(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희섭(경북대학교) 2017, Vol.34, No.3, pp.49-66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librarie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78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272 major LIS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during last ten years-period, i.e., 2007-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the results,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and ‘E Book’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and ‘E Resource’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Finally,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and ‘Librarian’ seem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2
정힘찬(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7, Vol.34, No.2, pp.137-158 https://doi.org/10.3743/KOSIM.2017.34.2.137
초록보기
초록

재난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공유, 활용하는 협조 과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재난안전 유관기관별로 다양한 재난안전정보가 생산 및 관리되고 있지만, 각 기관별로 개별적인 용어와 의미를 정의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는 재난안전정보를 검색하고 접근하려는 실무자 입장에서 큰 걸림돌이며, 기관별 정보 활용도를 저해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난안전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의 표준화 작업의 선행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유관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휘자원의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집된 어휘자원을 대상으로 정보제공자 및 이용자 관점에서의 활용도 분석을 통해 어휘 그룹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해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Disaster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body, and the property. For effective and rapid disaster responses, coordination process based on sharing and utilizing disaster information is the essential requirement Disaster and safety control agencies produce and manage heterogeneous information. They also develop and use word dictionaries individually. This is a major obstacle to retrieve and access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in terms of practitioners. To solve this problem, standardization of lexical resources related disaster and safety is essentially requir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current status analysis about lexical resources in disaster and safety domain. Consequently,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xical groups. And then we proposed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4
이은정(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1, pp.73-11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 및 교과연계와 도서관의 자원 활용을 아우르는 협력모델로 이벤트 체험과 컬렉션 체험의 융합 프로그램인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효과와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 및 질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효과로 학생들의 독서와 도서관의 역할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벤트컬렉션이 주제분류에 의한 자료배열로서는 제공할 수 없는 특정 관심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 발견 및 그 깊이와 범위의 확장을 통한 지식의 구조화를 지원하고, 전시이벤트 형식의 체험마케팅 요소를 통해 독서자료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공유와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자기주도적 독서에 효과적인 도구임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s of event collection programs, which are integrated programs with event experience and collection experience as a cooperation model that combines school education and library resources as course-related materials. For the purpose, a triangulated analysis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as conducted.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d an event collection program’s effectiveness which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participated students’ reading and perceptions on the roles of their school libraries. The event collection supported the students to self-construct their knowledge by exploring information with the provision of a collection with various materials on a topic, which would be hardly provided within the traditional library subject classification, and that the event collection program could be a useful tool for self-directed reading due to its promotion of interac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among materials and the participated students by functional factors of experiential marketing.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