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niversity library website, 검색결과: 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실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웹사이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C대학교 웹사이트에서 이루어진 이용자들의 트래픽을 분석하여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웹사이트의 분석 툴로는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하였다. 웹 트래픽 변수는 세션, 사용자,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수, 평균 세션 시간, 이탈률을 측정지표를 기준으로 이용자 일반적 특성, 사용자환경 분석, 방문 분석, 유입분석, 사이트 분석 5가지로 구분지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이용자 일반적 특성을 분석 결과에서 웹사이트 접속 위치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일부 접속이 있었다. 2) 사용자 환경 분석에서는 주 이용 브라우저 유형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나타났다. 다음 순위는 크롬이었으며, 3위와 4위인 Safari로 이탈률이 익스클로러나 크롬의 두 배에 달했다. 화면 해상도에서는 1920x1080 해상도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환경에서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입 매체 분석에서는 직접 유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사이트 분석에서는 총 페이지뷰 수인 4,534,084 페이지 중 최다 페이지뷰를 차지한 페이지는 메인페이지 다음으로 대출/연장/이력/예약 페이지, 학술DB 페이지, 소장자료 페이지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use data of the websites of university libraries, analyzes the users’ usage behavior,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websites. The study analyzed users’ traffic and analyzed their usage behavior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8 on the C University website. The website’s analysis tool used ‘Google Analytics’. The web traffic variables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user general characteristics, user environment analysis, visit analysis, inflow analysis, site analysis, and site analysis based on the metrics of sessions, users, page views, pages per session, average session time, and bounce rate. As a result, 1) In the analysis resul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users, there was some access to the websit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2) In the user experience analysis, the main browser type appeared as Internet Explorer. The next place was Chrome, with a bounce rate of Safari, third and fourth, double that of the Explore or Chrome. In terms of screen resolution, 1920x1080 resolu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with access in a variety of other environments. 3) Direct inflow was the highest in the inflow media analysis. 4) The site analysis showed the most page views out of 4,534,084 pages, followed by the main page, followed by the lending/extension/history/booking page, the academic DB page, and the collection page.

2
이선우(한국교육학술정보원 KORUS 연구원) ; 장우권(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1, Vol.38, No.3, pp.141-174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14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COVID-19 발병 전후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실제 이용 데이터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바이러스 발병 이전과 이후의 데이터를 대조하여,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이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C대학교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진 이용자 트래픽을 ‘구글애널리틱스를 활용하여’, COVID-19 바이러스가 발병하기 이전인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와 바이러스 발병 이후인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웹 트래픽 변수는 세션, 사용자,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 수, 평균 세션 시간, 이탈률을 측정지표를 기준으로 ‘이용자 정보’, ‘경로’, ‘사이트 행동’ 3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COVID-19 발병 이전 1월 1일부터 1월 20일까지의 데이터와 대조했을 때, 2018년 이후 사용자, 신규방문자, 세션 모두 3년 동안 감소하였지만, 2020년은 2019년 대비 사용자, 신규 방문자, 세션 모두 증가하였으며, 2020년 바이러스 발병 이전 상승세를 보였던 사용자당 세션 수,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추이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재학생이 가장 적었던 2020년, 2018년 대비 2020년에 페이지뷰가 10만 뷰 더 증가했으며, 세션당 페이지 수 역시 2018년 대비 약 2페이지를 더 조회한 10.46을 기록했다. 이탈률 역시 2018년, 2019년 14.38을 기록한데 반해, 2020년 1% 포인트 가량 감소한 13.05를 기록하여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격상한 시점에, 더욱 활발한 홈페이지 이용이 이루어졌다.

Abstract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actual usage data of the university library website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the usage behavior of users was analyzed, and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virus outbreak was compared, so that university libraries can provide more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s in a pandemic situation. We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improve it. In this study, the user traffic made on the website of University C was ‘using Google Analytic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8 before the oneself of the COVID-19 virus and from January 2020 to 2020 after the outbreak of the viru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ntil December. Web traffic variable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characteristics: ‘User information’, ‘Path’, and ‘Site behavior’ based on metrics such as session, user, number of pageviews, number of pages per session time, and bounce rate.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first, when compared with data from January 1 to January 20 before the oneself of COVID-19, users, new visitors, and sessions all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 number of sessions per user, number of pageviews, and number of pages per session, which showed an upward trend before the virus outbreak in 2020,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as social distancing was upgraded to the second stage,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use of university library websites. In 2020 and 2018, when the number os students was the lowest, the number of page views increased by 100,000 more in 2020 compared to 2018, and the number of pages per session also recorded10.46, which was about 2 more pages compared to 2018. The bounce rate also recorded 14.38 in 2018 and 2019, but decreased by 1 percentage point to 13.05 in 2020, which led to more active use of the website at a time when social distancing was raised.

3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2005, Vol.22, No.4, pp.197-220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1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교수연구지원을 위해 기여하는 서비스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교수연구지원을 위해 그들의 정보요구에 부합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가를 알아보며,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한 학술연구정보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로드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에 따라 변화되어 온 대학도서관 발전의 문제점과 이로 인한 대학도서관의 교수연구지원서비스의 한계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외의 12개 대학 도서관의 교수연구지원서비스 활동을 개관하고 분석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의 보다 진취적인 교수연구지원 서비스를 위한 벤치마킹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서비스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수 연구지원을 위한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서비스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일대일, “mass-personalized services”를 제시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one-stop service execution wheel”을 토대로 한 교수연구지원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faculty research support systems in university libraries, assess their service performance for faculty research, and suggest the need and roadmap for new service development. We perform in-depth analyses of not only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criteria as part of the overall university evaluation criteria, but also ten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wo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orough benchmarking studies reveal the problems of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criteria in its advances and limitations of current faculty support service systems. Especially this research suggests to develop a one-stop service execution wheel for the roadmap for the faculty research support system which is based 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for one-to-one, mass- personalized services to the faculty.

초록보기
초록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터넷의 활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가상공간에서 중요 매체가 되는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웹사이트에 대한 올바른 수준 평가는 웹사이트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웹사이트 평가요소가 사용자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대한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웹사이트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평가요소를 디자인,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뢰감, 운영관리라는 5 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고, 사용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내생 변수로 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한 다음,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만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가장 영향을 받으며, 재방문 의도는 콘텐츠와 사용자에 대한 신뢰감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는 사용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 간에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s time goes by, the function and role of website become more important. Therefore, it is very critical to evaluate and improve continuously the website to the purpose. Many previous studies show that some website evaluation factors will influence the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to the website. The websit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website evalu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assessment criteria which are design, contents, user interface, reliability, and site management. In the results, some significant suggestions were found out. User satisfaction is seriously affected by user interface, and user's intention to revisit is influenced by contents and reliability, but there may not be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 Besides, the evaluation method in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to the new website-improving approach of website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도서관 및 정보이용안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도서관 FAQ의 구조적 특성과 질의내용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FAQ의 접근단계와 환경변화에 따른 안내항목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이용법과 관련된 도서내용과 FAQ질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이 추가되거나 강화되어야 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 이용에 관한 FAQ의 작성과 관련하여 포함되어야 할 사항의 결정은 물론 도서관 정보이용 교재개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ibrary users with the effective way of use on academic library and its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enu structure and question contents appearing at the FAQs of academic library Website were analyzed. And also, guidelines for effective use of a university library via FAQ at different access stages were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both a Web designer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t library FAQs and a creator of a library use guidebook.

초록보기
초록

공공 연구기금을 지원받아 산출된 연구 성과물을 온라인상에 디지털 형태로 공개하여 이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가 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면서, 미국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에 부응하는 연구지원 서비스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OECD가 제시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 3대 이행 수단 중에서 ‘역량강화’는 도서관의 연구지원 서비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미국 13개 유수 대학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 정책에 대해 최근 문헌과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미국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 모범 서비스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19개 연구중심대학의 도서관 홈페이지와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은 미국 대학도서관과 비교했을 때 오픈액세스나 연구 데이터관리 등에 대한 서비스 개발 경험과 전문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대학도서관의 우수 사례를 기반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학술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지원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도서관에서 오픈 사이언스 시대에 필요한 연구지원 서비스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를 도입하여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Open Science Project, which enables users to access and utilize public research results in a digital format, is being actively promoted overseas, and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are interested in research support service. Among the three OECD implementation measures, ‘capacity building’ can be effectively prepared through librarians’ research support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cy of research support service implemented in leading American 13 university libraries in preparation for the open science era focusing on the recent literatures and library websites. Based on the best cases of research support service of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I analyzed the homepage of 19 domestic research universities’ library focusing on scholarly communication service and suggested improvements. In Korea, open access service and management of research data are lacking in terms of experience and expertise. This study result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when establishing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plan needed in the open science era in the university library and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research ability of domestic researchers by introducing internationally competitive research support servic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