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niversities, 검색결과: 173
초록보기
초록

기관 레포지토리는 대학의 지적 생산물에 대한 장기적 보존과 신속한 배포 뿐 아니라 상업출판사 구도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변화시키기 위한 주요 수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dCollection 시스템이 기관의 생산물을 수집․보존하는 한편 전국적으로 공유․유통시키기 위한 핵심 운영 도구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dCollection 시스템은 연구 성과 공표를 통해 기관의 존립 이유를 설명하고 더 나아가 오픈 엑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대학의 자발적 운영 도구라고 말하긴 어렵다. 한편, 일본은 우리나라와 같이 문부성의 ‘차세대 기반 구축 사업’ 등에 의해 기관 레포지토리 운영을 확산시키고 있는데, 그 속도는 상대적으로 저조하지만, 개별 대학이 자발적으로 본연의 기능을 실현하고 운영 기술을 성숙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상이한 전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 지원 정책과 레포지토리의 발전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 기관 레포지토리의 발전 과제를 조망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셀프 아카이빙 활성화를 위해 학협회 저작권정책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운영이 시급하며, 연구업적 시스템 등 학내 시스템과의 연동, 다양한 컨텐츠의 등록, 외부 발신 체계 강화 등 기관이 자발적으로 레포지토리 운영 능력을 성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IR(Institutional Repository) is an indispensable instrument for not only long time preservation of intellectual products but also for shifting commercial publishing company-dominated academic communication stream. In Korea, dCollection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contributed on immediate, integrated circulation of distributed research products. dCollection is already one of the few integrating instrument for distributed academic resources, but it has not been university's voluntary instrument to announce their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to realize open access. On the other hand, Japanese government has promoted universities' IR operation through “Next gener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Even though distributing speed is relatively low, each university made ripe operating skill by their selves and realize its own purpose.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policy and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in Korea and Japan from various viewpoints. And also it proposed directions of development about Korean Institutional Reposito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전자저널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사례조사로서 국내외 6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를 접근, 목록, 이용자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전자저널의 선정 및 구독 현황을 비롯하여 크게 8개 항목으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의 효과적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8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In order to do that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he case studies involved six university libraries, which were analyzed based on accessing, cataloging and user services.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rty-seven items in eight parts, including selection and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were distributed to the libratians who were in charge of managing electronic journals. Following an analysis on the survey, guideline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of electronic journals were suggested.

103
최상희(학술진흥재단 BK21, NURI 사업관리위원회) 2007, Vol.24, No.1, pp.367-383 https://doi.org/10.3743/KOSIM.2007.24.1.367
초록보기
초록

통신기술과 정보기기의 발달로 대학에서 교육과정에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어 저작권이 있는 정보를 윤리적, 합법적으로 교육 자료로 사용하게 될 경우 인지해야할 사항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에 필요한 교육적 목적의 정보 공정사용에 관련한 저작권법과 각종 지침을 분석한 후 대학도서관에서 교육자와 학생에게 인지시켜야 할 주요 개념을 도출하여 대학도서관이 정보 공정사용 지침에 포함해야 할 주요 영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역별로 도출된 주요 개념들이 국내 대학 도서관 사이트에서 적절하게 교육자와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Abstract

Due to the radical changes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becomes indispensable for educators and students of university to learn how to use copyrighted works ethically and legally without violating the copyright law. As a result, academic libraries need to take responsibilities to inform them fair use criteria and to provide proper fair use guidelines. This study analysed various fair use guidelines for them and copyright law to identify key areas of fair use guideline for the academic libraries. It also investigated 10 university libraries' web sites to find that the identified key areas are delivered to the educators and students.

초록보기
초록

북아이오와주립 대학도서관은 우수한 교양 커리큘럼을 지원하는 개별화 학습 환경과 다양한 지적, 문화적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1987년부터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하여 현재 5년 단위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최근 전략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는가에 대한 성과측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아이오와주립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2004-2009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략을 균형성과표의 네 관점으로 전환하는 BSC 모형과 전략지도를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각 관점별 전략적 목적을 측정하는 핵심성과측정지표와 이를 이끄는 동인들의 인과관계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University of Northern Iowa Rod Library has mission statement that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founded on the strong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o supporting an intellectually and culturally diverse community. The Rod Library has been developing the strategic plans by 5 years since 1987. Recently, the strategy has been faced need to measure of performance how much does make it up. This study developed the BSC model and the strategy map that analyze the strategic plan 2004-2009 of the University of Northern Iowa Rod library and transfer the strategy into the four perspectives of BSC.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success performance indicators measuring the strategic goals of each perspectives and the cause-effect model driving the lead indicators of performance.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자원의 영구보존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자원의 고유의 속성과 변화를 설명해주는 지적 정보 즉 보존 메타데이터가 구조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표기되어야 한다. 보존 메타데이터는 외부적/내부적 변화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원하는 진본 데이터에 접근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자원을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202년 OAIS 참조모형(ISO 14721 )이 보존 메타데이터 표준을 권고한 이후 외국의 여러 국가 디지털도서관에서는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보존 메타데이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OAIS가 권고한 정보모델과 디지털자원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서 외국 도서관에서 개발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어떻게 보존 메타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들이 대학도서관에 적합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디지털자원의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reservation metadata which is defined the property and his tory of changes must be describes logically and structurally for implementing long-term digital preservation. The thentic digital resources and the managers of digital archives to manage and preserve more ef fectively the digital resources. his paper is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relating to digital preservation metadata including f OAIS and outlines some library-based projects. Next, the paper investigates how to dev elop and use the preservation metadata in university libraries and what is the core preservat ion metadata elements. Finally, 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with broad aplicability to digital preserv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106
김현희(명지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 곽병희(전북대학교) ; 안태경(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Vol.22, No.3, pp.103-127 https://doi.org/10.3743/KOSIM.2005.22.3.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두 단계를 거쳐서, 즉 리포지토리 운영에 필요한 이슈들을 제시한 SPARC 체크리스트 문헌 등을 분석하고(제 1 단계), 16개 국내외 대학의 리포지토리 운영현황을 사례 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후(제 2 단계), 리포지토리 운영에 중요한 여섯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여섯가지 요인인 ①학내 합의 형성과 운영 체제, ②콘텐츠, ③지식 재산권, ④학내 동종 사업과의 제휴, ⑤기술과 시스템 및 ⑥도서리를 앞으로 구축할 계획 중인 대학은 물론 이미 구축된 리포지토리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대학에 하나의 지침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the management model o f the institutional repositories for the efficient di ational knowledge focusing on the dCollec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by KERIS (service provider ). In order to build the management model, the two steps were utilized.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the checklists epository implement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ne is to sur vey the current status of the sixteen domestic and foreign in stitutional repositories through interviews, surveys and email hrough the two steps, the management model including six components such as content and l ibrarian role was proposed. The proposed management model will be utilized to suply guide s both to the universities which plan to build their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to the universities which try to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ir repositories.

초록보기
초록

LC나 OCLC에서 RDA 서지레코드를 반입함에 따라 RDA 규칙 적용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RDA에는 여러 대안과 선택사항이 포함되어 있어 규칙을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RDA 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LC RDA 지침을 분석하고, 사례로 시카고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스탠포드대학교의 3개 도서관에서 RDA 적용 방안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LC RDA 지침을 바탕으로 RDA 레코드를 작성하였으나 각 기관별로 특정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즉 책임사항 기술시 모든 창작자를 기술하는 것뿐만 아니라 첫 번째 창작자만을 기술하도록 예외조항을 두었다. 발행사항에서 도서관에 따라 일부는 260 필드를 일부는 264 필드를 사용하였다. 자원유형 기술에서 33X 필드를 거의 모든 도서관이 입력하였으며, 일부 도서관은 RDA로 구축되지 않은 레코드에 대해 GMD와 33X 필드를 모두 기술하였다.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에서 RDA 적용시 고려할 사항으로 첫째, RDA 규칙 및 LC RDA 지침을 준용하되, 기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변형 적용해야 한다. 둘째, 반입한 레코드 중 RDA 서지레코드가 아닌 경우 최소한의 RDA 요소를 입력하는 하이브리드레코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33X 필드에 다양한 자원유형 용어가 기술되는 만큼 효과적인 이용자 화면 출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applying RDA in building up the bibliographic records by importing RDA records from LC or OCLC in Korea. Especially, it is not easy to apply RDA appropriately because there are many alternatives and options in RDA. Therefore, this study is to grasp the way for applying RDA in building up the bibliographic records by reviewing LC RDA guidelines and analyzing RDA cataloging policies of libraries such as University of Chicago,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nd Standford University. As a result, these libraries have catalogued according to LC RDA guidelines and each library has its own guidelines, i.e., in statement of responsibilities, to transcribe all but exceptionally allow to transcribe only first, in publication statement, to use 264 field or 260 field, and in resource types, to transcribe all types of content, media and carrier or to transcribe 33X with GMD. Therefore followings would be considered for RDA application. First, some variations could be allowed for special situations of libraries in applying RDA and LC RDA guidelines. Second, the hybrid records that describe the core element of RDA to non-RDA records would be written in processing AACR2 to RDA. Third, the display of 33X field would be designed for expressing the resource typ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서비스 회복 공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 회복 노력들이 이용자의 만족과 재이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학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45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파악하였다. 첫째,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강할수록 서비스 회복을 위한 공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서비스 회복을 위한 서비스 회복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는 높아진다. 셋째, 서비스 회복의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재이용과 추천 의도는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서비스 실패에 대한 서비스 회복 노력으로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가 다시 찾거나 다른 이용자에게 이용을 권유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formation service failure severity within existing framework of service recovery justice research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attribution of service recoveries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For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45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gather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information service failures of university library. Som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failure severity has negative effect on service recovery justice. Second,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recovery justice has positive effect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Third, service recovery justi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Finally, recovered us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user revisit and mouth of word.

109
황금숙(대림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2007, Vol.24, No.4, pp.345-374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345
초록보기
초록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과 더불어 주요한 고등인력 양성기관임과 동시에 수적으로도 막중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에는 전문대학도서관만의 열악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대학도서관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만이 제시되고 있어서 전문대학도서관은 여전히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도서관들의 현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 할 정책을 6가지로 나누어 제안하고 있다. 즉, 전문대학 특성에 따른 장서개발, 전문대학 특성화에 따른 주제전문 도서관 구축, 전문대학도서관간 상호협력 강화, 전문대학도서관 서비스 강화, 전문대학도서관 법적 개선 및 평가지표 개발, 수요조사 연구 및 서비스 품질 평가 등이다.

Abstract

Community colleges are key constituent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long with four-year universities. The number of community colleges in Korea also holds significance. However, the main focus of the Master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decisively lies in university libraries, with little consideration to the poor condition of community college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of community college libraries by conducting a document research on their current standing and, based on that, to present six policy proposals for government support. They are a) to develop library collections based on the school specialty, b) to build theme-oriented libraries, c)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libraries, d) to reinforce capacities for library service, e) to improve legal status of community college libraries and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 and to estimate demand and evaluate service quality.

110
이정윤(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김학래(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189-21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189
초록보기
초록

문헌정보학 전공자는 사서직 공무원,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도서관 분야로 취업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최근의 정보기술 발전과 직업관의 변화는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를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진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대학의 전공 또는 직업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지속적인 진로탐색을 위해 애자일 방식으로 설문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탐색 조사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헌정보학 전공자는 사회변화에 따라 급여, 가치관에 대한 변화가 있고, 사서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직종을 희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탐색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Individual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typically find employment in the library sector, such as working as librarians, university librarians, and in public libraries. Recent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hifts in work outlooks have broadened the profess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majoring in LIS in several sectors. Research on career exploration varies based on the university major or occupation.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conducting surveys and analyzing data efficiently to support ongoing career explor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LIS. It also examines the findings of a career exploration survey conducted among LIS majors. The survey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majoring in LIS are adapting their salary expectations and priorities in alignment with societal shifts, showing a preference for diverse career opportunities outside traditional librarian roles. Effective support and ongoing research are essential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LIS majors in this environmen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