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public library, 검색결과: 22
11
김은형(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2023, Vol.40, No.2, pp.81-114 https://doi.org/10.3743/KOSIM.2023.40.2.0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대내․외 환경변화와 정책적 지원방안에 따라 업무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분석된 현장사서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도서관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에 따른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별 기관 내 도서관 위상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도서관 발전계획 중요도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58.3%, 도서관으로서 본연의 역할 수행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술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중 전문도서관 및 운영평가 인식에서는 국가 공공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5년간 발전전략 중 우선 시행되어야 할 정책으로는 전문도서관 현황 갱신 및 조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넷째, 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 및 개선지표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공기업 평가 항목에서 “기관 도서관 운영 평가” 항목의 가중치 부여가 평균 4.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도서관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전문도서관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학술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pecialized librarians, and the impact on the work area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measures was analyz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library development and policy suggestions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58.3% of the negative opinion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library development plans were positive in recognition of the role of library status within individual institution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it was found that awareness of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was necessar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ajor functions and roles. Third, among the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s, the recogni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operational evaluation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of the expansion of national public information services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ive-year development strategies, the policy that should be implemented first is the preference for updating the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investig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ive alternatives and improvement indicator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in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the weighting of the “institu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item in the evaluation item of public enterprises was the highest at 4.01 on average.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it was recognized as the most urgent task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as well as active academic research and support them.

12
최만호(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윤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1, Vol.38, No.1, pp.1-23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001
초록보기
초록

2013년,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단지에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는 규정 제정과 정부의 ‘생활 SOC 사업’에 따라 작은도서관이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다. 광명시의 경우, 2020년을 시민과 함께 권한을 나누는 ‘주민자치의 해’로 정하고, 이의 일환으로 생활문화공간을 대폭 확대한다고 공표하였다. 이처럼 사회 환경 및 이용자의 요구가 변화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광명시 작은도서관은 이에 대응하는 중장기계획 실천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사회 환경 및 이용자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명시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하였다. 첫째, 운영제도 개선을 위해 지원제도 개선, 공공도서관의 협력체계 강화 및 공립 작은도서관의 역할 강화, 사립 작은도서관의 공공성 강화, 역량별 평가를 통한 차등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작은도서관 운영 전문성 강화를 위해 순회사서 및 전문가 봉사자 활용, 상호대차를 통한 자료 공유, 임기제 협력사서, 권역별 작은도서관 협의회 활성화가 필요하다.

Abstract

Small libraries have continued to be extended since 2013 enactment of regulations requiring establishment of small libraries in multi family housing complex not less than 500 households and the ‘Living SOC Project’ of national government. Gwangmyeong city designated the year of 2020 as the ‘year of citizen autonomy’ sharing the authority with citizens and publicly announced its plan to rapidly extend the living and cultural spaces as a part of that extension. Likewise, as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need of users are expected to change, it seems that the small libraries in Gyangmyeong City must prepare a plan for practicing a long and mid term practices in responding to that change. Thus, this Study tries to make a suggestion for a plan for the policy for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order to handle thos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e need of users. For this, a survey and in-depth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the operators of the small libraries in Gyangmyeong 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ies are suggested: first,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operational system, strengthening of cooperative system of public libraries, and strengthening of role of public small libraries , strengthening of public characters of private small libraties and differentiated support through evaluation based on abilities; and second, it is necessary for utilization of circulating librarians and professional volunteers, sharing of materials through mutual lending of books, associate librarians having term of office and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y conference by regions.

13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지윤(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고재민(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건축학과 부교수) ; 강정아(제천기적의도서관 관장) 2024, Vol.41, No.1, pp.241-26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주요 대표도서관의 소장 자료 현황, 이용 현황, 직원 수, 프로그램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충북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사명은 “지식과 문화의 교차로, 도민의 삶과 동행하며 함께 성장하는 도서관”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gional conditions of Chungcheongbuk-do and the status of collections, usage, staff, and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and major representative libraries. Based on this, a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vision, goal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missio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is presented as “The library that grows alongside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ntersecting knowledge and culture.”

14
장혜란(상명대학교) ; 홍현진(전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오의경(건국대학교) 2009, Vol.26, No.4, pp.187-20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187
초록보기
초록

국가도서관은 문화유산의 일환으로 국가의 출판물을 망라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한다. 본 연구는 서지대조법을 활용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판매도서 포괄성을 측정하였다. 2007년과 2008년 출판 도서에 대해 교보문고 판매용목록을 기준서지로 설정하고 10%를 체계적으로 표집한 후,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목록을 탐색함으로써 수록 비율을 측정하였다. 탐색 시점에서, 2007년 출판 도서의 포괄성은 92.25%, 2008년 출판 도서의 포괄성은 78.10%, 누적 포괄성은 85.16%로 나타났다. 주제별 분석에 따라 포괄성이 낮은 분야를 알 수 있었고, 미소장도서의 출판사 규모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와 포괄성을 비교하였다. 납본지연 등 불완전한 수집의 원인이 식별되었으며, 포괄성 향상 및 후속 연구를 위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national library is to collect all publications as part of the national heritage and preserve them. This study i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verage of the book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ibliographies for the year 2007 and 2008 publications are obtained from the Kyobo Book Centre and sampled 10 % systematically to be used as checklists. Coverage was determined by searching the citations against the OPAC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Results indicate 92.25% of coverage for the books published in 2008, 78.10% coverage for the books published in 2007, and the cumulative coverage is 85.16%. The analysis shows time lag and subject fields with low coverage.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Reasons for the unpossessed books, such as delay of deposit and publishe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Recommendations for the coverage improvements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15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2009, Vol.26, No.4, pp.147-168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147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계의 상황을 보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도서관이 있고, 국가적인 차원 및 상업적인 차원의 정보유통기관이 있으며, 또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즉, 도서관자동화업체, 도서관관련 비품업체, 도서관관련 아웃소싱업체,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업체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경력경로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및 경력이동률은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서관계의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감안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실태나 이직률과 이직의 원인 등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 및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직장이동 경로,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 경력이동 요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Professions with librarianship can be found in various fields. It includes all different kinds of libraries, including academic, public, special, and school libraries. Moreover, there are national and commercial information distribution bodies, and other bodies supporting the national body such as library automation companies, library supply companies, and library outsourcing companies. Careers of those who have studi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ld be developed in all these fields. High flexibility and labour turnover can be expected due to the wide range of career field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very little studies reflecting the reasons of high level of turnovers and flexibility in librarian workforce. Therefore, this paper invastigates career movement and development of librarian as a foundation stone of further researches. It also analyzes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librarians, including career paths of those working in libraries and other related areas, their efforts for career development,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movements.

초록보기
초록

세계에는 수많은 도서관이 있지만 어떤 시스템도 이 모든 도서관에 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제공하는 기관은 없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키원리 기반 도서관지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글지도서비스를 매쉬업함으로써 도서관위치정보서비스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됨에 따라, 이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정보의 효과적 조직 및 관리를 위해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위해 델파이 연구기법을 적용하였다. 델파이 전문위원으로 대학, 전문, 학교, 공공, 국가도서관의 사서를 포함하여 도서관 지도정보의 전문가인 연구소의 연구원 및 대학의 교수진 등 총 13명을 위촉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제 3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분석과정을 통해, 초기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가 이루어졌으며, 도서관 위치정보, 도서관 정보, 장서정보, 행사정보로 구성된, 4개 부문 49개 항목의 메타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the Library Map Information System(LMIS) based on the Wiki theory of Web 2.0. We built this system because there was no collectiv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every library in the world. Also, this system was developed to provide a librar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by mashing-up with the Google Map. Through this study, the metadata applied to the newly constructed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the Delphi method. A total of 13 experts including librarians of schools, public, academic, special, and national libraries as well as LIS faculty members and researchers, were commissioned as Delphi experts. Through three rounds of a Delphi survey analysis, the addi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initial metadata elements was accomplished, and then the library contact/location information, library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was proposed. The metadata for LMIS was organized into four sectors and then 49 elements, each assigned to a sector.

17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장로사(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2019, Vol.36, No.4, pp.53-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053
초록보기
초록

IFLA의 UN 2030 Agenda,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에서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함에 따라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공공서비스기관으로서 도서관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적합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검증단계로서 FGI 및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지표는 총 3개의 평가영역, 총 12개의 평가항목, 총 30개의 평가지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접근 평가영역에서는 3개의 평가항목, 8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으며, 둘째, 역량 평가영역에서는 5개의 평가항목, 12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고, 셋째, 활용 평가영역에서는 4개의 평가항목, 10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범지구적으로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정보불평등 측정지표가 전무한 상황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그 의미와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3rd Library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2019-2023) of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under IFLA-UN 2030 Agenda emphasize the role of libraries in practicing social inclusion. At home and abroad, this is shedding new light on libraries as the public service institutions aimed at resolving information inequality. This study thus developed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optimized for libraries. For this purpose, FGI and Delphi technique were implemented as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expert group. As a result, the final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ree evaluation areas, twelve evaluation items, and 30 evaluation indicators. Specifically, first, 3 evaluation items and 8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access evaluation area; second, 5 evaluation items and 12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competency evaluation area; and third, 4 evaluation items and 10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 the utilization evaluation area.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s optimized for libraries were developed, the first of its kind.

18
노영희(건국대학교) ; 최원태(건국대학교) ; 윤다영(건국대학교) 2014, Vol.31, No.4, pp.69-102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교과서전문도서관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교과서전문도서관 및 포털사이트 구축․운영 관련 선행연구 관련사례를 조사․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교과서 관련 정보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종합목록 및 각종 콘텐츠 구축, 소장자료의 디지털화 프로젝트 수행, 교과서관련 각종 참고자료 수집 및 제공, 주제별 교과서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교과서 관련 연구출판물의 통합수집 및 제공, 교과서 관련 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포털사이트의 적극적인 홍보 등이 교과서관련 전문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사업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ach of building a portal site that can offer integrated services for textbook through special librar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investigated textbook portal construction sites domestically and abroad. Based on this research, we developed survey question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users of textbook librar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jects are required for creating a textbook library: a comprehensive list of textbooks and other content construction, digitization projects of library holdings, collection and delivery of various textbook-related reference books, building a textbook database by topic, collecting and providing textbook-related research publications, a cooperation network with textbook-related organizations, and active promotion of portal sites.

19
신영지(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21-52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0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병원도서관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관련한 국내 병원도서관의 정책 및 병원도서관 지원사업을 면밀히 조사하고, 국내 병원도서관의 현 운영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병원도서관 리스트 구축을 통해 수집된 73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전화면담을 실시하여 운영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 병원도서관은 모기관에 의해 설립되기 보다는 타 기관(재단, 기업 등)의 지원사업을 통해 다수 설립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활발하게 운영되는 특정 도서관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지만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공간의 경우, 단독공간을 갖춘 도서관은 대부분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타 목적 공간 내 서가 배치 및 개방형 휴게실, 복도 벽면 등에 서가를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운영과 관련하여 도서관 운영을 위한 전담 부서 및 담당 인력이 없는 곳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서의 경우 설립 당시 지원 받은 도서를 유지할 뿐 추가로 구입하지 않고 있는 곳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경우, 특정 도서관을 제외하고는 대출서비스만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병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적차원에서의 정책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병원도서관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모기관과의 연계와 더불어 지역 대표도서관 및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한 운영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domestic hospital libraries, the policies and support projects for them, and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them. To this end, a list of hospital libraries was established and the operation statu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telephone interviews with 73 libraries col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ospital libraries were established through support projects of other institutions (foundations, enterprises, etc.) rather than by the parent institutions, most of which were barely maintained except for certain actively operated ones. In terms of space, hospital libraries equipped with independent space were mostly operated on a small scale, and bookshelves were deployed in space for other purposes such as lounge and hallway. In terms of operation, a dedicated department or personnel for the library operation hardly existed, and more than half of them did not purchase additional books, simply maintaining the donated books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It was also shown that for services and programs, only booklending services are provided, except for a few libraries. Therefore, national policies and support will be needed to revitalize hospital libraries in the future, and the government needs to seek ways to continuously operate them through links with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20
노영희(건국대학교) ; 노지윤(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2018, Vol.35, No.4, pp.77-106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친화형 공간, 노인복지․요양서비스․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Abstract

Prior to the concrete and practical use of closed schoo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rends in th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library’s use of closed schools based on the status of closed schools and use case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the building of libraries using closed schools can be reborn as librar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public libraries, such as providing complex cultural spaces, eco-friendly spaces, and local community place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direction of library closure is suggested as follows: Provide local economic contribution and local revitalization opportunities, life-friendly and friendly space for local residents, recycling space linked with elderly welfare, care service, urban to rural Immigrants, creation of added value and creation of local business using closed schools, environment-friendly space, recycling as a complex community center, recycled into a space that meets and complements local need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