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an, 검색결과: 1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성이 이용자의 도서관 경험과 그로 인한 도서관 인식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서울 및 경기지역의 공공도서관 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 및 교육 활동은 사서 전문성 인식을 매개로 도서관 가치 및 만족도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정보 활동은 유일하게 사서 전문성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도서관의 가치를 형성하는 영역과 사서의 전문성을 인식하는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사서직 내부적 특성으로 여겨진 사서의 전문성을 외부에서 바라봄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경험과 사서 전문성, 도서관 성과를 통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pecialty of librarians links between users’ library experience and their resulting perception of the library in public libraries. After reviewing theoretical background stud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six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ducational activity and library perception. However, information activity was not linked by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and only directly influenced on the library perception. Accordingly, the result raised a question of a discrepancy between the areas where the users gain the value of the library and where the librarians’ specialty is perceiv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integrating the users’ library experience, librarians’ specialty, and the library performance by external point of view on the specialty, traditionally regarded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librarianship.

12
노동조(상명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2009, Vol.26, No.2, pp.43-63 https://doi.org/10.3743/KOSIM.2009.26.2.0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Recently in Korea, the need has increased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ho have both knowledge and work experience on specific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situation of subject special library services as well as the education backgrounds or work experience of current subject librarians in Korea. At the end,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an appropriate framework for the qual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and oper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pply and demand analysis of domestic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13
김혜경(중앙대학교) ; 남태우(중앙대학교) 2004, Vol.21, No.4, pp.329-352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329
초록보기
초록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는 사서직에게 전문직으로서의 윤리규정의 필요성과 준수를 요구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협회 및 전문직 단체에서는 전문직의 기준과 윤리강령을 발표하고 있으며, 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와 더불어 사서들로 하여금 명시된 기본적인 윤리 개념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일본, 한국 도서관의 사서직의 윤리규정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국의 윤리규정과 한국의 것을 비교하여 개선된 사서직 윤리규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개선된 사서직 윤리규정은 크게 정보윤리와 전문직 윤리로 구성된다. 정보윤리는 평등한 접근 및 서비스, 검열의 거부, 사생활 보호, 사서의 중립성, 지적자유보장의 6가지 항목을 필수요소로 제안하였다. 전문직 윤리에는 개인적 이익배제, 전문지식의 계속적 발전 및 노력, 전문직 위상 유지, 전문직 임무와 소속된 기관에 대한 갈등, 동료 및 다른 업자와의 관계, 권리와 복지를 위한 고용조건 확보, 도서관간의 상호협력, 문화창조에의 공헌 등을 주요 요소로 제안하였다.

Abstract

In this knowledge-based society of this age, librarianship takes a professional position and requires essential principles of ethics that has to be observed. Therefore, library associations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all over the world have released criteria and code of ethics to make their professional positions to keep.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des of ethics for librarians in United States, Great Britain, Japan, and South Korea which are based on the mission of each library of each country. Based on these analysis and comparison, this research proposed more advanced codes of ethics for South Korea. The proposed model of codes of ethics consists of two parts: ethics for information and ethics for professional positions. The ethics for information contains six essential elements: equal access and services for information, denial of inspection, protection of privacy, neutralization of librarian, and security of intellectual freedom. The ethics for professional positions consists of 8 essential aspects: exclusion of personal benefit, continuous efforts for developing knowledge, keep the professional position, conflicts between professional task and organization, relationship with co-workers, ensure the conditions of rights and welfare for employees, cooperations among libraries, and contribution for creation of new cul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학교도서관의 정보․교육서비스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활성화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업무수행에서 상사 및 동료와의 대화와 면담 등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경력, 학교 급 등 사서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라서 이용자 교육, 도서관활용수업, 독서교육 프로그램 및 정보활용교육 운영 방식 등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과연계도서목록 제공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운영과 관련된 공동체 구성원에게 학교도서관의 비전과 목적을 알리고 책임과 역할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협조문, 위원회, 협의회 등을 활성화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리더십 개발, 동료교사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teacher librarians on the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servic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school libraries' educational ro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eacher librarians have preferred informal communication by conversation and face-to-face talk with superiors or co-workers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during thei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eacher librarians, such as career, gender and school levels, have influential effect on user education,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e more teacher librarians felt satisfaction of the informal communication, the more textbook-related reference lists are offered. Horizontal communi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However, teacher librarians should utilize cooperative statements, committees and council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ose horizontal communication methods to share the vision and aims of school libraries with the larger school community. Teacher librarians also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developing their leadership role and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es of informal communication.

15
최흥식(전주대학교) ; 유평수(전주대학교) ; 정세민(전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15, Vol.32, No.2, pp.105-129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헌신성, 조직효과가 사서의 연령과 결혼여부 및 현 도서관 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사서의 임파워먼트와 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의 공공도서관 6곳과 대학도서관 4곳을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방법의 하나인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총 148명의 설문을 통계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pc+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은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과 조직효과는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은 차이가 없다. 둘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셋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경력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넷째, 변인들 간의 상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은 영향력과 임파워먼트 전체, 역량성과 임파워먼트 전체, 자기결정력과 임파워먼트 전체의 순으로 높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9.3%의 설명력, 헌신성은 5.6%의 설명력을 조직효과에 가지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librarian’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ibra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librarians of 10 librarie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purposeful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that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 pc+ 20.0. The statistics methods were use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ke a difference by age level.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 no difference by age level. Second,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make a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make no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Third,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make a difference by career in present librarian.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make no difference by career in present librarian. Fourth, Very a high correlation is influence factor and all of the empowerment, competence factor, and all of the empowerment. Fifth,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ffected 9.3% by librarian’s empowerment, 5.6% by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s resource sharing becomes more active and complicated in academic librari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librarians-a key stakeholder-view the current level of resource sharing is needed. Using survey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regarding the perception of 78 librarians with regard to interlibrary loan, document delivery, union catalog construction, shared acquisition, and community building. Overall, the respondents evaluated well-established forms of resource sharing(interlibrary loan, document delivery, and union catalog construction) more positively than less-well developed ones(shared acquisition and community build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erception of library/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Barriers to each of the five areas of resource sharing are also identified in the study.

17
이현정(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1, pp.111-134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효과성을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려는 의도인 학습전이에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계속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계속교육이 도서관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계속교육의 프로그램 특성뿐만 아니라 학습자 특성, 조직 환경적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속교육의 사전 및 사후 활동을 개별 대학도서관이 조직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습전이 영향요인을 기반으로 한 대학도서관 조직 차원의 사서 계속교육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o the effectiveness of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which is regarded as learning transfer,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and the factors identified. Learning transfer is defined as an intention to apply the lessons learned in the education to the learner’s practi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tinuing education experiences of university librarians. Findings indicate tha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ibrarians, educational program,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manage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effectivel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library as an organization should control pre- and post-activities of continuing librarians’ education at the library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transfer a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Suggestions are developed with factors to the learning transf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18
윤설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163-18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the teacher- librarian expertise that enables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it develops strategies that the school library and teacher-librarians should undertake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176 teachers in 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s a resul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event role perception would positively impact the expected effects of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ggestions are offered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and where teacher-librarian expertise is plac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find out a strategy to stand tall as an institution to lead the university, by reflecting the university environment having with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reflecting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 first,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big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is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 value of university libraries at the university, and changing spatial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library. Second,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change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ies, various national projects, and various university reform policy significantly affect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rd, about what you think would be helpful to the crisis in their universities as changing role of the library, they responded that they can contribut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and technology literacy, improving students’ reading skills, improving research capacity,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Fourth, they responded that services that users demand the highest in the university library will be expansion of e-books and information resource.

20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Vol.28, No.3, pp.47-64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0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요구하는 인력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보조직 사서직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과 직무 유형을 분석하였다. 미국 도서관의 채용공고 298건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기존의 자격요건들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새로운 환경 변화를 반영한 표준 및 전자자원 관련 요구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조직 직무 유형은 크게 전통적인 정보조직의 특성이 반영된 것과 전자자원, 정보기술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정보조직 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전자자원 교육의 확대, 이론과 실습의 조화, 정보기술 활용의 강화, 새로운 교수 방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librarian competencies and job type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required libraria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278 job announcement, the traditional qualifications and the knowledge of new standard and S/W related electronic resources are required. The job type divided between cluster for the traditional demands and cluster for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proposed the expansion of education related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adoption of new teaching method fo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