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knowledge-base, 검색결과: 8
초록보기
초록

개념기반 정보검색기법은 불리언 검색기법의 문제점을 해소했다고 평가받고 있는 단순 매칭함수 기법이나 P-norm 검색기법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개념화장에 필수적인 의미망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제범주별로 지식베이스를 분산 구축함으로써 지식베이스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검색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concept based retrieval model has shown a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of the simple matching function method or the P-norm retrieval method introduced to compensate the demerits of the Boolean retrieval model. However. it takes too long to create a semantic-net knowledge base, which is essential in concept exploration. In order to solve such demerits. a method was sought out by creating a distributed knowledge base by subjects to reduce construction time without hindering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상업적인 지식거래소를 통해서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콘텐츠들의 저작권 문제를 저작권법에 비추어 분석하고 있다. 지식거래소에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는 수많은 개인, 원문DB제공업체, 국가 및 공공기관, 출판사 등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제공주체와 지식거래소간에 이루어지는 저작물의 상업적인 거래에서 정작 원저작자인 개인 저자들은 빠져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원저작자가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통하여 2차적 저작물 생성권 등을 포함한 모든 권리를 양도하지 않는 이상 저작물의 디지털화, 원문DB화 및 지식거래소를 통한 유통 등은 저작권에 위배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pyright issues regarding the knowledge content currently circulated through knowledge exchange marke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content providers of knowledge exchange markets comprise government & public institutions, full-text database companies, publishers and individuals. It is worth noting that commercial trade of copyrighted content or material among academic journals, database companies and knowledge exchange markets essentially exclude individual authors who are the actual copyright holders. In principle, the original author owns the copyright whether it has an explicit notice or not. Unless the author/owner officially agrees to transfer the copyright including the right for so-called "derivative works", content-making based or derived from the copyrighted material, digitalization of the copyrighted work as well as its registration on full-text database and circulation through knowledge markets are illegal.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constructed an ontology targeting journal article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Also, the performance of a triple structure ontology was compared with the knowledge base of an inverted index file designed for a simple keyword search engine. The coverage was three year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from 2007 to 2009. Protégé was used to construct an ontology, whilst utilizing an inverted index file to compare performance. The concept ontology was manually established, and the bibliography ontology was automatically constructed to produce an OWL concept ontology and an OWL bibliography ontology, respectively.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knowledge base of the ontology, using the Jena search engine with the performance of an inverted index file using the Lucene search engine. As a result, The Lucene showed higher precision rate, but Jena showed higher recall rate.

4
노영희(건국대학교) ; 이수지(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박홍석(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Vol.25, No.1, pp.99-127 https://doi.org/10.3743/KOSIM.2008.25.1.099
초록보기
초록

국가경쟁력의 근간은 대학경쟁력이고 대학경쟁력은 학술·연구·정보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IMD는 국가경쟁력에서 2위를 한 싱가포르가 대학경쟁력에서 1위를 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국가경쟁력은 대학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지식인프라 구축사업이 국가 단위의 종합적 계획없이 진행되고, 지식정보자원의 총량 분석없이 산발적·경쟁적으로 진행된 관계로 일반적인 정보원구축에 중복 투자가 되는 반면에 수집이 어렵고 많이 활용되지는 않으나 역사적·학술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정보원은 오히려 소외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자산인 국가지식정보자원 중 학술정보자원만이라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학술자원에 대한 총량분석을 기반으로 한 예산 투자 및 정보화사업과제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술자원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학술자원의 효율적 연계, 보급, 활용을 위해서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식기반시대에 적합한 국가단위학술자원관리 체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National competence is based on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ness of academia, research and information. IMD reported that Singapore, #2 country in national competence index, topped in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Meanwhile Korea's current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project lacks comprehensive coordination at a governmental level and has been conducted in a rather sporadic mann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overall analysis of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Consequently, a disproportionate amount of attention was devoted to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resources, while neglecting rare, hard-to-collect sources with historic, academic, and/or cultural values. This study proposes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fully supervise academic resources at least, among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which is a national asset, and also to allocate budget and cultivate new information building projects based on overall analysis on academic resource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management system to implement efficient linkag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cademic resources and, to that end, we need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at a national level, maximizing the benefits from the knowledge society that we live in.

5
노동조(상명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2009, Vol.26, No.2, pp.43-63 https://doi.org/10.3743/KOSIM.2009.26.2.0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Recently in Korea, the need has increased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ho have both knowledge and work experience on specific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situation of subject special library services as well as the education backgrounds or work experience of current subject librarians in Korea. At the end,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an appropriate framework for the qual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and oper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pply and demand analysis of domestic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6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지윤(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고재민(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건축학과 부교수) ; 강정아(제천기적의도서관 관장) 2024, Vol.41, No.1, pp.241-26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주요 대표도서관의 소장 자료 현황, 이용 현황, 직원 수, 프로그램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충북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사명은 “지식과 문화의 교차로, 도민의 삶과 동행하며 함께 성장하는 도서관”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gional conditions of Chungcheongbuk-do and the status of collections, usage, staff, and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and major representative libraries. Based on this, a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vision, goal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missio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is presented as “The library that grows alongside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ntersecting knowledge and culture.”

초록보기
초록

웹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와 함께 도서관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도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학자들과 현장 전문가들에 의해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3.0을 바라보는 다양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도서관 3.0의 개념을 정리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 3.0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도서관 3.0 서비스의 키워드는 기계에 의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시맨틱 웹 기술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전자도서관에 적용되어 ‘진정한 지식 공유 및 협업’이 가능한 소셜시맨틱디지털도서관, 도서관의 자원이 Linked Data가 되어 전 세계의 도서관이 연결된 구조의 링키드 도서관, 그리고 RFID 및 모바일기술이 적용된 유비쿼터스적 모바일 도서관이다.

Abstract

Recently the concept of Library 3.0 and its substance have been discussed by scholars and specialists along with Web 3.0.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bates on Library 3.0 and review the concept of Library 3.0.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library 3.0 service model based on its analysis. The keywords of in the proposed Library 3.0 model in this study is the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SSDL), the Linked Library, and the Mobile Library. First, the SSDL means a real knowledge sharing and cooperation by applying both semantic web technology that which can manage data by machin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to e-libraries. Second, the Linked Library indicates that library resources become linked data that link libraries in all over the world. Finally, the Mobile Library refers to ubiquitous library equipped with RFID and mobile technology.

8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오세훈(광운대학교) 2013, Vol.30, No.4, pp.61-9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061
초록보기
초록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S fields, it is essential to have strategies to nurture and utilize those human resources, in relation to supply and demand as well a sound legal foundation supporting those strategies. Such strategies and legal foundation can only be developed from a complete knowledge of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in the LIS and 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therefore, conducted research on the basic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environment, and an overall analysis of related issues, in order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LIS field. This research included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environments that involve social enviro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law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as well as the current requirements of librarians in the field, based on a demand survey of LIS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first, there are three distinguishable factors in LIS employment: a feminization of librarianship, an increase in temporary posts, and a high entering ratio into the library workplace. Second, while there were only little differences in the given tasks between full-time and temporary employees, the differences in salary and welfare were considerably larger. Third, field requirements for librarian education included a mentoring system with field experts, short-term internships, and librarian apprenticeships, while job requirements included internship or apprenticeship, language skills, various license acquisition, and career management. Fourth, librarians with licenses for related organizations held 20% more librarian licenses overall.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