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nformation-seeking, 검색결과: 3
1
권나현(명지대학교) ; 이정연(Universitas Indonesia)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장길수(은평구립도서관) ; 윤혜진(이화여자대학교) 2013, Vol.30, No.2, pp.269-295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269
초록보기
초록

다양한 최신 정보기기가 학업과 여가를 위한 일상 속 정보이용에서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최근 동향을 볼 때, 학생들의 정보기기 활용행태에 대한 이해는 정보행동연구에서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과학기술발전을 담당할 주역인 과학기술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그들의 일상 속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기기의 유형과 사용 목적, 그리고, 최신 스마트 정보기기의 활용도와 활용 패턴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정보기기활용 패턴을 비교하는 한편, 학업과 비학업 영역에서의 활용패턴도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일상관찰기록법과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국내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총 83명의 과학기술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넷세대 과학기술전공 대학(원)생들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총체적 정보기기 활용 패턴을 그들의 일상생활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차세대 과학기술자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및 시스템 설계에 토대가 될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purported to study the us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ols in their daily life among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science and engineering. It also examined the purposes of the uses of the major ICT tools, the differences in their information technology uses between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using content analysis of an observational logs and a survey questionnaire. The observational logs were collected using an instant message application available on a smart phone. Study results revealed desktop computers, laptop computers, and smart phones as the three most heavily used ICT tools among the participants and typical situations students use each of the three tools. There were also sharp distinctions between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selection of the tools, and distinctions between work and non-work situ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design information services and systems for the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next generation.

2
박현모(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3, Vol.30, No.1, pp.71-92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0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 각 청소년 집단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교도서관 정보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 청소년 집단의 일상 정보 행태를 비교하였다. 특히, 두 청소년 집단의 일상에서의 정보 추구 행태뿐만 아니라 정보의 장의 종류와 정보의 장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도 함께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보 활용 일지와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이용하여 두 청소년 집단의 일상 정보 행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보 서비스 방안들은 추후에 도시와 농어촌의 학교도서관에서 정보 서비스를 기획하는데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everyday-life information behaviors of urban and rural adolescents to suggest ways that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can better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each of these groups. It focused its comparison not only on the everyday-lif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but also on kinds of information grounds and barriers forming information grounds. Two qualitative methods, written activity log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examine everyday-life information behaviors of adolescen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trategies will be used in planning actual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for urban or rural youths.

3
김완종(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혜선(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혜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Vol.30, No.2, pp.101-118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1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분야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만족하는 정도를 기대불일치 이론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사이트인 NDSL의 서비스 품질 측정 모형인 NDSLQual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가 기대불일치와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기대불일치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기대불일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대불일치가 전반적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기대불일치는 전반적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가지 회귀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매우 낮았다. 셋째,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가 전반적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본 결과,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가 전반적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NDSL에 대한 전반적인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NDSL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높이고, 기대불일치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ir satisfaction procedures from users of information service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To achieve this goal, we use the NDSLQual model to measure the quality of NDSL serv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xpect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Second,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However the explanatory adequacy of the regression model is very low. Third, perceived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NDSL,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lower the expectation-disconfirma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