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nformation modeling, 검색결과: 148
51
이창수(경북대학교) ; 김신영(숭의여자대학) 2003, Vol.20, No.1, pp.231-250 https://doi.org/10.3743/KOSIM.2003.20.1.231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이용 가능한 정보량의 급증 뿐 만 아니라 정보의 형태에 있어서도 다양화를 가져왔다. 정보이용능력은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고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다. 이는 대학교육의 핵심 목표이자 도서관 교육의 새로운 경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급증하는 정보이용능력에 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수-사서간의 협력에 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도서관 교육이 교과과정의 일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구성원간의 긴밀한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국 대학도서관에서 채택하고 있는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관하고, 대학구성원간 협력에 있어 성공사례를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정보이용능력 교육의 시행에 필요한 절차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Abstract

The rapid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resulted in not only the proliferation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but also the variety of information formats. Information literacy is the set of skills needed to find, retrieve, analyze, and use information. Therefore, information literacy which should be the core goal of the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a new trend of the library instruction. Nevertheless,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formation literac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Programs. and there has been little coordination between faculty and librarians on the programs. Under such circumstances, campus-wide teamwork is needed so that the library instruction can become part of the entire learning Processes of university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models adopted by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nd also analyses the successful cases of the campus-wide partnership of each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Based on these. the outline of the needed procedure for the enforce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 the university of our country is suggested.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주요 기술인 상황인지는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황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며, 다양한 도메인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인지 모델을 필요로 한다. 시맨틱 웹 기술 기반의 온톨로지는 구조화된 공통의 포맷을 이용하고 의미적인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이 상황 정보를 공유하고 이해, 추론함으로써 효과적인 상황인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상황인지 모델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황인지 모델의 범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온톨로지의 구조를 계층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인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u-Convention 도메인에 적용하였다. 또한 OWL-DL의 기술논리와 SWRL 규칙 추론을 결합함으로써 복합적인 상황을 효과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Context-awareness as a key technology of ubiquitous computing needs a context model that understands and processes situational information coming from diverse sensors and devices, and can be applied diversely in various domains. Semantic web based ontologies use structured standard format and express meaning of information, so it is possible to recognize effectively context-awareness situations, allowing the system to share information and understand situation by infer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yered ontology model to support generality and scaleability of the context-awareness system, and applied the model to u-Convention domain. In addition, we propose a effective reasoning method to handle compound situation by combining OWL-DL and SWRL rules.

53
김수경(한국정보통신대학교) ; 안기홍(한밭대학교) ; 최호진(한국과학기술원) 2008, Vol.25, No.4, pp.43-66 https://doi.org/10.3743/KOSIM.2008.25.4.043
초록보기
초록

시맨틱 웹 기술의 제안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온톨로지의 특징을 적용한 기술 개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인간이 소유한 개념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 현재에도 OWL, RDF와 같은 온톨로지 언어의 표현력을 확장시키기 위해 N-ary 관계나 모델-이론 의미론과 같은 개발이 진행되고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 있어 문장이 내포하는 의미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문장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단어의 의미를 연관할 수 있도록 N-ary 관계와 디자인 기반이 적용된 온톨로지의 지식 표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다양한 지식 영역을 포함하는 다의어(polysemy)와 동의어(synonym)의 특징을 갖는 단어에 있어 각 지식 영역으로 분류되어 각 지식 영역에 있는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확장되어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가 포함된 문장의 경우 까지도 확장할 수 있는 표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검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병증 문장을 제안된 방법에 따라 구축된 온톨로지내 지식 관계와 의미 결정을 위한 추론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병증의 의미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진단을 제공하는 실험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한국어가 갖고 있는 문장의 유의성, 모호성, 복합성 의 특징을 보유한 증상문들의 실험 결과 의미 결정과 유사 의미 확장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Currently be proceeded a lot of researchers for ‘user information demand description' for interface of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or Web search engines, but user information demand description for a natural language form is a difficult situation. These reasons are as they cannot provide the semantic similarity that an information retrieval model can be completely satisfied with variety regarding an information demand expression and semantic relevance for user information description. Therefore, this study using the description logic that is a knowledge representation base of OWL and a vector model-based weight between concept, and to be able to satisfy variety regarding an information demand expression and semantic relevance proposes a decision way for perfect assistances of user information demand description. The experiment results by proposed method, semantic similarity of a polyseme and a synonym showed with excellent performance in decision.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를 시스템 디자인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유용한 정보 시스템의 디자인을 성공시키는 필수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대표적인 방법론을 조사하고, 그 조사결과에 따라 최적의 이용자 모델을 제안하였다. 최적의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실제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떠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와 그들이 수립하는 일련의 정보전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기법은 더빈의 Sense-Making 이론에서 사용한 Sense-Making Timeline 인터뷰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된 이용자 모델은 이 연구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가 본래 가지고 있던 메뉴 배열순서와는 상이한 절차(timeline)를 보여주고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래에 수행되어질 시스템 디자인과 그 평가에 적용시킬 수 있기 위해, 이용자 모델수립에 필요한 개발과정의 단계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make interactive computing systems, including information systems, usable it is important to bring users into the design process. This article surveys and introduces several major system design approaches that are widely accepted as approaches from a users' perspective. A user model developed by the author is introduced following these existing approaches. This user model is developed from actual users' understanding of their goals and strategies to solve their information needs by using Dervin's Sense-Making Theory with Sense-Making Timeline Interviews. This user model reveals a different timeline from the default menu presentation orders that originally comes with the software. Steps for developing a user model from the Sense-Making Timeline Interviews are suggested for further application and guidelines in developing user models for system design and evaluation.

초록보기
초록

불리언 검색만을 제공하는 정보시스템들은 순위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 않아 이용자들이 많은 시간을 들여 수많은 결과를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리언 검색 모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불리언 검색에서 적용되고 있는 색인 가중치 정보 대신에 태그 간의 결합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은 일반적인 키워드 질의 대신에 문서를 질의로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문서에서 질의로 사용하는 핵심태그를 추출한다. 질의 생성 과정에서는 태그결합도에 따라 다양한 그룹의 불리언 질의를 생성하고, 매칭 과정에서는 해당 질의어 그룹 간에 차별성 정보와 태그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화를 처리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정된 연구정보와 관련된 동향분석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에 대한 이용자 평가를 위하여 다수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약 1년간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그 결과 높은 이용자 만족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조사되었다.

Abstract

Since IR systems which adopt only Boolean IR model can not provide ranked search result, users have to conduct time-consuming checking process for huge result sets one by on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provide search results ranked by using coupling information between tags instead of index weight information in Boolean IR model. Because document queries are used instead of general user queries in the proposed method, key tags used as queries in a relevant document are extracted. A variety of groups of Boolean queries based on tag couplings are create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queries. Ranked search result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of matching conducted with differential information among the query groups and tag significance information. To prove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research trend analysis information on selected research information. Aslo, the service based on the proposed methods was provided to get user feedback for a year. The result showed high user satisfaction.

56
김지현(국회도서관) ; 서은경(한성대학교) 2015, Vol.32, No.4, pp.55-7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4.055
초록보기
초록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연구는 전문가 정보추구행태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되어왔다. Leckie 등의 모델과 같은 선행 연구들에서 분석되었던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가 오늘날 한국 변호사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를 연구 질문으로, 본 연구는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21명의 변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특히 변호사의 경험(경력)과 소속 로펌규모 별로 조사대상을 선정하여 정보추구행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Leckie 등의 모델은 오늘날 한국 변호사에도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선행 연구에서 파악되었던 변수(변호사 경력, 로펌규모 등) 역시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오늘날 변호사들은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비공식 정보보다는 공식 채널을 통한 정보추구를 보다 선호하며, 전자형태 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도 분석됨으로써 기존 선행 연구와는 상이한 정보추구행태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개별 인터뷰를 통해서는 첫 번째 온라인 검색이 실패한 경우에 동료나 선후배를 통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rior studies on the practical lawy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cluding Leckie et al. (1996) model showed that role of the work and nature of the work in attorney’s practices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orney’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his study now asks if these prior analyses can be applicable to attorneys’ practices nowadays. This study perform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21 practical attorneys in korea who were grouped by their experience period and the size of law firms. This study concludes that role of the work in Leckie et al. model still affects the attorney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oday and moreover, the attorney’s experience and the size of law firms as variables also have made an impact on attorney’s behaviors so far. By the way, this study further finds that the attorneys prefer the digital information in online database and formal information like statutes or case laws. These results are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m of the prior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ehavior such as meaningful using of the informal information in difficulties with improper information can be kinds of the attorney’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초록보기
초록

기존의 연구자 유형 구분 모델은 대부분 연구성과 지표를 활용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인용 영향력이 공동연구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용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고 공동연구 지표만으로 연구자 유형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공동연구 패턴과 공동연구 범위를 기준으로 연구자를 Sparse & Wide (SW) 유형, Dense & Wide (DW) 유형, Dense & Narrow (DN) 유형, Sparse & Narrow (SN) 유형의 4가지로 구분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양자계측 분야에 적용해본 결과, 구분된 연구자 유형별로 인용지표와 공저 네트워크 지표에 차이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공동연구 특성에 따른 연구자 유형 구분 모델은 인용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연구관리 정책과 연구지원서비스 측면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raditional models for categorizing researcher types have mostly utilized research output metrics. This study proposes a new model that classifies research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The model uses only research collaboration indicators and does not rely on citation data, taking into account that citation impact is related to collaborative research. The model categorizes researchers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collaborative research pattern and scope: Sparse & Wide (SW) type, Dense & Wide (DW) type, Dense & Narrow (DN) type, Sparse & Narrow (SN) type. When applied to the quantum metrology field, the proposed model was statistically verified to show differences in citation indicators and co-author network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researcher types. The proposed researcher type classification model does not require citation inform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research management policies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의학정보 분야에서는 임상의 지식관리와 의학정보 검색의 효율화를 위한 수단으로 온톨로지의 개념 모델링을 이용한 의학용어 시스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의학정보 분야에 이러한 시스템의 응용이나 새로운 시스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정보 모델링과 온톨로지의 이론에 대해 고찰하였고, 외국의 의학정보 분야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용어 시스템이 개발된 4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비형식적인 수준의 온톨로지로 파악된 MeSH의 의학용어 표준화와 UMLS의 용어 개념화, 형식적인 수준의 온톨로지인 ON9의 의학 온톨로지 통합의 이론화, 그리고 GALEN의 의학지식의 의미 모델과 형식화로 핵심적 특징을 요약할 수 있었다. 온톨로지의 응용은 목적하는 시스템에 따른 수준적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참고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cent research in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has paid much attention to an ontology based medical terminology system to support clinical study and effective information search. This study aims to conduct research for further application or construction of ontology systems in Korea. This research reviews the theory of concept modeling and ontology, and analyses 4 cases of conceptual modeling of medical terminologies by ont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splay thes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medical ontologies : (1)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n MeSH. (2) The conceptualization of terminology on UMLS. (1) and (2) are showed as unformal ontologies. (3) The theory of ontology integration in ON9. (4) The reference model of medical knowledge with formalization in GALEN. (3) and (4) are showed as formal ontologies. The application and construction of ontology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roposed system, and then this analysi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searcher and developer of the system.

59
한나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서수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엄정호(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3, Vol.40, No.3, pp.77-98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0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안된 거대언어모델 가운데 LLaMA 및 LLaMA 기반 모델과 같이 연구데이터를 주요 사전학습데이터로 활용한 모델의 데이터 품질에 중점을 두어 현재의 평가 기준을 분석하고 연구데이터의 관점에서 품질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 품질 평가 요인 중 유효성, 기능성, 신뢰성을 중심으로 품질 평가를 논의하였으며, 거대언어모델의 특성 및 한계점을 이해하기 위해 LLaMA, Alpaca, Vicuna, ChatGPT 모델을 비교하였다. 현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거대언어모델의 평가 기준을 분석하기 위해 Holistic Evaluation for Language Models를 중심으로 평가 기준을 살펴본 후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를 주요 사전학습데이터로 활용한 거대언어모델을 대상으로 한 품질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추후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이는 거대언어모델의 발전 방향을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Large Language Models (LLMs) are becoming the major trend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ield. These models were built based on research data, but information such as types, limitations, and risks of using research data are unknown. This research would present how to analyze and evaluate the LLMs that were built with research data: LLaMA or LLaMA base models such as Alpaca of Stanford, Vicuna of the large model systems organization, and ChatGPT from OpenAI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data. This quality evaluation focuses on the validity,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of Data Quality Management (DQM). Furthermore, we adopted the Holistic Evaluation of Language Models (HELM) to understand its evaluation criteria and then discussed its limitations. This study presents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LLMs using research data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60
박해인(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3, Vol.40, No.2, pp.33-57 https://doi.org/10.3743/KOSIM.2023.40.2.0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정보요구와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를 설계하고, 전국 8개의 과학영재학교 중 6개 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여 정보요구와 정보이용행태 전반을 탐색하였다.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정보요구를 교과 활동과 교과 외 활동 영역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주요 관심 주제인 수업 및 학습, 연구 활동에서의 정보이용행태를 ISP 모형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정보 이용의 전 과정에서 선호정보원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정보이용행태의 특이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학교 도서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며, 과학 주제 분야에 심화적인 관심과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t science schools for gif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d ten students from six out of eight science schools for the gifted in Korea for information needs and overall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e information needs of students at science schools for gifted in the areas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in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activities, which were the main topics of interest to students based on the ISP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we identified the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in the information-seeking process and discussed the peculiarities and implications of student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he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the science school for gifted library and as a resource for providing services for students with deep interests and talents in science subject area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