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nformation culture, 검색결과: 2
1
윤희윤(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선경(중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1, Vol.38, No.1, pp.143-168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143
초록보기
초록

대다수 국가에서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식정보 허브, 복합문화공간, 만남과 소통을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공공도서관 업무 중에서 요체는 체계적인 장서개발이고, 구축된 장서는 모든 지식정보서비스에 필수적이다. 특히 지역대표도서관은 광역자치단체를 위한 종합지식정보센터로서의 법정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다른 공공도서관이 수행하기 어려운 특화장서를 개발․제공․보존해야 한다. 이에 외국의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의 특화장서 개발 사례를 조사하고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특화장서 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경북의 문화지형을 분석하였다. 이들을 배경정보로 삼아 ‘경북지식문화유산’으로 명명한 경북도서관의 특화장서 개발방안 및 구축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most countries, public libraries play a role as a knowledge and information hub for local communities,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a third place for meeting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work of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the key point is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ed collection is essential for all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In particular,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must perform legal duties as a comprehensive knowledge information center for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develop, preserve, and service specialized collections that are difficult for other public libraries. Therefore,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ases of specialize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large cities in foreign countries and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Korea, survey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specialized collections for employee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cultural to geography in Gyeongbuk region. Based on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 and establishment strategy of the Gyeongbuk Library specialized collection, which was named “Gyeongbuk Knowledge and Cultural Heritag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성이 이용자의 도서관 경험과 그로 인한 도서관 인식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서울 및 경기지역의 공공도서관 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 및 교육 활동은 사서 전문성 인식을 매개로 도서관 가치 및 만족도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정보 활동은 유일하게 사서 전문성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도서관의 가치를 형성하는 영역과 사서의 전문성을 인식하는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사서직 내부적 특성으로 여겨진 사서의 전문성을 외부에서 바라봄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경험과 사서 전문성, 도서관 성과를 통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pecialty of librarians links between users’ library experience and their resulting perception of the library in public libraries. After reviewing theoretical background stud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six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ducational activity and library perception. However, information activity was not linked by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and only directly influenced on the library perception. Accordingly, the result raised a question of a discrepancy between the areas where the users gain the value of the library and where the librarians’ specialty is perceiv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integrating the users’ library experience, librarians’ specialty, and the library performance by external point of view on the specialty, traditionally regarded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librarianship.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