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nformation competency, 검색결과: 20
1
이정연(나사렛대학교)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05, Vol.22, No.4, pp.39-5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여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설계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의 현재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여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정보활용능력 웹 평가사이트를 설계하여 학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구성영역을 통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보자원 영역, 정보요구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분석 영역, 정보기술 및 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임을 밝혀내었고, 기초환경 요인, 자가진단 요인, 영역별 요인, 정보활용능력 총점 요인 및 문항분석을 통해 평가설계 요소와 평가절차, 영역별, 수준별 교육 및 평가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정보활용능력의 통합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2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Vol.28, No.3, pp.47-64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0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요구하는 인력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보조직 사서직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과 직무 유형을 분석하였다. 미국 도서관의 채용공고 298건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기존의 자격요건들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새로운 환경 변화를 반영한 표준 및 전자자원 관련 요구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조직 직무 유형은 크게 전통적인 정보조직의 특성이 반영된 것과 전자자원, 정보기술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정보조직 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전자자원 교육의 확대, 이론과 실습의 조화, 정보기술 활용의 강화, 새로운 교수 방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librarian competencies and job type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required libraria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278 job announcement, the traditional qualifications and the knowledge of new standard and S/W related electronic resources are required. The job type divided between cluster for the traditional demands and cluster for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proposed the expansion of education related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e adoption of new teaching method for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초록보기
초록

디자인분야 대학생들이 학업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정보문해 교육에서 추구하는 일반적인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정보문해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교의 디자인분야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미국 디자인분야 교육 인증기관인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된 디자인분야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디자인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7개 범주 26개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정보문해능력들은 정보문해 교육의 시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디자인 등 세부전공분야별로는 보다 더 전문적인 특정 정보문해능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디자인분야 특정 핵심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디자인분야에는 일반영역/기초능력관련 일반학문분야에 대한 정보문해능력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Design discipline requires more specialized and sophisticate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necessary to effectively find and apply the information that students need for their learning and the future independent designer than are outlined in general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ecific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within the Design Discipline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goals & curriculum of four domestic universities and NASAD standards & guidelines. The result showed that design discipline requires commonly 26 specific core competencies in seven broad categories and the these competencies are related to the time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lso, The result analyzed that such majors in design as product design require additionally more specialized and detailed competencies with specific focus and that in addition to design-specific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design discipline requires th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bout general studies & fundamental ability.

4
박주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광주 수문초등학교 교사) 2020, Vol.37, No.2, pp.119-144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의 역량과 교육내용,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핵심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교육내용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UNESCO의 MIL과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UNESCO의 MIL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정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과 역량을 많이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보다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용어라 할 수 있었다. 셋째, UNESCO의 MIL은 정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보다 많이 반영하였다. 넷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도서관과 정보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담아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역량들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은 문화적 감수성 역량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는 정보 리터러시의 역량을 넘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융합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UNESCO’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nd AASL’s key competencies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UNESCO’s MIL and AASL’s key competencies in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re related to th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UNESCO’s MIL included more aspects of the composition an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literacy than media literacy. For this reason, it could be said that media information literacy more appropriately reflects the content pursu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than media literacy. Third, UNESCO’s MIL included more training content for media literacy than information literacy. Fourth,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Fifth, the competency standards related to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and Information Life did not present cultural sensitivity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at fuses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beyond the information literacy that use library resources.

5
노영희(건국대학교) ; 이수지(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박홍석(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Vol.25, No.1, pp.99-127 https://doi.org/10.3743/KOSIM.2008.25.1.099
초록보기
초록

국가경쟁력의 근간은 대학경쟁력이고 대학경쟁력은 학술·연구·정보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IMD는 국가경쟁력에서 2위를 한 싱가포르가 대학경쟁력에서 1위를 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국가경쟁력은 대학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지식인프라 구축사업이 국가 단위의 종합적 계획없이 진행되고, 지식정보자원의 총량 분석없이 산발적·경쟁적으로 진행된 관계로 일반적인 정보원구축에 중복 투자가 되는 반면에 수집이 어렵고 많이 활용되지는 않으나 역사적·학술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정보원은 오히려 소외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자산인 국가지식정보자원 중 학술정보자원만이라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학술자원에 대한 총량분석을 기반으로 한 예산 투자 및 정보화사업과제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술자원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학술자원의 효율적 연계, 보급, 활용을 위해서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식기반시대에 적합한 국가단위학술자원관리 체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National competence is based on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ness of academia, research and information. IMD reported that Singapore, #2 country in national competence index, topped in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Meanwhile Korea's current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project lacks comprehensive coordination at a governmental level and has been conducted in a rather sporadic mann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overall analysis of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Consequently, a disproportionate amount of attention was devoted to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resources, while neglecting rare, hard-to-collect sources with historic, academic, and/or cultural values. This study proposes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fully supervise academic resources at least, among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which is a national asset, and also to allocate budget and cultivate new information building projects based on overall analysis on academic resource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management system to implement efficient linkag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cademic resources and, to that end, we need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at a national level, maximizing the benefits from the knowledge society that we live in.

6
윤지혜(한남대학교 교육학과) ; 정유경(한남대학교) 2022, Vol.39, No.4, pp.1-21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분야의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제안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논문 97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정보원 이용 및 판단’ 등의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Big 6 정보모형, 교육방법과 관련해서는 미국 사서교사협회의 정보활용 능력기준과 미국 대학 및 연구도서관협회의 정보활용교육 개발지침을 고려하여 정보활용교육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전반의 연구주제와 연관된 교육 요소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원 이용 및 판단’, ‘정보윤리’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보다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and suggest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articl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o 97 scientific articles and identified the cor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uch a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Big 6 mode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of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y, and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s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ethics’ to sugges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7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 하유진(Clarion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2019, Vol.36, No.1, pp.53-7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053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무현장과 학술연구분야를 반영하여 교과과정을 개편하자는 요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편에 필요한 해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세 가지 측면에서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교과목 분석에 적용된 기준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문헌정보관리 직무단위, 한국연구재단의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와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 나타난 문헌정보학 주제 분류이다.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 공통되게 나타난 현상은 시스템 구축설계 및 정보기술분야의 교과목 수가 많은 것이며 도서관 및 정보센터 경영과 이용자서비스도 교과목이 많은 주제 분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Since new issues and topics are emerging in the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fields, diverse needs are identified to enhance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US and identified the topics of classes in the curriculum by the three aspects such as competency areas, scientific and technology category, and research fields. Consequently, topics related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 are the most popular topics in all analyse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and user service are also major topics of the curriculu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선진국이나 경쟁국에 비해 열악한 우리나라 국가 지식정보자원의 총량을 제고하여 그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지식정보자원의 전략적 연계 체제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찰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가 국가차원에서 지식정보자원의 연계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을 살펴보고, 둘째, 현재 국가 지식정보자원관리체제의 현상과 문제점을 도출하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지식정보자원의 자원유형별, 관리기관별 특성에 따른 국가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전략적 연계 방안을 마련하며, 넷째,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지식정보자원의 전략적 연계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Given Korea does not have a competitive edge compared to developed or other competing countries in na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ensure the best out of the limited resource. It is believed that Korea has to develop a national information policy which enables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management an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resource within Korea. In order to ensure the strategic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 in Korea, this research encompasses the followings: First, the needs for establishing a strategic system that helps ensure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 on national level are probed, Second, current status of na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policy is reviewed, and some problems are brought forward, Third, to resolve the problems a strategic approach to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resource according to material types and individual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is proposed, for effective allocation of government budget. And,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and models proposed, a national information strategy to integrate the dispersed information resource is suggested.

초록보기
초록

야후 앤서(Yahoo! Answers)와 네이버 지식인과 같은 지식 검색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지만 일반인 답변자들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노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야후 앤서에서 활동하는 44명의 일반인 답변자들과의 이메일, 채팅, 전화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이용하는 정보원,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전략, 그리고 자칭 전문성(self-claimed expertise)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인을 효과적인 정보제공자로 교육시키는 이용자 교육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opularity of question answering communities such as Yahoo! Answers and Naver Knowledge-iN and increasing doubts about the competence of lay information providers prompted this study to explore answerers'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in a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Forty-four active answerers in Yahoo! Answ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email, chat, and over the telephone. This study identified a set of information sources the answerers used, an array of important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and their perception of self-claimed expertise.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user instruction.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스마트기기 이용이라는 맥락에서의 다변화하는 정보격차인 스마트 디바이드의 형성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대부분의 요인들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해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적, 사회적 활동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입수한 정보의 가치 평가 능력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확보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는 스마트기기의 활용을 통한 정보적, 사회적 이익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심화된 사회적 격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 디바이드를 유발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the smart divide, which is a multi-faceted digital divide that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use of smart devices. As a result, most of the factors of media literacy affec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relations and social network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which, in turn,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inform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In addition, media liter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etence to evaluate the value of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can be social disparity between those who have secured media literacy and those who do not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al and social benefits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which can function as a mechanism to generate the smart divid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