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development, 검색결과: 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시개발 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신축부지선정에 대한 법적 검토사항을 살펴보고, 일반적인 부지특성과 입지기준을 고찰하였다. 또한 전주시를 대상으로 적합한 부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의 정보문화활동에 관한 각종 지표 및 통계자료를 조사하였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공공도서관 설립 비전과 목적을 수립하고, 부지선정 계획을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신축부지선정과 지방정부의 도서관정책개발 및 예산확보의 타당성 근거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of site selection for constructing new public library by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These are legal aspec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of selecting conditions of location for new building. In order to select the suitable site in the Jeon Ju City, the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indices with regard to inform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of the local residents and a statistical data was investigated. And also, a user question investigation was executed. The vision and objectives of establishing new pubic librar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the library policy maker to develope the library policy and to secure a budget from the regional government.

2
이주현(충남대학교) ; 이응봉(충남대학교) 2005, Vol.22, No.2, pp.103-12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 스타일 가이드를 구축하고 있는 해외 5개 대학 도서관 웹사이트의 스타일 가이드를 분석한 후 국내 10개 지역거점대학 도서관의 웹사이트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공통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웹사이트에 있어서의 사용성(usability)과 접근성(accessibility)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적용하여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디자인 흐름에 대한 통일성과 규칙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 일관된 시각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부여하기 위한 요소인 대학도서관 웹 스타일 가이드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web style guide of five foreign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and extracted the web site components of main university libraries in ten domestic areas and then drew the common factors from the components. This study also found out the unity and rule in the general design trends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In order to do this, the results for the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were applied to this study. And being based on it, this study presents the web style guide component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which are the factors to endow the web site with the consistently visual identity.

3
김희섭(경북대학교) ; 정영미(동의대학교) 2005, Vol.22, No.2, pp.165-18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165
초록보기
초록

지식정보 사회가 점차 발전되어 감에 따라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에 대한 가치와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정당화된 방법론이나 모델의 부재로 인하여 정보의 가치에 관련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정보의 경제적 가치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로 정보통신부의 지원사업으로 개발 운영중인 정보통신 통합정보시스템(즉, ITFIND)에서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였다. 경제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첫째, 정보의 카테고리별 이용가치와 교환가치를 측정하였고, 둘째, 이용자의 연간 수요량을 통해 정보 카테고리별 연간 일인당 CSUV와 CSEV를 산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ITFIND 전체 이용자의 연간 일인당 모평균 CSUV와 CSEV 추정을 통해 ITFIND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의 연간 경제적 가치인 CSUV와 CSEV를 산출하였다.

Abstract

Value and importance of online information are increased day by day a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emerging.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information assessments due to the lack of the valid methodologies and models in this field.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of the economic value assessments for online information and utilized it to the contents of ITFIND which is an integrated IT information system supported by the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 measured information value of ITFIND as follows: (1)both ‘use value' and ‘exchange value,' (2) annual CSUVand CSEV per person by the category of each information, and (3) annual economic value of CSUV and CSEV of ITFIND information based on it's users' annual CSUV and CSEV per person.

4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 김태수(연세대학교) 2005, Vol.22, No.1, pp.229-248 https://doi.org/10.3743/KOSIM.2005.22.1.22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접근점제어를 위한 국가적인 협력 모형을 전제로, 자관의 전거레코드를 별도로 구축운영하면서 서지레코드와 연결하는 방안 대신, 기 구축된 국가 접근점제어 레코드를 자관의 서지레코드와 바로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ZING(Z39.50 International: Next Generation)의 SRU (Search and Retrieve URL Service)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축한 접근점제어 시스템은 로컬기관 전거제어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거형 선정을 배제한 접근점제어 레코드의 이용, XML 레코드 형식 및 SRU 프로토콜의 도입을 통하여 기존 전거제어 협력 모형에 비해 보다 편리하고 융통성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national cooperative model of access point control, that enables local systems to utilize national access point control record, without creating their own authority records. In order to applying this model, a client/server system is developed using SRU (Search and Retrieve URL Service) protocol. The suggested access point control system will be a cost-effective and time-saving model for the local system, and will be more flexible and extensible with concept of access point control, XML record format and SRU protocol.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도서관정보시스템에서 기록물을 검색, 이용할 수 있도록 기록물용 KORMARC 데이터필드 개발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본 연구에서는 ISAD(G)2에서 제시하고 있는 7개 영역 외에 보존영역(conservation area) 과 물리적 기술영역(physical description area)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ISAD(G)2는 26가지 요소만을 제시하 고 있어 상세수준의 기술요소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서는 불충분하다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역별 하위요소를 종합하여 선정하였다.둘째, 우리나라 기록물의 특수성을 기술요소에 반영하기 위해 사무관리규정시행규칙과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업무 등의 전자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하고 있는 종이 공문서 및 전자문서 서식의 분석을 통해 선정한 기록물 기술요소를 추가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개여부 및 등급, 공개 일자, 공개범위, 보존기간, 보존등급, 보존가치, 기록물의 상태기술 요소를 추가하였다.셋째, 기록물 관리를 위해 512 생산일자 관련주기(creation dates note)와 5 검색보조도구주 기(finding aids note), 583 작업현황 주기(action note), 584 245 표제저자사항(title statement), 30 물리적 기술(physical description), 306 재생/연 주시간(playing time), 506 접근제한주기(restriction on acces note), 534 원본주기(original version note), 535 원본/사본의 소장처주기(location of originals/duplicates note), 540 이용과 복제제한에 관한 주기(terms governing use and reproduction notes), 541 직접적 graphical or historical note), 581 출판주기(publication note), 850 소장처(holding institution) 데이터필드의 식별기호를 재구성, 추가하였다.

Abstract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KORMARC for archives in order to integrate archives with library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arized as folows; (1) 2 areas for conservation and physical description are aded study has also proved that the existing 26 elements of ISAD(G)2 are not fuly enough to satisfy the information demands of institutions and its users as wel. (2) For the use of domestic archives in particular, the study h as added the description elements of archives that apeared in the Government Regulations of Ofice Managemen t and those forms of documents that are specified by law for the sake of computerization. The study has aded the possible release and grade, release dates, release range, conservation periods, conservation grade, conservation value, the status description of archives elements that are specified in Public Record Management Law.(3) The study has developed the following data fields to be add ed into KORMARC. and 584 accumulation note. Also it reorganizes and adds the indicators of the 245 title statement, 300 physica l description, 306 playing time, 506 restriction on access note, 534 original version note, 535 location of orig inals/duplicates note, 540 terms governing use and reproduction notes, 541 imediate source of acquisition not publication note, 850 holding institution data fields.

6
이정연(나사렛대학교)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05, Vol.22, No.4, pp.39-5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여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설계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의 현재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여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정보활용능력 웹 평가사이트를 설계하여 학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구성영역을 통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보자원 영역, 정보요구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분석 영역, 정보기술 및 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임을 밝혀내었고, 기초환경 요인, 자가진단 요인, 영역별 요인, 정보활용능력 총점 요인 및 문항분석을 통해 평가설계 요소와 평가절차, 영역별, 수준별 교육 및 평가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정보활용능력의 통합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제시한 주제화 모형의 구성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도서관의 운영 패러다임은 논리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 장서 구분 및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화’가 가장 바람직하다.주제화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셋째,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으로는 ‘광역형 주제화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 1) 광역형 주제화의 공간모형은 중앙도서관의 경우 대학생을 위한 ‘학부전용도서관’으로 운영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주로 하는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연구도서관’으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2) 광역형 주제화의 장서 모형은 중앙도서관(학부전용도서관)의 경우 학부생들의 과제 및 학습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한 서지 및 정보제공에 치중하는 방안이다. 기능적 업무담당사서를 배치하고, 주제도서관은 주제담당사서와 기능적 업무담당사서 그리고 주제와 연관이 있는 학과의 대학원생을 조교나 보조학생으로 확보해 서비스를 주제별과 이용자별로 차별화하는 방안이다.

Abstract

Second, the necessity of adopting subject divisional plan is to secure enough subject librarians and large space. These necessities must be fulfiled prior to adopting th e subject divisional plan. rvice of university library is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model'.1)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spa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is programed as undergraduate library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operated as research 2) In central library, the collection model of wide-area subjec t divisional plan is practiced as ofering reference and general education centered data for undergraduate students' study.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furnished with research papers, recent journals, and various ma 3) The human resour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 n is aplicated by aranging apropriate librarians at the right place.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reference librarians and librarians who educate the users and take charge of function are set in to hel Subject library needs to secure subject librarians, librarians who take charge of function,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lated to the subject as student assistant. T he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reference service by subjects and users.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를 시스템 디자인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유용한 정보 시스템의 디자인을 성공시키는 필수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대표적인 방법론을 조사하고, 그 조사결과에 따라 최적의 이용자 모델을 제안하였다. 최적의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실제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떠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와 그들이 수립하는 일련의 정보전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기법은 더빈의 Sense-Making 이론에서 사용한 Sense-Making Timeline 인터뷰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시된 이용자 모델은 이 연구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가 본래 가지고 있던 메뉴 배열순서와는 상이한 절차(timeline)를 보여주고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래에 수행되어질 시스템 디자인과 그 평가에 적용시킬 수 있기 위해, 이용자 모델수립에 필요한 개발과정의 단계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make interactive computing systems, including information systems, usable it is important to bring users into the design process. This article surveys and introduces several major system design approaches that are widely accepted as approaches from a users' perspective. A user model developed by the author is introduced following these existing approaches. This user model is developed from actual users' understanding of their goals and strategies to solve their information needs by using Dervin's Sense-Making Theory with Sense-Making Timeline Interviews. This user model reveals a different timeline from the default menu presentation orders that originally comes with the software. Steps for developing a user model from the Sense-Making Timeline Interviews are suggested for further application and guidelines in developing user models for system design and evaluation.

9
김판준(신라대학교) ; 정영미(연세대학교) 2005, Vol.22, No.1, pp.191-208 https://doi.org/10.3743/KOSIM.2005.22.1.191
초록보기
초록

새로운 주제의 탐지를 위한 여러 접근법들을 지식 구조 표현 방법 중 하나인 디스크립터의 부여 및 갱신 과정에 적용하였다. 새로운 주제 탐지는, 특히 특정 학문 분야에서 새로운 주제의 출현 및 성장으로 인하여 지식 구조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기존의 색인어로는 이를 표현할 수 없거나 표현상의 제한이 따르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정보학 내에서 긍정적 측면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된 신흥 주제들은 상당수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성장발전의 단계에 있는 주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새로운 주제 탐지를 통한 후보 디스크립터 리스트의 사용이 색인자의 색인작업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적절한 디스크립터의 선정과 부여를 위한 후보 디스크립터 리스트의 제공은 색인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utilizes various approaches for new topic detection in the process of assigning and updating descriptors, which is a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knowledge structur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occurring changes on the knowledge structure due to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new topics in specific study areas, new topic detection can be applied to solving the impossibility or limitation of the existing index terms in representing subject concept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ajority of newly developing topics in information scienc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are simultaneously in the phase of growth and development. Also,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use of candidate descriptor lists generated by new topic detection methods can be an effective tool in assisting indexers. In particular, the provision of candidate descriptor lists to help assignment of appropriate descriptor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indexing.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보존 기록 자료로서의 우리의 고전 장서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구자나 이용자들에게는 시공을 초월한 열람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디지털 도서관으로서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우선 동양 전래의 사부 분류법과 현대적인 주제 분류, 그리고 색인어 등을 통해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고, 둘째, MARC나 XML 등을 활용한 DL시스템을 구축하되, 서지적 기술요소를 최대한 확대시키며, 셋째, 쉬운 해제와 색인어로 이용자의 이해를 극대화하고, 마지막으로 원본의 손상을 막기 위해 원문 DB를 구축하여 열람용으로 사용한다. 이는 향후 국내외 한국 고전 관련기관과 협력,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체제를 통해 국제적 서지통정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most of all, this study is planned to search an ideal methods to develop the digital library system for our korean ancient books for their safe preservation and, at the same time, for their perusal of transcendental time and space : first, to offer the various access points like traditional oriental Four parts Classics classification, current subject classification and index keyword, etc. ; second, to program a digital library system using MARC or XML, but with all bibliographic descriptive elements as possible; third, to prepare the more easy annotated bibliography and index for users' better comprehension, and last, to build original text database for practical reading to avoid the damage of original text. This type of korean ancient books digital library will be developed to the real international bibliographic control by networking enter the same kinds of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