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cost, 검색결과: 3
1
남태우(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2003, Vol.20, No.2, pp.263-283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를 고객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고객가치와 고객만족간의 관련성에 기초한 고객중심의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에 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인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고객가치 창출 핵심요인인 품질, 서비스, 비용은 컨텐츠 사이트 재방문 및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컨텐츠 서비스면에서 불만대응시간 및 고객지원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다른 품질이나 비용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술정보기관에서도 이용자 서비스 연구를 고객가치수준에서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a user as a customer and analyzed a customer centered contents service based on the customer value and custoner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that revisit of the site and content purchase are strongly affected by contents quality, service and cost. Especially, the ratio of satisfaction of the the complaint-response time and customer support system in cpnparison to the quality and cost factors was low. Therefore, library and infprmation center meed to improve the contents service in terms of customer relations.

2
김동석(한국개발연구원) ; 고영만(성균관대학교) ; 조동호() 2003, Vol.20, No.4, pp.159-193 https://doi.org/10.3743/KOSIM.2003.20.4.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사업 중 서고 건축 부분을 제외한 디지털도서관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평가 결과의 정량화를 위하여 비용편익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추정치의 오차를 보완하고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결과 값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편익/비용 비율이 1.70으로 분석되어 경제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서관이 사회전반에 걸쳐 장기적으로 파급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서 실용적인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비용편익 분석 모형은 앞으로 이루어질 보다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의 기초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attempt to quantify the economic efficiency of "digital library program(DLP)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y means of cost-benefit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B/C ratio is 1.70 which can be interpreted the economic efficiency of DLP is very high. Of particular significance is the fact that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at the digital library program is economically efficient.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에 있어서 데이터품질 저하는 기업경쟁력 하락과 새로운 비용창출이라는 부정적인 영향요인으로써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품질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품질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데이터품질의 측면 중 결과적이고 현상적인 품질개념인 데이터값의 품질과 데이터서비스의 품질에 대해 주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원인적인 데이터품질 개념인 데이터의 구조적 품질을 메타데이터 관리의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평가와 개선을 위한 관리의 관점이 적용된 데이터품질관리 성숙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품질관리 성숙도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데이터품질 관리단계가 성숙될수록 데이터품질수준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Abstract

In companies competing for today's information society. Data quality deterioration is causing a negative influence to generate company competitiveness fall and new cost. A lot of preceding study about data quality have been proceeded in order to solve a problem of these data quality deterioration. Among the sides of data quality, it has been studied mainly on quality of the data value and quality of data service that are the results quality concept. However, this study studied structural quality of the data which were cause quality concept in a viewpoint of metadata management and presented data quality management maturity model through this. Also empirically this study verified that data quality improved if the management level matur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