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archive system, 검색결과: 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을 기본으로 메타데이터가 구축되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인명 검색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도서관의 전거데이터를 활용하면서도 전거형을 인정하지 않고, 정보원에 기재된 형식을 모두 접근점으로 사용하는 그룹화 방법을 사용하고, 동명이인 처리를 위해 저작자의 주제분야와 저작정보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토대로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검색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향후 기관 리포지터리 외에 도서관이 총괄하는 모든 메타데이터의 검색 기능 향상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for better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which are equipped with author- generated metadata processes for self-archiving. In developing name access point control data for the system, the primary data were created from the existing authority. However, unlike the existing authority data, the primary data did not use any authority forms. Instead, the data utilized all the forms provided by the resources as access points. Specifically, field of activity(subject) and title information on authorship we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persons who have the same nam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ystem improved the performance of the information retrieval. The system has been also expected to be utilized over other metadata provided by libraries,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 order to provide better quality information.

12
장혜란(상명대학교) ; 이명희(원주시립도서관) 2008, Vol.25, No.3, pp.321-33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321
초록보기
초록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외국 지방기록관 웹 사이트를 통하여 이용자 서비스 사례를 조사·분석하였으며, 개방과 공유 그리고 참여의 개념을 가진 웹 2.0 기술과 기록관 응용사례를 탐구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기본서비스, 확장서비스 I, 확장서비스 II, 상호작용서비스 등 4단계로 구성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단계별 모형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각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사회 조사와 연구,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가, 구체적인 서비스 지침의 제정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promotion of the public records use of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we analyzed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observed the public services of the renowned overseas regional archives through the we sites. Then, the web 2.0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archives services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analysis, a public services framework consisting of 4 phases such as basic services, extended services I, extended services Ⅱ, interactive services was developed. This framework of 4 phases is not a fixed universal system. Each of the regional archives would select the services they offer according to the budget, personnel, as well as the user community. Finally, community survey,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ervice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public services.

13
한상은(성균관대학교 사서교육원 강사) ; 도슬기(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조교수) 2024, Vol.41, No.1, pp.509-536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5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의 디지털 아카이브인 국채보상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개인과 단체 전거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AP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서관과 기록관의 개인/단체 메타데이터 표준, 구축 사례 및 지침을 분석하여 설계 원칙과 핵심적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국채보상운동 개인/단체명 시소러스 데이터, 위키데이터 연계 메타데이터 모델과 매핑하여 최종적으로 식별영역 10개 요소, 내용영역 14개 요소, 관계영역 8개 요소, 통제영역 4개 요소를 도출하였다. 소규모의 기관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단순 구조 스키마를 적용하였고, 상호운용성을 위해 DublinCore, SKOS 스킴을 참고하여 스키마를 제안하였고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은 알지만, 실제적인 적용이 어려운 기관에서 전거데이터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adata AP for managing the person and organization name authority data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Digital Archive, a small-scale digital archive. The design principles and core metadata el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person/ organization(group or corporateBody) metadata standards, implementation practices, and guidelines of libraries and archives, and mapped to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person/organization name thesaurus data and the Wikidata Linked Metadata Model, resulting in 10 elements in the identification area, 14 elements in the content area, 8 elements in the relationship area, and 4 elements in the control area. A simple structure schema was applied so that it can be applied even in small organizations, and for interoperability, the schema was proposed with reference to DublinCore and SKOS schemes, and the applic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actu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institutions tha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but have difficulty in applying it in practice, when they want to prepare a system for managing their own authority data.

14
방기영(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건(전북대학교) ; 황창주(동남보건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6, Vol.33, No.3, pp.31-61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지역 축제기록을 보존․활용할 수 있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비교하여 축제 기록에 적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적용 대상 축제로 춘향제를 선정하였으며, 현재 춘향제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그 중 축제기록을 보존할 시스템이 없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후, 기록관리용 공개 소프트웨어인 AtoM(Access to Memory)와 OMEKA를 활용하여 축제기록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축된 각각의 시스템을 지역 축제기록의 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AtoM 기반 축제기록관리시스템이 지역 축제기록의 보존․활용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the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systems that can preserve and utilize local festival records and archives.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used open source software for Namwon chunhyang festival as a case. This paper revealed the fact that there is no constructive system for preserving local festival recor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mplemented elect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s, which are called AtoM(Access to Memory) and OMEKA. Also, both OSS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 records. As a result, ERMS for Festival based on AtoM was appropriate comparatively.

15
박용부(PAX자료정보연구소) ; 김태수(연세대학교) 2011, Vol.28, No.3, pp.83-101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083
초록보기
초록

국제 표준인 ISO 15489와 관련코드에 따르면 공공조직이든 민간조직이든지를 막론하고 안정적인 기록물 분류체계를 구현하게 하는 기능 분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기업에서도 이를 따라 업무 수행 기록물을 분류․축적하여 검색․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나 개발 방법론 연구 및 모형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기업 3개 회사와 중소기업 4개 회사 등 총 7개의 종합건설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류체계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분류원칙을 정리 종합하여 핵심적인 건설기록물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대기업 사례기업의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의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 구성을 상호 비교하면서 표준적인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 기록물 분류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결과로 개발된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O 15489 and Family Code, recommend using functional classification method both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tail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rough case studies 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s of a total of seven comprehensive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including three large corporations and four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ology. By summarizing classification standards derived from these case studies, key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present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OAIS 참조모형(ISO 14721)의 ‘보존기술정보(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PDI)’에서 제시하는 디지털자료의 기술요소유형들과 국가기록원 및 국회기록보존소에서 디지털문서의 보존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술요소들을 비교․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제표준에 입각한 국가기록 디지털문서의 장기보존 기반환경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국가기록원의 경우 2009년도 기록물관리지침과 2007년도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대상으로 하였고, 국회기록보존소의 경우에는 2009년도 국회기록보존소 내부문서인 기록관리업무편람과 국회기록관리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메타데이터 규칙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실무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그룹인터뷰를 병행함으로써 확장하여야 할 보존기술요소들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현재 국가기록원과 국회기록보존소에서 적용하고 있는 디지털문서 보존기술은 특정 요소에 편중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AIS PDI의 개념적용 및 Calanag, Russell 등의 연구에서 제시된 PDI 요소들을 기반으로 중심요소(elements)와 중심요소에 따르는 하위요소(sub-elements)들을 상세하게 정립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description element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and National Assembly Archives(NA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ased on PDI(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of OAIS Reference Model(ISO 14721). As for NAK, records management guideline published in 2009 and metadata standards published in 2007 were analysed. As for NAA, Records management manual published in 2009 and metadata applied in national assembly records management system were analysed with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improved metadata details and sub-elements were suggested based on OAIS PDI concepts and Calanag's and Russell's research.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글로벌 가시성과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사이트인 OpenDOAR, ROAR, RWR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기관 리포지터리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영향력 확산에 노력하는 비영어권 아시아 주요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경쟁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세 사이트에 모두 등재되어 있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는 9개에 불과하였다. 이 가운데 RWR 세계 순위 500위 안에 든 대학은 한 곳일 정도로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인 위상은 매우 낮았다. 반면 아시아 주요국인 일본과 대만은 대학의 리포지터리 수가 각각 257개, 52개일 정도로 많아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 현황과 대조적이었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국내 선도적인 대학 리포지터리가 최근 연구업적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원의 샐프 아카이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 리포지터리의 양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단서라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visibility and impact of university repositories in South Korea with the help of web-sites, OpenDOAR, ROAR and RWR. Further understanding the self-archiving status of South Korea,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putation and power of major Asian countries’ university reposit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nine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ctive. There was only one South Korean university repository in the RWR top 500. All the other repositories ranked in bottom level. However, among Asian countries, Japan and Taiwan have established many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ey had 257 and 52 repositories respectively. Fortunately, some leading university repositories in South Korea began activating self-archiving with the help of linking their own research outputs management system. Also, the attempts by other South Korean university repositories expect a substantial quantitative growth in the near future.

18
강윤아(전북대학교) ; 조영준(㈜ 아이와즈, 솔루션개발팀) ; 김민정(국가기록원 기록서비스부 서비스정책과) ; 오효정(전북대학교) 2022, Vol.39, No.4, pp.99-125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099
초록보기
초록

하나의 기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록의 내용뿐 아니라 그 기록의 생산배경과 업무 맥락을 함께 파악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부서와 기관에 흩어져 있는 관련 기록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능도 필요하다. 따라서 기록 검색서비스에서 정보 간의 ‘연계’는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국가기록원 역시 영구기록관리시스템의 검색서비스 기능으로 ‘연계’를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국가기록포털을 살펴보면 전거정보의 연계 부족,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내부 서비스와 콘텐츠, 유관 기관과의 연계 부재 등의 문제가 확인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국가기록포털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이상적인 연계서비스를 구축한 기록관리 선진기관을 선정하여 이들 기관의 연계구조를 전반적으로 확인하고, 연계구조 중 타 기록관리 기관에서 볼 수 없었던 특이점과 국가기록포털에서 차용 가능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국가기록포털 연계구조의 현황을 분석하여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비롯해 연계방식을 개선해야 할 항목 등을 규명,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포털의 개선된 연계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의 검색 만족도를 높이고, 소장기록 및 기 구축된 내부 서비스와 콘텐츠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a record,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record but also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work context of the record must be grasped. It also requires a function that makes it easy to find related records scattered across various departments and agencies. Accordingly, the ‘linkage’ of information i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NAK also emphasizes ‘linkage’ as a search service function of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but some problems were identified at the National Archives Portal Service (NAPS) such as a lack of linkage with authority data, disruption of internal service, and absence of linkage with other related organizations.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NAPS, we selected and analyzed advanced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that have built an ideal linkage service; checked the overall linkage structure of these institutions;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s that could not be seen by other institutions. Also, elements that can be adopted from the NAPS were derived. Next, the current status of the NAPS linkage structure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parts that were not linked and the item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linkage method, and specific advancement plans were sugges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with search and to advance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records and internal services through improved linkage services of NAPS.

초록보기
초록

법정 납본 제도는 국가문헌의 망라적 수집과 보존이라는 국가도서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 도구이다. 최근 급증하는 디지털자료의 특성으로 인해 인쇄자료에 기반을 둔 납본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여러 나라 납본제도의 디지털자료 관련 최근 동향을 조사하였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을 앞두고 디지털자료의 수집을 위한 법정 납본 제도의 확대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Legal deposit system is an essential tool for a national library to ensure the preservation and access to a nation's intellectual heritage over time. Substantial amounts of digital materials of national cultural value are already being published. There is a global trend towards extending legal deposit to cover digital materials in order to maintain comprehensive national archives. This paper gives a progress report of some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ose legal deposit laws have already updated or are under revision. Some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the digital collection building of the Korean National Digital Library which will open in 2008.

20
안부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 한정민(KISTI) 2006, Vol.23, No.4, pp.89-110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89
초록보기
초록

생명과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학문분야 중 하나이다. 국내 생명과학 관련 연구자들은 산학연에 흩어져 중요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형태(실질적인 연구결과물, 논문, 연구노트, 세미나 자료, 단행본, 교재 등)로 생산되고 있다. KISTI에서는 생명과학 관련 연구정보의 신속한 획득을 위해 생명과학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오픈 아카이빙 커뮤니티 (BioInfoNet)를 구축하여 연구자들이 커뮤니티를 발전시켜 가도록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플랫폼으로서의 웹인 웹 2.0을 기반으로 오픈 액세스가 가능한 생명과학 문헌정보를 수집하여 메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주제별 공개 BBS(BioBBS)를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Abstract

Life sci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which have direct influence on human life. Many domestic life scientists in the industries,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been producing important results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papers, research notes, presentation materials,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Open Archiving Community has been constructed in order to share and exchange research information related to life science between researchers. The domestic life scientists can acquire valuabl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ty quickly and efficiently.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to provide free access to all data including metadata registry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life science and research results accumulated by researchers of their own accord. The community system also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Web 2.0 and provides users with BBS by subject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