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Korean studies, 검색결과: 194
101
이지연(연세대학교) ; 감미아(연세대학교) ; 한남기(연세대학교) ; 송한나(연세대학교) 2016, Vol.33, No.2, pp.177-200 https://doi.org/10.3743/KOSIM.2016.33.2.1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제성이 강한 HCI 연구 내에서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가 수행한 연구내용과 역할을 분석하고 향후 타 학문분야와의 협력 가능성 및 수행 가능한 연구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내 학술지 및 한국HCI학회 학술대회의 발표논문집에서 추출한 키워드와 소속 정보이며, 이들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과 빈도 분석을 하였다. 국내 HCI 분야에서는 정보통신, 컴퓨터공학, 기술산업 등이 활발한 교류를 보이고 있었으며, 문헌정보학은 연구 협력에 있어서 비교적 소극적이었다. 문헌정보학 연구의 HCI 분야 내 역할을 살펴본 결과, 타 분야와 협력이 필요한 전문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그 관심도가 높지 않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타 학문분야 연구자들이 HCI 관련 논문을 다수 게재했다는 점과 기술산업 분야와도 어느 정도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문헌정보학 분야가 기술산업 등 타 분야와의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면 학계 간의 연구주제 확장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lated research efforts in Korea contributed to the progres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discipline to identify the potential collaboration research partners and topics. The following data was used for the network and frequency analysis: titles, keywords and affili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Korean journals serving the LIS fields as well as the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HCI society.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ute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dustry had been active in research collaborations but LIS field was comparatively not active. This study was able to determine that LIS researchers carried out important research but they had not much interests in the topics that require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However, there were a number of papers, which were not authored by LIS discipline researchers, in the LIS related journals. In addition, there are a few ongo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which included LIS researchers. This reveal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LIS field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if the researchers actively participate the collaborative project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글로벌 가시성과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사이트인 OpenDOAR, ROAR, RWR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기관 리포지터리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영향력 확산에 노력하는 비영어권 아시아 주요 국가와 비교함으로써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경쟁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세 사이트에 모두 등재되어 있는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는 9개에 불과하였다. 이 가운데 RWR 세계 순위 500위 안에 든 대학은 한 곳일 정도로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인 위상은 매우 낮았다. 반면 아시아 주요국인 일본과 대만은 대학의 리포지터리 수가 각각 257개, 52개일 정도로 많아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 현황과 대조적이었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국내 선도적인 대학 리포지터리가 최근 연구업적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원의 샐프 아카이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 리포지터리의 양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단서라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visibility and impact of university repositories in South Korea with the help of web-sites, OpenDOAR, ROAR and RWR. Further understanding the self-archiving status of South Korea,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putation and power of major Asian countries’ university reposit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nine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active. There was only one South Korean university repository in the RWR top 500. All the other repositories ranked in bottom level. However, among Asian countries, Japan and Taiwan have established many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ey had 257 and 52 repositories respectively. Fortunately, some leading university repositories in South Korea began activating self-archiving with the help of linking their own research outputs management system. Also, the attempts by other South Korean university repositories expect a substantial quantitative growth in the near fu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럽국가(스웨덴, 영국, 프랑스)의 국가도서관,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을 각각 방문하여 도서관정책 및 정보서비스에 대한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을 위한 우리나라 도서관서비스의 정책을 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점을 제언하였다.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는 일관된 정책과 실행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전문기관으로 독립해야 하며, 민간장애인도서관의 역사성과 전문성이 계승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국가, 공공, 장애인도서관 및 학교, 대학도서관과의 협력적 체제정비로 대체자료 개발, 통합목록 및 전문서비스 개발이 요구되며, 도서관 내적인 협력뿐만 아니라 외적인 환경인 사회적 제도, 법적 제도 및 장애인관련단체, 지방자치단체 등의 협력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uggestions for Korean libraries for disabled person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upon library policies of national libraries, public libraries and libraries for disabled person i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Sweden, UK and France. Korean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should be independent in order to have consistent policy and ability for its execution. It should also support private libraries for the disabled in inheriting professionalism and accumulated history. Developing alternative material, integrated catalogue and professional service is required by cooperative and systematic arrangements among national and public libraries for disabled person including schools and university libraries. Also, it should be able to grow not only on the basis of internal cooperation among libraries but also with the help of external organizations like social and legal systems, organizations related with the disabled and regional self governing bodies.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constructed an ontology targeting journal article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Also, the performance of a triple structure ontology was compared with the knowledge base of an inverted index file designed for a simple keyword search engine. The coverage was three year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from 2007 to 2009. Protégé was used to construct an ontology, whilst utilizing an inverted index file to compare performance. The concept ontology was manually established, and the bibliography ontology was automatically constructed to produce an OWL concept ontology and an OWL bibliography ontology, respectively.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knowledge base of the ontology, using the Jena search engine with the performance of an inverted index file using the Lucene search engine. As a result, The Lucene showed higher precision rate, but Jena showed higher recall rat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록물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정부저작물의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저작권의 문제를 다루었다. 미국과 영국의 저작권법에서 정부저작물에 대한 규정 및 정책을 국내 저작권법의 규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저작권법이 이들 두 나라에 비하여 정부저작물에 대한 보호를 더 폭넓게 함으로써 이용에 장애가 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부저작물 생산기관인 각국의 정부웹사이트와 국가 대표 기록관의 저작권 규정과 관리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내의 정부웹사이트와 기록관이 기록정보 서비스에 더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의 저작권법에서 정부저작물에 대한 정의를 추가하고 관련 규정을 수정하고, 정부기관에서는 이미 정부에서 개발한 정보공유라이선스를 각 부처의 저작물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copyright problems of government works which take up a considerable part of public records. The provisions related to government works of the copyright laws of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with similar provisions in copyright act of Korea. The copyright act of Korea protects more strongly government works than U.K and U.S. therefore is an obstacle for use of the works. Also websites of governments and national archives are examined for their copyright policies in the process of service of government works. This paper found that the copyright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s' official websites and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limits free use of government work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rovision of definition for government works need to be added to the copyright act of Korea and the provision 7 should be revised. And open access license V.2 which developed by Korean government should be applied to government works.

106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윤정원(University of South Florida)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7, Vol.34,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07
초록보기
초록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논문의 인용은 보편적인 규범으로 자리 잡은 데 비해 데이터의 인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기되고 있는 데이터 인용의 필요성 및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터 인용체계 구축 사례에서는 데이터 인용 요소들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DataCite, Dataverse Network, Data Citation Index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 인용 분석을 통해 국내 데이터세트 인용/이용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하였다.

Abstract

Data citation remains in its infancy, although providing the citation to a journal article is a typical norm in an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data citation, it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ssu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cases that established data citation mechanism, including DataCite, Dataverse Network and Data Citation Index that define elements of data citation and provide relevant services. At the end, it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data cit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itations to dataset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107
김동훈(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규리(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주영준(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1, Vol.38, No.1, pp.53-69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0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학제적 연구가 활발해진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에 색인된 국내 주요 학술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 학문분야를 포괄하는 네트워크 분석(대학협력 네트워크,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을 실시하였다. 대학협력 네트워크 분석결과, 서울대학교, 계명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 협력연구를 활발히 진행하는 대학을 파악할 수 있었고,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결과, 이직의도, 직무만족 등 직무 관련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사회학,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등 인용이 많이 되고 있는 핵심 학술지들을 확인하였으며,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교육학, 경영학, 사회복지학이 다른 학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학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계량서지분석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 데이터를 처음 활용하였으며, 키워드, 학술지, 학문분야로 범위를 확장시켜가며 단계적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 간 공동연구의 전략 수립 및 다학제적 융합 연구 기획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search landscape of South Korea using the data of 2020 Google Scholar Metrics. To achieve the goal, we constructed and analyzed four types of networks including the university collaboration network,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the journal citation network, and the discipline citation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versity collaboration network, we found major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and Sungkyunkwan University that have led collaborative research. Job related keywords such as job change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with other keywor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ournal citation network, we found multiple journal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that have been widely cited by the other journals and influenced them. Finally,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were identified as the top influential disciplines that have influenced other disciplines through the knowledge diffusion.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to use the data of Google Scholar Metrics and conduct a stepwise network analysis (e.g., keyword, journal, and discipline) to broadly understand the research landscape of South Korea. Our results can be us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universitie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of promoting university collabor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108
유종덕(경기대학교) ; 최은주(경기대학교) 2011, Vol.28, No.1, pp.123-144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인 저자프로파일링분석과 전통적인 분석기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환경에 맞는 지적 구조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용색인을 이용하지 않고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저자프로파일링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 구조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학술지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uthor Profiling Analysis(APA) to Author Co-Citation Analysis (ACA). The former is a new analytic technique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whereas the latter is a traditional analytic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ppropriate methods to analyz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in the Korean research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dopted APA using Text Mining for analysis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rather than relying on citation index in order to determine a potential utility of the new analytic technique that can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109
홍현진(전남대학교) ; 노영희(KonKuk University) 2008, Vol.25, No.2, pp.69-97 https://doi.org/10.3743/KOSIM.2008.25.2.06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Policy information is very valuable around the nation in its aspects of uniqueness, professionalism and specificity, so it has great significances to individual citiz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instruments for anyone to have easy access to policy information owned by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particularly, it is so impending to develop efficient policy information service(PIS) system. Indeed, however, Korea doesn’t have yet established any policy or system to make policy information available en bloc to citize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to analyze actual profile of Korean policy information circulating institutions, and is also to analyze needs for domestic circulation of policy information, so that it can seek possible ways to consolidate domestic scattered policy information into a nationwide information system to improve national policy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Kore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시각예술자원을 소장 기관이나 관리 주체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합검색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실현을 위한 기반 논의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시각예술자원 관리 기관의 자원 관리 및 검색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국외의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 검색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검색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적 측면과 메타데이터와 시스템적인 측면의 기반조성 및 적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a necessity of and a strategy for the integrated use and the single search across the visual arts resources. For this purpose, at first, analysis was made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visual art resource management and retrieval systems. Secondly, the single search methods and its related technological foundation in foreign art resource institution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foundation for creating a sustainable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and single search that enhance access to and use of art resourc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