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탈중심화, 검색결과: 345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환경에서 물리적인 문헌 단위가 아닌 문헌의 논리적 하위 구성 요소의 접근과 활용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짐에 따라, 이용자의 전자문헌 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문헌의 하위 단위로의 접근을 지원하는 이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염두에 두고,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전자 문헌 모델, 그리고 새로운 상호작용 메커니즘의 세가지 측면에서의 관련 연구를 조사하고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기본적 요구 사항을 결론으로 도출한다.주제어전자 문헌, 정보 단위, 이용자 행태, 디지털 도서관 인터페이스

Abstract

This paper addresses issues related to the design of an interface supporting fine grained interaction with documents, focusing on a particular type of

초록보기
초록

한국어 및 영어의 글쓰기를 도와주는 문장 및 문단 제공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색인작성과 탐색시에 필요한 색인언어를 연구하였다. 색인언어로 명사어와 술어 및 부사어를 선정하였고 여러 가지 보조 색인기호들도 추가하였다. 접근점으로 주제명과 키워드를 사용하였고 키워드 검색은 1절, 2절, 3 절, 문맥첨가 탐색을 포함하였다. 검색의 만족도는 긍정적이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양과 질을 충실히 보완한다면 문장이나 문단을 제공하여 주는 시스템은 효과적일 수 있다.

Abstract

An indexing language were studied to construct the sentences and paragraphs providing system aided to write a Korean or English composition. The indexing language includes the index terms like noun, predicate, and adverb. and also various index symbols. The subject name and the keyword Included the symbols, which Indicate the connectives between clauses in a sentence, is used as the access point. The search results show this system will be effective with large database and developed retrieval methods.

73
박현영(협성대학교 도서관) ; 이혜영(동덕여자대학교) 2016, Vol.33, No.1, pp.139-160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대학도서관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그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에 속해 있는 E그룹 대학도서관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투입․산출요소의 세 가지 조건과 지역 범주별 조건을 구분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 종합적인 결과는 E그룹의 38개 대학도서관과 A대학도서관은 투입요소를 증가시킴으로써 산출물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 대한 법적․제도적 근간을 마련하여 대학의 구성원들에게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켜야 한다. 둘째, 도서관 이용교육이 교육과정에 편성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책을 빌리고 컴퓨터를 사용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 공간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복합공간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afte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library. So,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E-group “A” university,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classifying with three conditions about input & output and factors and conditions about regional categori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operate E-group 38 university libraries and “A” University library by increasing input factors to increase outputs. The improvements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stir up member’s recognition on libraries. To this, there is a legal system for university libr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library use education in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mplex space so that the members can borrow books and use it for cultural space and rest space.

74
강대신(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문성빈(연세대학교) 2009, Vol.26, No.3, pp.377-39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성과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영향력이나 파급효과 등 질적 중심의 연구성과 분석을 위해 텍스트 마이닝, 인용 분석 등을 활용한 새로운 계량정보학적 분석지표를 제안하였다. 즉, 논문품질지수, 인용 영향력지수, 지식확산지수, 국제협력연구지수, 우수논문 생산지수 등 새로운 연구성과 분석지표를 제안하여 질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한 연구성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지표를 활용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bibliometric methods to satisfy the various requests of the interest parties including researchers, managers, policy makers to identify 1) which research group or researcher is the key player, and the overall trends of the particular technological sub-fields, 2) which research groups, institutions or countries mainly use their research outputs, 3) what are the spin-offs from research outputs to som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elds, 4) in which levels they are when comparing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utputs to those of other competitive institutions. It is essential to develop new informetric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in order to satisfy stakeholder's various demands and to strengthen qualitative analysis in measuring research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ed informetric indicators such as article quality index, citation impact index, international cooperation index, excellent article production index and methodologies including citation analysis, text mining.

75
이현실(원광대학교) ; 배창섭(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이은주(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한성국(원광대학교) 2009, Vol.26, No.3, pp.47-67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ecosystem of the Library has been radically changing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We are already aware of the digital library due to populariz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we are impressed with Library 2.0 and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 of user-centered, service-oriented library. We summarize the ultimate goal of the evolution of library systems as knowledge services and propose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knowledge services. This local model can be applied for a library framework to harmonize the diverse knowledge resources, active users wit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he innovation of library busines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ies to achieve the missions of library in knowledge-intensive societ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독서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 성과 평가에 기반 한 로직모델을 적용하였다. 로직모델의 요소로 제안된 6개 요소 중에서 가정과 외부적 요인을 제외한 투입, 활동, 산출, 성과 요인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로, 서울 시내 한 공공도서관에서 연구기간 동안 진행된 4개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프레임워크와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를 제안하였다. 프로그램별로 다양한 성과지표의 개발이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사례 연구로 진행되었지만 대상 프로그램이 공공도서관에서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타 도서관의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의 평가 프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rameworks for evaluating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provided by a public library. Logic Model based on outcome evaluations was applied for the framework development. While the logic model is generally composed of six factors, the framework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four factors including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outcome indicators which were driven from library data. Even though the evaluation frameworks were developed from specific programs operated by a public library, those might be able to be used to evaluate other libraries’ programs for children since the target programs are commonly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은 물리적 장소로서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가상도서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설계하는 도구로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의 실행 문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로 구분하고 전략적 계획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최소한의 요소를 권고하였다. 아울러 UMI, OULS, UBCL, USL 등 선진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문서의 사례를 통하여 사명과 비전, 전략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전략적 계획의 작성이 일반화되지 않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facing challenges to accomplish both roles of traditional libraries as physical places and virtual libraries which service electronic resources effectively.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as a positive tool for designing the future of university libraries addressing threat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core elements be involved in strategic plans of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ctual documents of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America,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These strategic plans were divided into formal elements and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latest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such as UMI, OULS, UBCL, and USL.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s and basic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웹, XML, EAD 등을 포함한 새로운 기술과 기술(description)도구의 출현으로 기존의 도서관자료와 기록물을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정보교환을 위한 다양한 검색보조도구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내용표준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업계의 국제적 동향을 반영하여 ISAD(G) 및 ISAAR(CPF)와 조화를 이루고, MARC과 EAD 등 다양한 검색보조도구의 데이터구조 표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정된 DACS와 기존의 기술규칙인 APPM2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록물 기술규칙 제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dvent of new technologies and descriptive tools, including the Web, XML, and EAD, have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content standard which can integrate and manage to library materials and archives and accommodate various finding aids for information exchange. This research analyzes both APPM2 and DACS. The former is an old established description ru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keeps step with ISAD(G) and ISAAR(CPF) as adopting the international trend of archives and is able to describe the data structure of a variety of finding aids including MARC, EAD, etc. As a result, it presents the points to take into consideration as making descriptive rules about our archives.

79
이종욱(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Yang, Kiduk(경북대학교) 2011, Vol.28, No.4, pp.119-14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119
초록보기
초록

교수연구업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정량 및 정성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양적 측면을 보여주는 논문 수와 질적 측면을 반영하는 피인용 수에 의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연구업적 평가순위를 국내 대학에서 사용되는 연구업적 평가규정을 적용한 순위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문 수에 의한 교수별 순위가 피인용 수에 의한 순위와 차이가 있으며, 대학별 교수 업적평가는 피인용 수보다는 논문 수에 의한 평가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별 상이한 논문 배점기준은 교수업적평가 결과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양적 및 질적 수준을 보다 잘 반영하는 계량서지학적 지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Effective assessment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should involve considerations of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faculty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methods for evaluating faculty research output by comparing the ranking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faculty by publication counts, citation counts, and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guidelines employed by Korean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faculty rankings based on publication counts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citation counts. Additionally, faculty rankings measured by university guidelines showed bigger correlations with rankings based on publication counts than rankings by citation counts, while differences in universities guidelin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aculty ranking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bibliometric indicators that reflect the quality as well as the quantity of research output.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digital services and have tried to preserve valuabl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digital preservation raises challenges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which we added to the problems to preserving traditional format materials, it is necessary that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must be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risk management for exploring preserving technologies and assessing tools. It is found that most university libraries have used format conversion frequently and do not use the emulation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hat medium refreshing has the lowest risk probability and isk impact, but information migration and emulation technology have the highest in the risk probability and in the risk impact individually and the absence of full-time professional staff causes high risk.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