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조직내부성과, 검색결과: 2
초록보기
초록

인적자원관리와 지식공유는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전략으로서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개념간의 연계고리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와 지식공유 그리고 조직내부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적자원관리는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식공유는 인적자원관리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조직의 내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how Human resource management affects the knowledge sharing that facilitat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has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nowledge management. However, main drivers of knowledge activities are individual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thus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discussed in relation with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knowledge sharing.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anagement leadership are presented.

2
박성우(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2011, Vol.28, No.4, pp.279-307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279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경쟁우위와 지속성 유지를 위한 내적 원동력은 지적자본이다. 지적자본은 내부구성원의 역량, 구성원들이 형성하는 조직구조, 이용자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으로 맺어지는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자본 구성요소인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에 관한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동시에 실험적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자본의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의 해석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지적자본 구성요소와 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최적화된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tellectual capital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durability of the public library. This asset consists of the library members’ competenc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mbers,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eople sharing the same interests. These are called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 the respective ord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public library’s intellectual capital assessment as well as creating an experimental assessment model. It analys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capital, which generated an assessment index.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were discovered through empirical study to improve the assessment system.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