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정보인프라, 검색결과: 12
초록보기
초록

학술 연구정보의 지식활용을 위한 노력으로 국내 환경공학 R&D 정보의 지식전환 가능성을 조사하였고 그 가능성에 따라 지식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과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정보자원자체의 현황 정보 기술 인프라, 지식기반, 그리고 지식활용 영역의 4개영역으로 구성되었고 각 영역은 세부항목으로 구분되어 총 103개 지식관리시스템의 전환가능성이 조사, 분석되었다. 진단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소 연계 프로젝트의 공동작업을 수행하고 그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연구과 정상의 문제해결과 지식전환 시에 예상 가능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 중심의 지식관리시 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surveyed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R&D information system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knowledge-transformation for KMS. Four major requirements of the transform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evaluation index tool which was integrated and refined from the existed indices. and a process-oriented project approach was suggested with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KMS

2
김은정(kt 그룹컨설팅지원실) ; 남태우(중앙대학교) 2012, Vol.29, No.2, pp.27-4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2.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수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제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관리규정과 선행연구를 통해 요인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바탕으로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국내 35개 기관 연구원 135명으로부터 설문 결과를 받았다. 결과분석을 통해 정보인프라, 동기부여, 장애 측면에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researcher’s behavior and attitudes about depositing data from sponsored research. I analyzed the behavior, barriers, incentives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135 researchers in 35 Korean research institutes. The survey identified several factors that may encourage timely deposit of data b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analyzing factors, I propose the following methods in perception, incentives, use, policy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aspects.

3
홍현진(전남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 강미희() ; 정대근(전남대학교) 2003, Vol.20, No.2, pp.285-318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2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립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국가과학기술 문헌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부합한 적정규모의 최적모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과학기술문헌센터의 기능 중 건물 규모 산출과 설비를 위해 자료공동보존소로서의 콘도미니엄 프로그램 개발과 하이브리드 도서관, 클리어링하우스 등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물의 공간구성 프로그램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의 계획 대지 현황분석과 기본구상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theoretical base and guideline for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mical information ivfrastructure of the national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obh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i strengthen the need of the building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and provide operation programs and vision toward information center which will be established later. This study suggesrs a plan and strategy which make it possoble to conduct functions asthe national repository, clearinghouse, and portal gateway of the electronic resource and propose apace program fpr the optimal building constructio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ver the building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as well as the basic plan of scale and space progran, validity analysis of site location and environment

4
김혜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 민윤경(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1, Vol.38, No.2, pp.305-33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3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을 위해 대학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가진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탐색하였다. 질적 데이터의 내용분석 결과, 심층면담 참여자들은 사회, 교육, 연구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적합성, 최신성, 고유성, 신뢰성, 현장성, 편의성’의 6가지 특성을 띠는 심층적 정보요구를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매체와 인적자원, 그리고 장소매체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보행위를 수행하는 가운데, 참여자들의 신분이나 주제분야, 소속대학을 뛰어넘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정보문제로서 ‘개개인의 미디어․정보활용역량 차이, 대학간 자원인프라 격차, 저작권과 소통채널의 문제’ 등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방향성으로 ‘개인화된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서비스, 정보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장소매체로서의 도서관, 인적교류장소로서 자원인프라플랫폼, 접근성 높은 정보매체 활용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have six types of information needs such as ‘suitability, up-to-dateness, uniqueness, reliability,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while going through societal, educational, and research-related changes. Interview participants solved their information needs by acquiring the resources necessary for each individual’s task through information behaviors using information media, human resources and the places. Each participant tried to solve his/her information problem through individual efforts based on their different medi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four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y are an personalized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a space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an infrastructure platform for exchanging human resources, and an accessible support service for utilizing information media.

초록보기
초록

현대사회의 개인과 단체가 일상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디지털 객체는 현대 인류에게는 정보자산이지만 미래 인류에게는 소중한 디지털 유산이 된다. TRAC은 디지털 보존이라는 막중한 책무를 자임한 디지털 아카이브가 그 책무를 실효성 있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TRAC과 우리 나라의 웹자원에 대한 장기적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OASIS 간의 격차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평가 결과, OASIS는 조직 및 기술인프라 측면에 비하여 장기 보존 기능을 포함한 객체관리 인프라가 취약한 상태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the modern society produce diverse digital objects everyday, which are not only valuable information resources at present but also will be invaluable digital heritage for the future generation. TRAC(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 Certification: Criteria & Checklist) is one of the evaluating tools against which digital archives could be assessed for their preparedness to perform the task of long-term preservation. The current study uses TRAC to assess OASIS(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 The results show that the web archive has a greater room for strengthening in the object management infrastructure than in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infrastructures.

6
김현희(명지대학교) ; 정경희(한성대학교) ; 김용호(부경대학교) 2006, Vol.23, No.4, pp.17-3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17
초록보기
초록

기관 리포지토리는 오픈 액세스 운동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체제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학술 정보 공유 공간으로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 컨소시엄인 dCollection을 2003년에 구성하여 현재 62개의 국사립 대학들이 회원 대학으로 참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도에 구축된 dCollection 평가 모형을 조사 도구로 활용하여, 40개의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dCollection 자료의 등록률 및 이용율 향상에 초점을 맞춰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국가지식정보 유통체제의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Abstract

Building institutional repositories is known as one of powerful methods for realizing the open access movement.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proposed to organize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to a consortium, called "dCollection (Digital Collection)," composed of 62 universities since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40 member universities of dCollection using the evaluation model including 4 categories and 39 indicators, and, based on the survey outcomes, to pinpoint the procedural or performance weak points of the dCollection systems in order to find its customized solution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use and self-archiving rates.

7
안부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 한정민(KISTI) 2006, Vol.23, No.4, pp.89-110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89
초록보기
초록

생명과학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학문분야 중 하나이다. 국내 생명과학 관련 연구자들은 산학연에 흩어져 중요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형태(실질적인 연구결과물, 논문, 연구노트, 세미나 자료, 단행본, 교재 등)로 생산되고 있다. KISTI에서는 생명과학 관련 연구정보의 신속한 획득을 위해 생명과학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오픈 아카이빙 커뮤니티 (BioInfoNet)를 구축하여 연구자들이 커뮤니티를 발전시켜 가도록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플랫폼으로서의 웹인 웹 2.0을 기반으로 오픈 액세스가 가능한 생명과학 문헌정보를 수집하여 메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주제별 공개 BBS(BioBBS)를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Abstract

Life sci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which have direct influence on human life. Many domestic life scientists in the industries,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been producing important results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papers, research notes, presentation materials,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Open Archiving Community has been constructed in order to share and exchange research information related to life science between researchers. The domestic life scientists can acquire valuabl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ty quickly and efficiently.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to provide free access to all data including metadata registry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life science and research results accumulated by researchers of their own accord. The community system also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based on Web 2.0 and provides users with BBS by subjects.

8
박성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선임기술원) ; 이미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책임연구원) ; 조민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책임연구원) ; 송사광(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책임연구원, UST 응용AI학과 교수) ; 김다솔(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기술원) ; 임형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센터장) 2024, Vol.41, No.1, pp.465-486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4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개발하고 있는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KRDC)를 실제 이용할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자를 대상으로 연구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인프라와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KRDC 체계 구축과 관련한 연구데이터 관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ISTI를 제외한 24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답한 15개 기관 중 후속 인터뷰에 동의한 9개 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 결과, 대부분의 기관들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연구데이터 활용을 위한 통합 분석 프레임워크의 도입과 외부에 공개된 분석 SW를 사용할 수 있는 체제에 대한 제공 의향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후속 인터뷰를 통해 각 기관별로 제공하는 분석 서비스의 외부 공개 현황을 파악해보았을 때, 매우 소수의 기관만이 이를 외부에 공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분석해보면,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 인프라와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으나, 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분석 자원을 공개 및 공유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RDC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연구 현장에서의 분석 인프라와 분석 서비스의 공유가 필수적인 만큼 연구 현장에서의 인식 전환, 나아가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며, 후속 인터뷰에서 제시된 시스템의 편리성, 보안, 보상체계 등을 잘 고려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and services for analyzing research data for research data managers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under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Science and Technology (NST) who will actually use the Korea Research Data Commons (KRDC), which is being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research data manager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KRDC system.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4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excluding KISTI, and interviewed research data managers from 9 of the 15 institutions surveyed who agreed to follow-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institutions were providing related services, and their willingness to introduce an integrated analysis framework for the use of research data and provide a system for using externally released analysis software was also high. Meanwhile, when we investigated the external disclosure status of each institution’s analysis services through follow-up interviews, only a minimal number of institutions were disclosing them to the outside worl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re is a demand to utilize analysis infrastructure and services when provided through the framework.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close and share the analysis resources held by each organ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KRDC system, it is essential to share research sites’ analysis infrastructure and services, and in addition,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research sites and institutional changes are necessary.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policies that consider the system’s convenience, security, and compensation system raised in the follow-up interviews.

초록보기
초록

지식관리 인프라의 구축에는 다양한 정보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와 통합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도서관과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 내·외부 지식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통합적인 시각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의 주요 요소별로 두 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공통기반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각각의 제한요소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지식관리 통합모형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정제된 외부지식을 적시적소에 공급하는 디지털도서관과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지원하는 지식관리시스템의 유기적인 연계와 통합은 지식관리의 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n interface or integration among various information system is needed to construct knowledge management infrastructure. Particularly, digital libra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have to be implemented in the view of integration for activating interac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So this study conduct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systems in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key factors, and then explores the ways toward an integration model. The integration model is designed for activating user interface and consistent flow of knowledge. This model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10
노영희(건국대학교) ; 이수지(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박홍석(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Vol.25, No.1, pp.99-127 https://doi.org/10.3743/KOSIM.2008.25.1.099
초록보기
초록

국가경쟁력의 근간은 대학경쟁력이고 대학경쟁력은 학술·연구·정보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IMD는 국가경쟁력에서 2위를 한 싱가포르가 대학경쟁력에서 1위를 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국가경쟁력은 대학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지식인프라 구축사업이 국가 단위의 종합적 계획없이 진행되고, 지식정보자원의 총량 분석없이 산발적·경쟁적으로 진행된 관계로 일반적인 정보원구축에 중복 투자가 되는 반면에 수집이 어렵고 많이 활용되지는 않으나 역사적·학술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정보원은 오히려 소외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자산인 국가지식정보자원 중 학술정보자원만이라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학술자원에 대한 총량분석을 기반으로 한 예산 투자 및 정보화사업과제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술자원관리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학술자원의 효율적 연계, 보급, 활용을 위해서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식기반시대에 적합한 국가단위학술자원관리 체제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National competence is based on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ness of academia, research and information. IMD reported that Singapore, #2 country in national competence index, topped in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Meanwhile Korea's current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project lacks comprehensive coordination at a governmental level and has been conducted in a rather sporadic mann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overall analysis of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Consequently, a disproportionate amount of attention was devoted to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resources, while neglecting rare, hard-to-collect sources with historic, academic, and/or cultural values. This study proposes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fully supervise academic resources at least, among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which is a national asset, and also to allocate budget and cultivate new information building projects based on overall analysis on academic resources.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management system to implement efficient linkag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cademic resources and, to that end, we need to build an academ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at a national level, maximizing the benefits from the knowledge society that we live i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