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전자정보, 검색결과: 5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digital services and have tried to preserve valuabl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digital preservation raises challenges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which we added to the problems to preserving traditional format materials, it is necessary that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must be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risk management for exploring preserving technologies and assessing tools. It is found that most university libraries have used format conversion frequently and do not use the emulation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hat medium refreshing has the lowest risk probability and isk impact, but information migration and emulation technology have the highest in the risk probability and in the risk impact individually and the absence of full-time professional staff causes high risk.

2
서혜란(신라대학교) ; 서은경(한성대학교) ; 오경주(연세대학교) ; 이소연(한국여성개발원) ; 정원식(경남대학교) 2006, Vol.23, No.1, pp.301-333 https://doi.org/10.3743/KOSIM.2006.23.1.301
초록보기
초록

기록정보의 중요성이 급격히 강조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기록정보의 국가지식자원화에 대한 요구가 크게 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기술적 및 법제도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통합적 정보자원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국가기반의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참조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전자기록물을 국가지식정보자원화 할 필요성과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 정보자원관리의 국내 사례로서 정부지식관리시스템과 국가지식포털을 분석하였고 미국의 전자기록아카이브(ERA) 프로그램과 유럽연합의 EUN 및 COVAX을 소개하였다. 다음, 전자기록관리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정보자원의 통합적 관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록정보관리시스템 연계 아키텍처, 국가지식자원 통합 환경 아키텍처, 범 환경 통합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참조모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study is to propose the reference model of Korean record management for integrated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based on the Korean regulation and administrative environment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reasons why the electronic records must be come to the one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nd reviews several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such as GKMS, KADO, ERA, EUN, and COVAX. Next, the study proposes the integrated records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integrated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management environment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for integrating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

3
서혜란() ; 서은경() ; 이소연() 2003, Vol.20, No.2, pp.241-26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241
초록보기
초록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은 전자기록이 자생적으로 갖고 있는 취약성과 가변성과 같은 특성 때문에 전자기록의 진보성 유지 측면을 충분히 반영시켜야 한다. 복제와 변조가 수월하고 장기보존 시포맷변환을 시켜야 하는 전자기록에 대한 진보성 유지는 도전하기 어려운 과제이기는 하나 정확한 역사 기술의 전제가 되는 기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절대로 회피할 수 없는 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기록의 진본성 유지를 위한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신뢰할 수 있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는것을 목적으로 하여, 우선 기록 및 전자 기록의 의미, 진본성 그리고 진본성 평가를 위한 요건을 소개하였다. 또 시스템에서 전자기록의 진본성을 유지하기 위한 원칙, 전자기록의 진본성에 대한 오디트 트레일이 가능하게 하는 지적 정보 기술 방안과 시스템에서 구축해야 할 자본성 유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마직막으로 전자 기록의 진본성 유지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시한 전자기록 관련 시스템 표준을 살펴보았다.

Abstract

The electrom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must create and maintain reliable and authentic records because such records can be easily duplicated, manipulated, altered, and revis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maintaining authenticity of electronic records and to produce some baselines for developiing the trusted record management systems. Therefore,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define the cpncept of an electronic record and the nature of authenticity; ti establish the principles for ensuring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authentic electronic records; to suggest the methods for describing electronic records in order to maintain audit trail; to propose the mechanisms for maintaining reliable and authentic electronic records; ti analuse the Korean standards related to dlectrinonic document management sstems; and to discuss future challenges for maintaining the authenticity.

초록보기
초록

시니어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도서관의 주 이용군으로 부상된 시니어를 대상으로 디지털환경에서 정보접근 및 검색 편의정도,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55세 이상의 국회도서관 이용자의 이용행태 및 검색행태를 조사하였고 이러한 행태와 만족도를 시니어 세대별 즉 베이비붐세대의 액티브시니어 그룹과 노인세대의 시니어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회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세대는 여가를 목적으로 방문하며 정치․사회, 종교․철학, 역사․지리분야를 선호하였으나, 베이비붐세대는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경제․재테크, 예술․문화 분야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검색을 실패하였을 경우 베이비붐세대의 시니어는 스스로 결과를 제어하는 반면, 노인세대는 사서에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니어 두 그룹 모두 장시간 전자도서관을 이용하면서 자료를 브라우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편의․정제 기능에 대한 이용률이 저조하였다. 따라서 시니어의 이용을 활성화하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니어 전담사서가 필요하고 전자도서관을 이용하는 시니어를 위해 따로 도움말, 메뉴 설명이 필요 없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로써 현 이용자뿐만 아니라 잠재적 시니어들의 정보 리터러시 향상과 이용성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s coming Senior-Shift age, senior users are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ce user groups in the library. This study is to find the usage patterns and needs of libraries and digital libraries by 152 seniors and to compare with young-old age (baby boom generation) and elderly age. As a result, total seniors visited regularly and preferred political & social, religion & philosophy, and history & geography. While the baby boom generation are using the economy & finance, art & culture compared to the older. And the baby boom generation visit for self-development and the older visit for leisure purposes. Secondly, If the search fails, the baby boomers control the results themselves, while the older is more turn to the librarians. It can be described as the need for a librarian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senior. Thirdly, senior have difficulties in access and use of search aided tools or func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tuitive interface using the help and menu descriptions for senior who have poor access to convenience and define functions.

5
김지현(국회도서관) ; 서은경(한성대학교) 2015, Vol.32, No.4, pp.55-7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4.055
초록보기
초록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연구는 전문가 정보추구행태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되어왔다. Leckie 등의 모델과 같은 선행 연구들에서 분석되었던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가 오늘날 한국 변호사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를 연구 질문으로, 본 연구는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21명의 변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특히 변호사의 경험(경력)과 소속 로펌규모 별로 조사대상을 선정하여 정보추구행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Leckie 등의 모델은 오늘날 한국 변호사에도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선행 연구에서 파악되었던 변수(변호사 경력, 로펌규모 등) 역시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오늘날 변호사들은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비공식 정보보다는 공식 채널을 통한 정보추구를 보다 선호하며, 전자형태 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도 분석됨으로써 기존 선행 연구와는 상이한 정보추구행태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개별 인터뷰를 통해서는 첫 번째 온라인 검색이 실패한 경우에 동료나 선후배를 통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prior studies on the practical lawy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cluding Leckie et al. (1996) model showed that role of the work and nature of the work in attorney’s practices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orney’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his study now asks if these prior analyses can be applicable to attorneys’ practices nowadays. This study perform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21 practical attorneys in korea who were grouped by their experience period and the size of law firms. This study concludes that role of the work in Leckie et al. model still affects the attorney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oday and moreover, the attorney’s experience and the size of law firms as variables also have made an impact on attorney’s behaviors so far. By the way, this study further finds that the attorneys prefer the digital information in online database and formal information like statutes or case laws. These results are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m of the prior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ehavior such as meaningful using of the informal information in difficulties with improper information can be kinds of the attorney’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