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오픈 엑세스, 검색결과: 3
초록보기
초록

기존의 저널 출판 기반 학술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하여 7가지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 동향으로 등장한 자유이용(open access) 학술 커뮤니케이션이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의 자유이용 현황 파악을 위해 자유이용 관련 저널과 아카이브를 조사하였고 자유이용을 위한 라이선스와 소프트웨어 개발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의 자유이용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의 기대 역할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7 problems of journal publishing based scholarly communication and suggested that the open access scholarly communic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at scholarly communication. To understand the status of open access scholarly communication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open access journal or archive, open access license and softwares in Korea, and suggested the expected role of library to be the herb in scholarly communication.

초록보기
초록

기관 레포지토리는 대학의 지적 생산물에 대한 장기적 보존과 신속한 배포 뿐 아니라 상업출판사 구도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변화시키기 위한 주요 수단이다. 우리나라에서는 dCollection 시스템이 기관의 생산물을 수집․보존하는 한편 전국적으로 공유․유통시키기 위한 핵심 운영 도구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dCollection 시스템은 연구 성과 공표를 통해 기관의 존립 이유를 설명하고 더 나아가 오픈 엑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대학의 자발적 운영 도구라고 말하긴 어렵다. 한편, 일본은 우리나라와 같이 문부성의 ‘차세대 기반 구축 사업’ 등에 의해 기관 레포지토리 운영을 확산시키고 있는데, 그 속도는 상대적으로 저조하지만, 개별 대학이 자발적으로 본연의 기능을 실현하고 운영 기술을 성숙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상이한 전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 지원 정책과 레포지토리의 발전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 기관 레포지토리의 발전 과제를 조망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셀프 아카이빙 활성화를 위해 학협회 저작권정책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운영이 시급하며, 연구업적 시스템 등 학내 시스템과의 연동, 다양한 컨텐츠의 등록, 외부 발신 체계 강화 등 기관이 자발적으로 레포지토리 운영 능력을 성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IR(Institutional Repository) is an indispensable instrument for not only long time preservation of intellectual products but also for shifting commercial publishing company-dominated academic communication stream. In Korea, dCollection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contributed on immediate, integrated circulation of distributed research products. dCollection is already one of the few integrating instrument for distributed academic resources, but it has not been university's voluntary instrument to announce their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to realize open access. On the other hand, Japanese government has promoted universities' IR operation through “Next gener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Even though distributing speed is relatively low, each university made ripe operating skill by their selves and realize its own purpose.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policy and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in Korea and Japan from various viewpoints. And also it proposed directions of development about Korean Institutional Repositories.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dCollection이 학위논문 수집기로 활용되고 있는데 반해, 일본의 레포지토리는 다양한 학술 컨텐츠를 수집, 보존, 확산하고 오픈 엑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개별 기관의 자발적인 운영 도구로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 통계 DB인 IRDB를 통해 레포지토리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구축된 컨텐츠량, 종별 구축 비율, 그리고 종간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등록된 컨텐츠 특성을 변수로 K-means 군집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일본에 형성된 기관 레포지토리가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는 교내학술논문, 학위논문, 기술보고서, 의학자료, 학술잡지논문 등 다양한 컨텐츠를 수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컨텐츠의 특징에 따라 5개의 차별화된 군집으로 유형화됨으로써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었다.

Abstract

While dCollections of Korea have been initiated by a government for metadata harvesting,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Japan have been managed as instituion’s independent tool for not only collectiong, archiving and distributing their intellecture assets, but also realizing open access. This study analyzes IRDB of Japanese statistically for understanding feature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by clustering the repository on the basis of types of contents, the differences have been brighten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Japanese repository contains diverse types of contents, such as journal articles, scholarly papers, text books and technical reports. etc. and clustered by five distinguished group with different contents typ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