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연계방안, 검색결과: 3
1
이지연(연세대학교) ; 민지연(연세대학교) ; 주수형(연세대학교) 2007, Vol.24, No.3, pp.299-31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3.299
초록보기
초록

최근 국가지식정보가 전문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한 콘텐츠로 인식되면서, 질 높은 콘텐츠를 확보하려는 검색포털과 국가기관 및 종합정보센터 간의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계는 이용자의 접근성과 지식정보 이용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지식정보 유통의 초기 단계에 놓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 제공기관, 검색포털, 국가지식포털을 중심으로 해외 및 국내의 국가지식정보 유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학계, 도서관전문정보센터, 민간 업계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국가지식정보 유통을 위한 각 정보제공 서비스 간의 연계 방안에 대하여 검토,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information portals, national institutions, and integrated information centers, which are eager to acquire quality contents, actively share contents. Korean national knowledge is recognized to be superior in terms of its specialty and reliability. Currently,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knowledge in Korea is at the beginning stage as the content sharing was intended to enhance the users'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and ease of information us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national knowledge distribution status in Korea and abroad by analyzing the roles of the information providers, information search portals, and Korea Knowledge Portal. We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experts, who represent academic institutions, libraries, specialized information centers, and commercial ventures. To enable effective Korean national knowledge distribution, we generated suggestions for the respect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to share and cooperate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interviews.

2
이지연(연세대학교) ; 안준범(연세대학교) ; 오혜영(연세대학교) ; 서혜린(연세대학교) 2018, Vol.35, No.3, pp.189-21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16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자료와 전국 108곳의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사서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서비스 수준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은 인력 및 예산의 부족, 시설의 협소함, 유연하지 않은 프로그램 내용 등의 문제점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임을 나타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어린이청소년의 흥미 유발 및 참여자 간 유대감을 형성하는 프로그램 개발, 학교 및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 증진, 도서관 프로그램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식 제안, 정보 소외계층 중점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도서관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 요청 등을 제안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프로그램 기획부터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방안까지 다방면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also to develop improvement plans for th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s on the levels of services they provided, the 2016 Korea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data and the survey results from the children and youth program librarians in the 108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e problems such as lack of human resources and budget, shortage of space, and an inflexible program curriculum, which affect the program as a whole negatively. Five suggestions were made to remedy the problems. They are: 1) development of the new programs, which can interest the children and youth and motivate the sense of association among the program participants; 2) increase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 school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nearby region; 3) incorporating the new program format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4) starting the new services explicitly targeted for the information-poor group of people; and 5) soliciting policy-level support for the libraries. In summary, this study made a few suggestions for the libraries ranging from planning the programs to requesting assistance from the national as well as the regional governments.

3
이지연(연세대학교) ; 김준섭(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6, Vol.33, No.4, pp.201-223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201
초록보기
초록

정보이용자연구는 인간과 인문환경을 대상으로 삼는 연구 분야로서, 본질적으로 연구의 활용성과 확장성이 높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정보이용자연구에 대한 연구동향과 실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정보이용자연구의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들의 공유와 확산이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 5개에 게재된 5,392편의 논문들 중, 정보이용자연구를 주제로 또는 정보이용자연구를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생산된 논문들을 전수조사한 다음, 주제 분류표 및 분류 원칙을 설계하여 분류하고, 국내 정보이용자연구의 생산성과 연구동향을 질적인 내용 분석을 가미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이용자연구는 도서관 주제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정보이용자연구 결과물을 활용하여, 타 인접 학문과의 연계를 바탕으로 학계에의 또는 사회 제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s a type of humanities discipline, information user studies tend to have influence and applicability on the related research fields. However, research trends and status of the user studies in Korea have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and thus resulted in limited sharing of the research outcomes. In this research, all papers related to the information user studies were selected from 5,392 articles reported in the fiv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The chosen pap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categories then qualitatively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productivity and trends. Library was the main theme of the information user studies. A number of suggestions were generated to apply the information user studies outcomes in solving academic as well as wider societal problem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