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아카이브, 검색결과: 27
초록보기
초록

최근 국가기록원은 표준영구기록관리시스템 개발 계획을 검토하였다. 서울시 등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건립에 따라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영구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또한 국가기록원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국내 수요에 기반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수요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하며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현황과 공개 소프트웨어 분석 프로젝트를 조사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능 모듈 도출 방법과 각 기능모듈에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때 필요한 재정적, 운영적 요건과 모듈 간의 연계 등 기술적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Abstract

Recently,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planned to develop the Standard Archive Management System, to make it economical and efficient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archives establishments by Seoul Metropolitan City. Also, the institution signed the MOU with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o set up a digital archive system and foster professional archival manpower. These movements are rooted on the current domestic demands for digital archive systems. Keeping pace with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feasible ways to establish the sustainable and efficient archive systems. To this end, a status study on the existing digital archive systems at both domestic and overseas bases was carried out, with the many of open source software analysis. Based on the primary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implement the digital archive system, functional module deducting methods and an open source software application process on each module were designed. Financial, operational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such as the links between modules are also considered.

초록보기
초록

현대사회의 개인과 단체가 일상적으로 생산하는 다양한 디지털 객체는 현대 인류에게는 정보자산이지만 미래 인류에게는 소중한 디지털 유산이 된다. TRAC은 디지털 보존이라는 막중한 책무를 자임한 디지털 아카이브가 그 책무를 실효성 있는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TRAC과 우리 나라의 웹자원에 대한 장기적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OASIS 간의 격차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평가 결과, OASIS는 조직 및 기술인프라 측면에 비하여 장기 보존 기능을 포함한 객체관리 인프라가 취약한 상태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the modern society produce diverse digital objects everyday, which are not only valuable information resources at present but also will be invaluable digital heritage for the future generation. TRAC(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 Certification: Criteria & Checklist) is one of the evaluating tools against which digital archives could be assessed for their preparedness to perform the task of long-term preservation. The current study uses TRAC to assess OASIS(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 The results show that the web archive has a greater room for strengthening in the object management infrastructure than in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infrastructur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구술자료 아카이브 정보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구술기록물의 생산, 수집절차, 접근의 용이성, 저작권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설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안과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활용 가능한 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내외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5개 기관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평가용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on production, procedures of collection, accessibility, copyright of archival records for designing oral history archive information system, and aimed to suggest practical standards by developing 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building of web oral history archives. For this, based on evaluation framework, guidelines for evaluation designed by researchers were applied to five domestic and foreign web oral history archives as case study analysis. Base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ome possible suggestions were made for building successful web oral history archive information system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기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효과적인 접근과 활용을 도모하고 이용자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소셜 태깅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한 아카이브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아카이브의 기술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소셜 태깅이 적용된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연구를 통해 소셜 태킹의 활용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용자 참여 단계 유형을 재구성하여 소셜 태깅을 통한 참여 단계 모델을 제시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이용자의 참여와 콘텐츠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표현, 커뮤니케이션, 협업에 따른 소셜 태깅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It analyz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volved with digital archives, and the user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through social media. The analysis explored the aspects of social tagg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in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s, it developed the model of social tagging for us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digital archives. The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open and game platforms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5
유호선(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8, Vol.35, No.2, pp.115-139 https://doi.org/10.3743/KOSIM.2018.35.2.115
초록보기
초록

재난 웹 기록물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재난 아카이브의 구축은 국가적인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 아카이브의 웹 기록물 수집에 있어서 이슈 생존 주기 모형에 기반한 수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재난 아카이브의 웹 기록물 수집 현황, 수집 방법 및 기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10년간 발생한 재난 이슈를 수집 및 분석하여 이슈 생존 주기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슈 생존 주기 모형은 재난의 특성에 따라 돌발형 및 주기형으로 구분되며, 각 모형에 따른 웹 기록물 수집 방안을 제시하였고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Due to the value and the importance of preservation of disaster web records, to build disaster archives is globally becoming a national challenge. This study proposes a acquisition methods based on the issue life cycle model for collecting disaster web records. We firstly analyzed web records acquisition status, methods and period of domestic and foreign disaster archives. In addition, the issue life cycle model was deriv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isaster issues in the last 10 year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ssue life cycle model was divided into the sudden type and periodic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 a method to collect web records according to each model and verify its applicability.

6
장재우(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 이승휘(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김인택(명지대학교) ; 백대원(㈜세미콘네트웍스) 2019, Vol.36, No.2, pp.223-25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223
초록보기
초록

국내에서 공연 예술의 아카이빙 방안에 관련된 연구들은 최근 다방면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클래식 음악 공연정보를 한 곳에서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지난 공연정보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은 시도된 바도 없었고 이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진 일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클래식 음악 공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존하며 서비스할 수 있는 참여형 아카이브 포털을 제안하고,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공연 아카이브 포털의 요건 및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기능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카이브 포털의 기능요건을 확인하고 클래식 음악 공연정보의 특성에 맞추어 재구성하였으며,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였다. 또한, 검색 및 패싯 내비게이션과 이용자 참여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설계와 구현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기능들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e research on the archiving performing arts has recently been conducted on various aspects in Korea,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r attempts to build a digital archive that can systematically identify the information on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in one place and get the past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articipatory archive portal for providing, preserving and servicing information on all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and tried to design the functions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performance archive portal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We identified and proposed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portal, re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information, and designed metadata elements. Then we present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direction of search and facet navigation, as well as use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s. Lastly, we developed a prototype that implemented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face.

7
김성훈(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도슬기(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9, Vol.36, No.2, pp.153-17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 교육자원 아카이브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초조사의 성격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웹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의 초․중등 교육자원의 관리 현황 및 교육자원의 유형을 파악,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원의 가치에 따른 아카이빙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조사 수행, 전문가 워크샵을 통해 우선순위 선정 및 교육자원 아카이브 체계 구축의 당위성에 대한 토론 및 의견수렴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국내의 초․중등 교육자원은 공공과 민간의 영역에서 많은 양이 생산되나 산발적으로 관리되며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아 이용에 불편함이 있는 상황이다. 교육자원의 유형 추출 및 우선순위 선정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사례정보, 교육과정 관련자원, 교과서 등이 보존해야 할 가치가 높은 교육자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교육자원이 가진 가치와 아카이브 수행 기관의 당위성을 근거로 국가적 차원의 교육자원 아카이브 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자원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단초로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asic facts on educational resources in Korea and see how educators have managed their tasks without educational resource archives. The research had the following steps: 1) finding out how the current stat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ources is managed and type of educational resources via Web search and literature review, 2) conducting a survey to determine archiving priorities according to the value of resources to the users, and 3) engaging in a discussion with experts on merits of establishing an educational resource archive system. Due to sporadic management and restricted use of educational resources produced in Korea,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sources are not easily available to the public even thoug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roduce significant amount of resources. The survey result on preferred educational resource types for archiving showed the following top three: 1) actual case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2) curriculum related resources, and 3) various textbooks adopted. Considering the valu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the necessity of archiving agencies, the experts recommended to set up a national archiving system of educational resources. This study hopes to raise awareness of the need to set up educational resource archives as a star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의 효과적인 관리, 검색, 활용을 위하여 FRBR 모형을 기반으로 한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개발하였다. 무형문화유산은 추상적인 개념에서부터 이를 구현한 물리적 자료에 이르기까지 논리적 계층을 가지고 있고, 특정한 무형유산이 영상, 음향 등 여러 매체로 표현되기 때문에 다양한 연관 관계들을 충분히 표현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BR 모형에서 제시하는 제1집단 4계층 구조를 바탕으로 무형문화유산 및 관련 기록물을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의 4개 수준으로 나누어 각 수준에서 필요로 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s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FRBR model for effectively managing and retrie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Sinc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a logical layer from its abstract concept to a physical record that realizes the concept and it can be expressed in diverse formats such as video and audio, it is necessary to represent such rich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set of metadata elements at each of the four levels (work, expression, manifestation, and item) the FRBR Group 1 presents.

9
변영태(홍익대학교) ; 황상규(홍익대학교) ; 정찬기(국방대학교) 2010, Vol.27, No.4, pp.33-4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33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혁명 및 네트워크 기반 정보공유 대중화는 국방 분야 디지털콘텐츠 수를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급격하게 그 수가 증가한 장기 보존된 디지털화된 공공정보 가운데 사용자 본인에게 적합한 공공정보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는 원 자료의 출처 및 생산 시기에 따라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디지털콘텐츠 간에는 많은 상호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는 공공분야 디지털 아카이브 정보 생산자와 정보 이용자 간의 상호 지식을 명시화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공공정보 검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는 정보 생산자와 정보 이용자 간의 교량과 같은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업무 처리절차에 대한 의미 지식 추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비정형의 업무 활동들로부터 정형화된 비즈니스 서비스로의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 자동화는 실용화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써 전사적 아키텍처(ITA/EA)로부터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자동화 방안을 제안한다.

Abstract

The growth of IT technology and the popularity of network based information sharing increase the number of digital contents in military area. Thus, there arise issues of finding suitable public information with the growing number of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publ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ource of raw data and the time of compilation may be variable and there can be existed in many correlations about digital contents. The business service ontology makes knowledge explicit and allows for knowledge sharing among information provider and information consumer for public digital archive engaged in improving the searching ability of digital public information. The business service ontology is at the interface as a bridge between information provider and information consumer. However,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semantic knowledge extraction for the business process analysis, it is hard to realize the automation of constructing business service ontology for mapping from unformed activities to a unit of business service.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a new business service auto-acquisition method for the first step of constructing a business service ontology based on Enterprise Architecture.

10
박희진(한성대학교) ; 한상은(성균관대학교)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2018, Vol.35, No.1, pp.83-101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E-ARK(European Archival Records and Knowledge Preservation)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 관련 국제 표준과 기술 사항을 분석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핵심 기능 영역을 도출하고 기능 모델 구축에 필요한 기술, 정보패키지와 메타데이터 구현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정보패키지 구성에 있어서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odel of digital archiving based on E-ARK. It analyze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echnological specifications designed for digital archiving. The analysis employed in study explored the common specifications including core processes, information packages, and metadata structure needed for digital archiving.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for digital archiving, in order to achieve interoperability of information packages throughout the proces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