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지접근, 검색결과: 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물 정보가 표현되고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는 링크드 데이터에서도 인물을 표현하는 어휘와 연계되어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주제로 표현된 인물은 개념으로만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전거 정보를 변환한 것 외에는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뿐 아니라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도 서지 정보에 포함시키고,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와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를 연계할 때 링크드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인물과 관련된 부가 링크 정보를 함께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지데이터 검색의 접근점을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s for representing and link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inked data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 and linking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subject has been dealt with a concept, w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tributor has been linked with a vocabulary of personal name. In addition, there have not been assured of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except existing authority data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linked dat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link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subject and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tributor was essential for the quality of linked data. In addition, we propos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son in linked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of access points in information discovery.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보존 기록 자료로서의 우리의 고전 장서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구자나 이용자들에게는 시공을 초월한 열람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디지털 도서관으로서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우선 동양 전래의 사부 분류법과 현대적인 주제 분류, 그리고 색인어 등을 통해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고, 둘째, MARC나 XML 등을 활용한 DL시스템을 구축하되, 서지적 기술요소를 최대한 확대시키며, 셋째, 쉬운 해제와 색인어로 이용자의 이해를 극대화하고, 마지막으로 원본의 손상을 막기 위해 원문 DB를 구축하여 열람용으로 사용한다. 이는 향후 국내외 한국 고전 관련기관과 협력,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체제를 통해 국제적 서지통정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most of all, this study is planned to search an ideal methods to develop the digital library system for our korean ancient books for their safe preservation and, at the same time, for their perusal of transcendental time and space : first, to offer the various access points like traditional oriental Four parts Classics classification, current subject classification and index keyword, etc. ; second, to program a digital library system using MARC or XML, but with all bibliographic descriptive elements as possible; third, to prepare the more easy annotated bibliography and index for users' better comprehension, and last, to build original text database for practical reading to avoid the damage of original text. This type of korean ancient books digital library will be developed to the real international bibliographic control by networking enter the same kinds of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초록보기
초록

노령화사회에서 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도서관의 새로운 도전이다. 본 연구는 노인의 독서 장애요인과 노안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의 독서를 용이하게 만드는 한글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수집 및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유통에 대하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서지리스트와 교보문고의 재고 리스트를 기초로 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접근가능한 큰글자도서는 한국도서관협회가 보급한 큰글자도서 리스트와 기존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용가능한 큰글자도서의 유형, 종수와 권수, 출판연도, 주제, 중복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제점을 식별하고 큰글자도서의 서지통정, 수집 확대, 도서관의 노인 독서 진흥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Services for the elderly is a new challenge for the libraries in aging society. This study reviewed the obstacles faced by the old readers and presbyopia, and analyzed the states of the large-print books to understand and estimate the Korean large-print books availability. Based on the bibliographic list of large-print books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large-print book stock list of the Kyobo Book Center, large-print book lists supplied to the libraries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data of the previous Library Survey for the Disabled, number of titles and volumes, publication year, duplication, and subject field of the large-print books available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problems are identified and recommendations for bibliographic control, collection development, reading promotion, and further research area are suggested.

14
이미화(이화여자대학교) 2011, Vol.28, No.3, pp.103-121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을 KCR4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KCR4의 GMD는 내용과 용기의 용어가 혼합되어 적합한 용어를 선정하기 어렵고, FRBR 개념모형 구현도 용이하지 않다. SMD도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신의 용어가 포함되지 않아 변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 개발된 RDA 자원유형은 AACR2 GMD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의 측면을 고려하였고, 앞으로 목록분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목록환경에 RDA 자원유형의 적용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한 개 기관을 대상으로 GMD 기술의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용어의 변경 및 사서 및 이용자가 원하는 용어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자원유형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및 RDA 자원유형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자원유형 용어는 검색과 기술을 위해 구체적이고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이 필요하였다. RDA 적용 테스트에서는 자원유형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있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RDA 내용유형에 컴퓨터게임을, 용기유형에 DVD, CD-ROM, Blu-Ray, 컴퓨터파일을 추가하여 KCR4의 자원유형을 제안하였다. 기술방식과 화면출력에서도 RDA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KCR4 자원유형 개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seek to apply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It is difficult to choose appropriate term and to embody FRBR model because GMD of KCR4 is the mixture of content-based vocabularies and carrier-based vocabularies. SMD is to need to reflect the current technological terms. Resource type of RDA was already developed to overcome limitation of AACR2's GMD, and would affect the world catalog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ed to apply resource type of RDA to Korean cataloging rule. For this study, case study and survey were used. In case study, it was to scan all GMD term for one university library to build by programming and to grape librarian and users’ potential need. In the survey by cataloging librarian, it was to figure out the current description of resource type in university library and to test RDA resource type. As a result, it was needed to revise the vocabulary to the obvious and user-understandable list. Also it was different in correction rate in RDA testing by resource type. Based on the case study and the survey, RDA resource type was applied to KCR4 resource list by adding term such as computer game in content type, and by inserting terms such as DVD, CD-ROM, Blu-Ray, computer file in carrier type. It also applied RDA description method and display means to KCR4. This study would apply RDA resource type to KCR4 and contribute to revise KCR4 resource typ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GMD를 대체하는 RDA 자원유형인 내용유형, 매체유형, 수록매체유형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고려사항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RDA 자원유형의 디스플레이 방안으로 첫째, RDA 자원유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내용유형과 수록매체유형을 결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RDA 내용유형과 수록매체유형을 아이콘화하는 알고리즘으로 내용유형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수록매체유형 용어를 결합하는 방안과 내용유형과 수록매체유형을 모두 이미지로 표현하고 각 이미지에 해당하는 용어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복합자원의 자원유형 디스플레이를 위해 필드링크와 순서를 나타내는 서브필드를 활용하여 내용유형, 수록매체유형이 세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간략화면에서 자원유형을 나타내는 아이콘은 자원이 디스플레이되는 왼쪽 상단에 두고, 상세화면에서는 자원유형을 기술사항 내에 배치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표출어로 ‘포맷’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의 디스플레이를 계획할 때 고려사항을 제시하였으므로 도서관에서 실질적인 RDA 디스플레이 방안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splay considerations of RDA resource type - content type, media type, and carrier type. The Literature review, the case study, and the survey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 5 display strategie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content and carrier types were better displayed than all 3 types of RDA resources. Second, two kinds of algorithm should be considered for RDA resource icon display. One was the combination of the terms of carrier types plus content types icon. The other was the combination of carrier types icon and content types icon in which the terms reflecting types must be included. Third, the subfield of 33x must be used for the paired display of content type and carrier type of multi-types resources. Fourth, in brief display, resource type icon was better positioned on the left and upper side and in detailed display, resource types were better located in description area. Fifth, ‘format’ was used as display indication phrase.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design for the resource display by suggesting the practical display considerations of RDA resource type.

16
남동인(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박지홍(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2, pp.203-232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203
초록보기
초록

약물중독 혹은 약물사용장애(substance use disorder)는 세계적으로 그 위험성과 유행성이 지속적으로 관측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수많은 관련 연구들이 진행이 되어왔지만, 이와 관련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은 미진한 상황이다. 특히, 약물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거시적 차원의 계량서지학적 접근법을 활용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약물중독의 다차원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회과학, 자연과학기술, 융복합 분야에서의 약물중독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21년까지의 약물중독 연구 논문을 Web of Science로부터 검색 후 수집하였으며, SCI(E) 및 SSCI 정보를 토대로 학문 분야를 분류하였다. 저자 키워드 동시출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연과학기술은 신경정신약물과 보상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이보다는 인구학적 특성이 반영된 약물중독 연구가 수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융복합 분야에서는 이러한 동향을 모두 아우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 동시인용 분석도 수행을 하였는데, 이를 통해 자연과학기술 분야는 슈퍼 저자들이 관측된 반면,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개인 저자뿐 아니라 기관 저자까지도 인용이 많이 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Abstract

Drug addiction or substance use disorder is continuously observed worldwide for its risks and prevalence. In this context,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is issue. However, bibliometric analysis related to drug addiction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that utilizes a macro-level bibliographic approach that comprehensively reflects various characteristics related to drug addiction. In this study, to reflect the multidimensional features of drug addiction, research trends in drug addiction in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study collected drug addiction research articles from 2002 to 2021 by searching from the Web of Science, and classified academic disciplines based on SCI(E) and SSCI information. Author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which provided confirmation that natural science mainly studied psychoactive substances and the reward system in the brain, while drug addiction studies reflect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in the domain of social science. In the multidisciplinary field, all of the above topics were covered. Author co-citation analysis was also employed, which showed that there are superstars (i.e., authors who receive a rigorous amount of citation)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while in the social science domain, authors were highly cited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institutional level.

17
구중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2009, Vol.26, No.1, pp.185-21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과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두 실험시스템의 사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용성은 전체적으로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 보다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이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서관들이 인터넷서점, 검색엔진, 웹포털 등에서 공개한 도서검색용 Open API를 통해 제공되는 풍부한 콘텐트를 온라인목록에서 공유하고 활용하면 서지데이터의 확충, 주제접근과 주제검색 능력의 확대, 메타 검색서비스의 확장, 소장도서의 이용가능성 증대, 목록비용의 절감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by constructing OPAC-based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comparing the usability of the two experimental search systems. As for usability, on the whole, it was higher in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than OPAC-based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f libraries share and use enriched content which is provided through Open API for book search, which is opened by Internet bookstores, search engines and Web portal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bibliographic data, expanding subject access point, empowering subject search ability, extending meta search service, improving book availability, and reducing catalog cost.

18
최윤선(University of Illinois) ; 알렌리니어(University of Illinois) 2006, Vol.23, No.4, pp.5-15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05
초록보기
초록

서지관계모형을 위한 개념적 모델인 IFLA의 FRBR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이 발표되어 왔지만, FRBR 모델의 내부적인 일관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FRBR 객체-관계 (entity-relationship) 모델에서 객체들 (entities)간의 관계 (relationships) 에서 발생하는 상속 (inheritance) 속성과 관련된 모델의 내부적 모순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FRBR 모델의 표현성 (expressiveness)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대안적인 방안을 논의한다.

Abstrac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FRBR) is a “conceptual model of the bibliographic universe” developed b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Although some studies have suggested improvements in FRBR, and others explore alternative approaches,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analyzing the internal coherence and consistency of the FRBR view as presented not only in the FRBR entity-relationship model and text of the FRBR document, but also in the related explanations and presentations of FRBR expositors. Our investigations have noted some interesting discrepancies between the general FRBR approach as presented in various expository documents and the specific account presented in the FRBR ER model and the FRBR document. We see that in one case these discrepancies can be easily remedied by adding additional modeling constructs and assertions, but in another case (the supposed “inheritance” of attributes across the Group 1 entities), there is a substantial difficulty in maintaining a consistent model. We discuss several alternative approaches to enhancing the expressiveness of FRBR in order remedy this problem. We note that none is entirely satisfactor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ACR2와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목록규칙인 RDA의 규칙을 비교하여, RDA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나라의 한국목록규칙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RDA는 모든 유형의 자원을 서지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2009), FRBR, FRAD를 구현하기 위한 목록규칙이며, 국제적인 환경에 융통성 있게 적용가능하다. RDA는 웹환경에 맞는 시멘틱웹으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집중기능과 다양한 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어 미래의 목록에 큰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이를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비교는 JSC for Development of RDA의 2008년 RDA 초안을 기반으로 저작, 표현형, 구현형의 기술규칙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현형에서는 표제, 자료유형, 책임사항, 판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총서사항의 기술영역별로, 저작과 표현형에서는 저작 유형에 따른 채택접근점을 중심으로 RDA와 AACR2 규칙 중에서 변경된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RDA에서 제시한 목록규칙을 바탕으로 앞으로 목록의 발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국내의 목록규칙 개정 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scriptive cataloging rules between AACR2 and RDA, and then to find a direction of future cataloging and KCR 4. RDA is new cataloging rules that embody the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2009), FRBR and FRAD. It is a structure of bibliographic control of all kinds of resources, and the rules can be flexibly applicable in the international cataloging community. It is critical to embody RDA in KCR 4 because RDA is likely to affect the future cataloging through its collocation function and relation function to construct semantic web of OPAC. This study analyzed the descriptive rules of work, expression, and manifestation based on RDA draft(2008) of JSC for Development of RDA. It analyzed the changes in the cataloging rules from AACR2 to RDA in such descriptive areas as title, type of resources, statement of responsibility, edition, publication, physical description and series in the manifestation level, and the preferred access points in both expression and work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in revising KCR4.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