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사회적 역할, 검색결과: 17
1
최지혜(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승민(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1, Vol.38, No.3, pp.175-197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175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이용 및 정보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있어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도서관 소장자료와 설비의 이용, 도서관을 통한 동아리 활동 참여는 사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은 정보적 활동에서 사회적 활동을 지원해 주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나 소장자료의 대출, 사서와의 커뮤니케이션 등 사서와의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는 요인들이 사서에 대한 인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사서의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보다 실제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 of librarians can be an important aspect in improving the public library uses and the quality of informn service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users’ perceptions of librarians.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d users’ general perceptions of librarian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library collections, library facilities, and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through the library affect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erception of librarians. In addition, the roles of the librarian are expanding from informational activities to supporting social activities. In contrast, the factors of direct interaction with the librarian, including participation in public library programs, circulating library colle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librarian,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ception of librarian. Thus librarians need to consider library users more substantially and to support them in various ways.

초록보기
초록

무한창조공간을 도서관서비스와 결합시키는 것은 도서관 이용자의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라 생각된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은 이용자들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게 하고 그들이 창조할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선행연구논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무한한 활용가능성을 제안했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을 위해 도출된 역할개념은 총 12가지로 사회소통공간으로서의 무한창조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 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 및 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 및 양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서의 공간, 창조를 위한 협력공간, 창조를 위한 장비체험 및 활용공간,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텔링공간, 전문가멘토링 및 컨설팅이 있는 공간 등이다.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연구자들 및 관련자들이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보다 많은 활용가능성 및 역할을 제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획기적인 개념의 도서관 역할모색을 통해 도서관의 발전과 확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Combining makerspaces and library services is an innovative idea that could positively and radically change the library user experience. The Library Makerspace is able to offer users a different view of the world, and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explore and imagine new possibilities which they can then creat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real-world makerspace examples to create suggests for utilizing this trend. The roles and concepts of library makerspace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pace for infinite creativity as social communication space, study areas, job searches, self-publishing, idea incubation, collaboration, equipment and utilization, storytelling, expert mentoring and consulting, and so on.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and allow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library.

3
황금숙(대림대학교) ; 이영숙(상명대학교) 2012, Vol.29, No.4, pp.25-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02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에서는 실업률 증가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문제 등 총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서 도서관 서비스에 불만을 품거나 이상행동을 하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으로 유입되면서 많은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있다. 일부 이용자의 문제행동은 다른 이용자의 이용만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관직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서비스의 불만족과 이로 인한 도서관 조직에 악영향을 끼치며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 친절하고 품위 있는 공공서비스 문화의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여 국가 및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응대서비스 문제점 및 문제이용자 현황과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일반이용자 및 문제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Abstract

Recently libraries are experiencing an increasing number of difficult patrons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problem of mental health in their communities. The problem behaviours of difficult patrons have negative influence to other users and staff in the library. This seem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y staff to meet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and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library services for both general users and difficult patrons.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도서관은 그것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 하는 네트워크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ICT를 연구하는 사회정보학적 관점에서 제안된STIN모델을 적용하여 LC에서 개발한 디지털도서관인 American Memory를 분석하였다. American Memory의 핵심 이용자로 파악된 미국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디지털도서관으로 끌어들이기 위하여 개발된 참여전략과정은 이용자, 터지털장서, 직원들 간의상호작용을 유도하고, 그들 간 관계와 역할을 변경시키면서 지식작업의 기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분석과 이해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Abstract

This paper shows that digital libraries can be understood through STIN models which emphasize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in networks. The enrollment strategies in the American Memory make human and non-human factors interact. Specifically, this paper articulate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collections, between users and staff, and between users and users are closely linked through the strategies. Observing the linkages among these components, this paper found that the enrollment processes not only draw users to the American Memory, but also alter roles of components and creates new roles and players for them. The alterations of roles and the resulting changes of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mean that digital libraries lead to transform the grounding of knowledge works in a society.

5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0, Vol.27, No.4, pp.193-21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193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the advent of uniquitous life, changes of users’ demands make a public library accomplish roles and functions of a complex service center providing information, education and culture service. As a multi-function center, a public library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physical and digital space in ubiquitous environment. Information commons is a basement of physical space in an u-Librar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ubiquitous environment, design and use of physical space will be a critical issue for a public library to perform its role and function as a multiple complicated space. This study derives facilities and component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commons in a public library as a physical space. To perform the goal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est trends and requirements through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components of facility and principles of design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ons as a physical space in a public library.

6
권난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351-374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3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난민의 한국 체류와 관련된 정보상황을 이해하고, 요구되는 정보와 정보원을 파악하여, 정보행태 관점에서 외국인 난민과 한국사회에 필요한 변화, 국제사회 속에서 한국의 역할, 도서관계의 정보 전문가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Dervin의 의미형성이론과 Chatman의 정보빈곤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설계가 진행되었다. 한국에 합법적으로 체류 중인 외국인 난민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인식, 상황, 행태를 조사하기 위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난민, 한국 공공 및 민간기관, 도서관계에 적용 가능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련된 실증적 연구를 보완할 수 있고, 실제 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clude i)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exposure to information during foreign refugees’ stay in South Korea, ii) to investigat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iii) to propose the change needed in the Korean society, the role of South Korea in the global community, and the service direction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this end, legally recognized refugees who have stayed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for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ir perception, situation, and active behavior. The discussions were transcribed for coding. The code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echnics based on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factors of Dervin’s Sense-making theory and Chatman’s Information Poverty theory.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for foreign refugees and individuals and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libraries and NGOs, from an information service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trategies will supplement related empirical quantitative research and add value to information services for solving information problem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디지털통합적 지역사회 구축자로서의 역할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등록된 전국 공공도서관 935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컴퓨터, 노트북, 스캐너, 태블릿 PC 등 장비 인프라, 인터넷 인프라 등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전자책, 디지털 및 가상참고서비스, 도서관서비스 모바일 앱 등 서비스나 자원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나 협업과 그룹작업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나 참여공간의 가용성 등은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셋째, 기술과 관련된 리터러시 훈련 비율은 22.4%에 지나지 않았고, 교육주제도 자원탐색 주제로 집중되어 있으며, 화상회의기술 사용법이나 클라우드 컴퓨팅 어플리케이션 교육 등 다소 미래지향적인 기술교육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화향유 공간 또는 창의적인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다양한 역할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술 및 장비의 제공확대, 그리고 미래지향적 서비스 및 교육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tends to apprehend how much public library contributes to a role of upbuilder of digital integrated local society through a survey. For this, I performed the survey on 935 organization of public library in the whole country registered in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As a result, firstly, it’s apprehended that equipment infra, Internet infra, etc like computer, laptop, scanner, tablet PC, etc are in relatively high level. Secondly, service or resource like electronic book, digital and virtual reference service, library service mobile App, etc that users can use are in relatively high level but software supporting cooperation and group task, fusibility of participating space, etc are shown very low level. Thirdly, the rate of literacy training relating to technology were only 22.4%, education subject focused on resource searching subject and somewhat future-oriented technical education like directions of video conference technique, cloud computing application education, etc wasn’t conducted. Finally, we should consider expansion of providing technology and equipment and provision of future-oriented service and education according to a flow of the time that needs to seek change in various roles of library as enjoying culture space or creative space.

8
김인식(동양대학교) ; 오동근(계명대학교) 2005, Vol.22, No.2, pp.185-20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18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를 파악하고, 어떤 요인들이 자원봉사의 지속과 강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109명의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참여동기는 대부분 자기발전이나 성취감, 보람감과 지역사회의 문제해결 등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환경적 요인, 역할모델 요인, 보상요인, 인지요인 등이 자원봉사의 지속과 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새롭게 투입된 공공도서관에 대한 충성도는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의 지속과 강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ublic library volunteers, and what factors influence on continuity and intensity of volunteer activity. It analyzed the questionnaires from 109 public library volunte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First, public library volunteers were mainly participated by motivation for personal achievement and concerns on local welfare problems. Second, in case of the factors on the continuity and intensity of public library volunteer activity, four factors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had significant effects on each variables. Third, the loyalty on the public library newly investigated had also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ntinuity and intensity of public library volunteer activity.

9
김시정(대구대학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2022, Vol.39, No.4, pp.241-268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241
초록보기
초록

문화재 관련 기록물은 문화재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이며 보존에 있어 중요한 근거자료 역할을 하므로 문화재만큼이나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국가적이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특정 문화재인 경우 해당 문화재가 하나의 주제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문화재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기획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명한 문화재를 중심으로 생산되는 기록물은 긴 시간 동안 발생하면서 분산되어 관리되어 왔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해당 기록물의 범위와 소재,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들의 해결 방안으로, 이 연구는 황룡사와 같이 사회적,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주요 문화재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관련 기록물을 11개 공공기관 및 웹서비스에서 수집하여 기록물의 유형, 기록물과 관련된 활동,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체 기록물의 범위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온톨로지 설계를 하여 특정 문화재 중심으로 기록물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Abstract

Records related to a certain cultural heritage are concrete evidence that prove the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become a criterion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its records. The value of the records is as important as cultural heritage value. In the case of specific cultural heritage with national or socially important values,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on cultural heritage as one theme, and various programs about cultural heritage are develop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cope, record types, and contents of the records because they have been distributed and managed in many institutes. They also appear in various forms.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is study collected records of a major cultural heritage with social and historical values such as Hwangnyongsa from 11 public institutions and web services and analyzed the types of records, activities related to the records, and metadata. Through data analysis, an ontology that can understand the range and relationship of the entire record was suggested so that the record can be understood with a focus on specific cultural heritage.

10
김윤명(경희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2002, Vol.19, No.2, pp.181-201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81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도서관은 자료의 디지털화 등을 통하여, 디지털환경에 맞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역할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저작권법은 도서관이 비영리적 기관으로서 사회의 공익에 기여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저작권법이 예외적으로 적용되어 자유로운 정보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환경에서는 디지털 복제와 전송이 쉽기 때문에 권리자와 이용자와의 균형관계를 형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자 개정된 저작권법은 취지와는 달리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도서관에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저작권법 및 개정안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아울러 디지털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digital library h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aradigm of role of library to adjust in digital environment. Digital library has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with digitization of materials. In library fare use is allowed to the public for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digital copy and transmission is simple in digital environment, to balance between owner and user is not easy but important things. Therefor, current copyright act is revised to adjust these environment but the act restrict the users′accessing digital library through interned, not complied with the motive of revision. Moreover, proposed act which is proposed to facilitate digital library services also extremely limits information services. In this monograph, I will review the copyright act related library and seek for the improved mean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