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문화콘텐츠, 검색결과: 15
11
전정현(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0, Vol.27, No.3, pp.67-82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067
초록보기
초록

근세이전의 역사자료를 정보원으로 하는 역사정보시스템은 자료의 형태적, 내용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정보시스템과는 차별화된 추가적인 정보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며 이는 이용자의 입장에서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기초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온라인 역사정보 서비스의 다양성을 분석하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국내외 역사정보서비스의 제공현황과 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이용자 중심의 역사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comparison to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typical information systems, the historical records from the period before the modern times require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s to reflect the format and content oriented peculiarities of the data. The additional services also need to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users' information needs. For this study, a series of literature reviews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pecific analysis criteria for the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domestic and foreign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and use statu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users' information needs were identified and user-based historical information service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generated.

12
노영희(건국대학교)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심효정(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곽우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2, Vol.39, No.4, pp.191-213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191
초록보기
초록

기존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포털(POINT)의 국정과제 서비스를 뛰어넘는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새로운 국정과제 이행에 필요한 정책자료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RM기반 국정과제와 정책정보콘텐츠 연계 및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新정부 120대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국정과제 유형과 정부기능분류체계 분야․영역별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또 이전 정부의 국정과제와 현 정보의 국정과제를 비교․분석하여 국정과제 관련 콘텐츠 구축 시 중점적으로 반영해야 할 내용을 파악하였다. 둘째, 정책정보 및 국가 정보 포털의 현황 분석 등을 통해 정책 정보의 연계 및 수집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정과제의 1단계 BRM을 보면, 사회복지 21개, 통일외교 14개, 산업통상중소기업 17개, 일반공공행정 12개, 재정세제금융이 8개, 문화체육관광과 과학기술, 교육이 각 6개, 통신과 공공질서및안전이 5개, 보건, 교통및물류, 환경이 각 4개, 농림 3개, 국방, 지역개발이 각 2개, 해양수산이 각 1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新정부의 경우 과학기술과 IT를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어 핵심 국정과제 정보서비스 구축 시에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부 기관과의 데이터베이스 연계를 위해서는 연계운영협의회를 구성하고, 국정과제 정보의 연계 및 수집, 국정과제 관련 정보 POINT 연계 및 제공이 필요하다.

Abstract

With a view to providing a high-quality policy information service beyond the existing national task service of the national policy information portal (POINT)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it would be necessary to effectively provide the policy data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national tasks. Accordingly, in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find a way to connect and develop the BRM-based national tasks and the policy information contents. Towards this end, first, the types of national tasks and the contents of each field and area of the government function’s classification system were analyzed, with a focus placed on the 120 national tasks of the new administration. Furtherm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ational tasks of the previous administration and the current information, the contents ought to be ref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the national tasks identified. Second, the method for linking and collecting the policy information was sough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information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porta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xamining the 1st stage BRM of the national tasks,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21 tasks for social welfare, 14 for unification and diplomacy, 17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industry and trade, 12 for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8 for the economy, taxation and finance, 6 for culture, sports and tourism,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each, 5 for communication, public order and safety each, 4 for health,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environment each, 3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2 for national defense and regional development each, and 1 for maritime and fisheries each, among others. As for the new administration, it is apparent that science technology and IT are important, and h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ch when developing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core national tasks. Second, to link the database with external organiza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form a linked operation council, link and collect the information on the national tasks, and link and provide the national task-related information for the POINTs.

13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다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창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윤소현(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9, Vol.36, No.1, pp.247-267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247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향토정보서비스는 낮은 이용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부분 열람 및 대출형태의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향토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인 LibPass (Library와 Pass의 합성어)를 개발하였다. LibPass는 향토자원의 특성들이 LibPass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이용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지역의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정보탐색을 한 곳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즉, 관광자원에 대한 소개는 물론이고, 그 이용을 위한 숙박시설, 체험프로그램, 그리고 특화도서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토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도모하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이 서비스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카드로 일원화되어 제공되므로 전국 어디서나 사용이 편리하고, 공공기관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신뢰성과 최신성을 확보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의 품질 평가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관광정보서비스 앱을 분석하여 LibPass 앱의 개체들을 구성하고 논리적 개체 관계 모델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도서관의 향토정보서비스 이용률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이용자 친화적인 앱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There has been low use of local information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provide, and most of those services are limited only through in-house reading or checkout. Motivated by these issues, the study has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app, hereafter) entitled as LibPass (a combination of Library and Pass) to propose new local information services that reflect the information needs of users. Regarding the design of LibPass, contents of LibPass are composed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esources so that users can easily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local culture and tour resources through mobile app. That is, it aims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s on local resource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ccommodations, outdoor programs, and specialized libraries, as well as introducing tour resources. Above all, the services are provided with a single card issu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is convenient to use anywhere in the country. It not only secures reliability and currency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developed by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provides functions to facilitate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local information of librari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derives the factors of quality evaluation of mobile tour information services; it constructs objects of LibPass application by analyzing existing applications and develops the prototype based on logical entity relationship model. This model can contribute to the increased use of local information services and, promotes the public’s positive perception of the libraries through user-friendly applications.

14
정유경(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2020, Vol.37, No.2, pp.311-331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국내외 주요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기존의 디지털 인문학 동향에 관한 연구들은 해외의 주요 연구사례와 국가정책, 발전 방향 등을 검토하는 연구들로, 디지틸 인문학 분야의 세부 연구주제 및 하위 분야를 파악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학술 문헌의 계량서지적 분석을 통해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지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와 RISS로부터 2020년 3월까지 출판된 디지털 인문학 관련 국내외 학술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토픽모델을 적용하여 세부 주제들을 살펴보았으며, 이 주제들의 시계열적 추이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인문학 기반의 융합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주로 사료의 디지털화가 주된 연구의 관심사였다. 국내는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관련된 연구주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해외는 디지털화된 자료의 제공 측면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주제들이 주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내의 디지털 인문학 분야의 연구 공백을 파악하고 연구주제 확장이 가능한 영역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n digital humanitie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nalyzing representative cases and national policies, not overall research trends in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To this problem,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gital humanities by adopting bibliometric approach. In this study, 1,765 articles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and 514 records from RIS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Structural topic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research topics and to grasp the time-series trend. The results show that humanities-based convergence studies and digitization were main research interests in both side. In Korea, research topics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were prominent, while in terms of providing digitized dat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wa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 abroad.

15
김동훈(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규리(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주영준(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1, Vol.38, No.1, pp.53-69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0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학제적 연구가 활발해진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에 색인된 국내 주요 학술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 학문분야를 포괄하는 네트워크 분석(대학협력 네트워크,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을 실시하였다. 대학협력 네트워크 분석결과, 서울대학교, 계명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 협력연구를 활발히 진행하는 대학을 파악할 수 있었고,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결과, 이직의도, 직무만족 등 직무 관련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사회학,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등 인용이 많이 되고 있는 핵심 학술지들을 확인하였으며,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교육학, 경영학, 사회복지학이 다른 학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학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계량서지분석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 데이터를 처음 활용하였으며, 키워드, 학술지, 학문분야로 범위를 확장시켜가며 단계적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 간 공동연구의 전략 수립 및 다학제적 융합 연구 기획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search landscape of South Korea using the data of 2020 Google Scholar Metrics. To achieve the goal, we constructed and analyzed four types of networks including the university collaboration network,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the journal citation network, and the discipline citation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versity collaboration network, we found major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and Sungkyunkwan University that have led collaborative research. Job related keywords such as job change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with other keywor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ournal citation network, we found multiple journal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that have been widely cited by the other journals and influenced them. Finally,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were identified as the top influential disciplines that have influenced other disciplines through the knowledge diffusion.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to use the data of Google Scholar Metrics and conduct a stepwise network analysis (e.g., keyword, journal, and discipline) to broadly understand the research landscape of South Korea. Our results can be us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universitie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of promoting university collabor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