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모형 개발, 검색결과: 4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가 실시하는 협동수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연구에 초점이 있다. 협동수업은 학교도서관을 활용하여 일반 교과 (국어, 영어. 사회, 과학, 국사 등)의 수업을 교과 교사와 사서교사가 협동으로 실시하는 수업이다. 본고는 학교 교육의 중심축인 교육 과정과 교과 수업을 위한 기반 이론인 교수설계 이론 등을 바탕으로 한 협동수업의 모형 개발과 실천 방법을 이론-모형-지원에 의한 3단계로 제시한다.

Abstract

This thesis has a research focus in effectively Practicing cooperative instruction where teacher-librarians play a role. The cooperative Instruction means to practice cooperatively with the subject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teaching subject matters(Korean, English, Social studies. Science, History, and so forth), using the school library. This thesis presents three steps by theory-model-support for a practice method through developing a cooperative instruction model. This is based on curriculum which is an axis of school education and a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which is a base theory for subject matters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의 최근 개발 경향은 이용자 중심이다. 이 연구는 이용자 중심적 PDL을 개발할 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험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념적 모형에서는 다양한 정보입수를 위한 외부시스템과의 연계 및 시스템전반에 개인의 정신모형과 함께하는 관리형태를 가질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고, 물리적 모형에서는 연구자의 개발경험을 토대로 툴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시스템개발에 곧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과정까지를 진행하였다.

Abstract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study is in developing an experimental model of user-friendly PDL. This study proposes both theoretical(conceptual) and physical(operational) mocels. The thepretical model includes the analysis on various facto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hich have a serious impacts on the design, building, and managing of PDL. And the physical model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and process which could be useful for both PDL designers and managers. also provided is the images of mahor user interfaces, of which a PDL w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basis of the proposed mocel in near future.

초록보기
초록

조선총독부 공문서는 근대사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정보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원칙과 단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기능적 분류체계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기록물 분류의 개념과 역할, 분류 원칙에 대해 살펴보고, ‘기능적 출처’ 개념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선총독부 공문서 분류에 왜 기능분류가 적합한지를 살펴보았고, 기능분류 사례와 그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와 조선총독부 조직 및 기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위한 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원칙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개념화, 용어화, 기호화를 고려한 개발모형을 도출하였으며, 분류표와 함께 시소러스를 연계 구축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Abstract

Public records,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re essential sources for Korean modern histor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developing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records. This present paper begins with analyzing archival principles regarding the function-based classification, and examines the problems of current arrangement practices.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a guideline for constructing a classification system and a functional thesaurus for the public records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is guideline also covers functional analysis process and some considerations of different classification aspects which are conceptual, verbal and notational.

4
홍현진(전남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 강미희() ; 정대근(전남대학교) 2003, Vol.20, No.2, pp.285-318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2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립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국가과학기술 문헌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부합한 적정규모의 최적모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과학기술문헌센터의 기능 중 건물 규모 산출과 설비를 위해 자료공동보존소로서의 콘도미니엄 프로그램 개발과 하이브리드 도서관, 클리어링하우스 등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 건물의 공간구성 프로그램 국가과학기술문헌센터의 계획 대지 현황분석과 기본구상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theoretical base and guideline for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mical information ivfrastructure of the national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obh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i strengthen the need of the building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and provide operation programs and vision toward information center which will be established later. This study suggesrs a plan and strategy which make it possoble to conduct functions asthe national repository, clearinghouse, and portal gateway of the electronic resource and propose apace program fpr the optimal building constructio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ver the building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as well as the basic plan of scale and space progran, validity analysis of site location and environmen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