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매개분석, 검색결과: 3
1
강보라(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희섭(경북대학교) 2017, Vol.34, No.3, pp.49-66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librarie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78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272 major LIS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during last ten years-period, i.e., 2007-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the results,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and ‘E Book’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and ‘E Resource’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Finally,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and ‘Librarian’ seem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2
박태연(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남재우(건국대학교) 2017, Vol.34, No.3, pp.151-17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여 개인의 특성과 지각된 상호작용성이 모바일 건강정보서비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PC기반 건강정보서비스의 사용의도를 연구한 선행연구에서 주요 변수로 작용한 지각된 상호작용성이 모바일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인 건강염려증은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음의 관계를, 건강관심도는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개인적 특성은 지각된 상호작용성을 매개로 모바일 건강정보서비스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웹과 모바일 환경의 건강정보서비스에서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다른 변수들을 매개하거나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중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on acceptanc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service by apply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lso it examine whether the perceived interactivity, which is a key variable in the previous research studying the intention of PC-bas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works on the mobile environment equ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hypochondria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is negative, and the health concern and perceived interactivity is positive. Also,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mobil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rough perceived interactivity. Therefore, the perceived interactivity in the health information service of web and mobile environment is an important variable to mediate or directly affect other variables.

초록보기
초록

학술과 문화 기반의 비이념적 정보교류협력은 비정치적이면서도 장기적 관점에서 민족 동질성과 신뢰회복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남북한 협력사업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한국을 대비하여 단계적인 남북한 협력기반 조성을 위해 국가도서관을 매개로 한 남북 문화교류협력에 관한 방안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련하여 북한도서관의 기능과 한계 및 현재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활용성을 살펴보고, 그간의 도서관교류협력사업을 남북한 문화분야 협력사업이라는 틀안에서 검토하였다. 이에 협력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 다섯 가지 협력안을 기반으로 남북 도서관교류협력의 단계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Non-ideolog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scholarly and cultural field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project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gaining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trus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sures on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national libraries for the unified Korea. Related with that issue, this study analyzed function and limitation of national library in north Korea and evaluated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rame of cultural cooperation project. So, this study suggested the stepwise model of the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based on the five practical measures including the cooperation governance system.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