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독서프로그램, 검색결과: 22
11
노연주(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영통중학교 사서교사) ; 유지원(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부교수) 2024, Vol.41, No.1, pp.439-463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439
초록보기
초록

최근 학교도서관은 교과융합수업을 실행하고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교육 플랫폼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학교도서관의 독서 활동과 인공지능 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수업에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주제와 연관된 독서 활동을 통해서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인공지능 교육용 도구를 활용하여 생활 속 문제 상황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8차시(6회기)로 개발하였고, 2022학년도 경기도 A중학교의 학교도서관 자유학기 주제선택 수업에 참여하는 1학년 3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사전-사후 차이를 대응표본 t-test로 수행한 결과, 인공지능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의 수업 태도와 독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도서관과 연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school libraries to take on the role of curriculum convergence and content development. This study purposed to develop a program that integrates reading activit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in a middle school library as a platform for convergence education. The program aimed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y integrating an understanding of AI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AI topics. The program, comprising 18 sessions (6 modules), was implemented with 36 first-year students at A Middle School, Gyeonggi-do, in 2022. After implementation, a paired-sample t-test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I learning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Participants also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lass engagement and reading activities. Implication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chool libraries were discussed.

12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권나현(명지대학교)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2011, Vol.28, No.4, pp.99-118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핵심 추진과제 운영평가를 통해 전국의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서비스의 국가기관으로서 주력해야 할 기능과 사업 추진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서비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어린이도서관 관장들과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도서관의 기능 및 핵심 수행사업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수행사업 중 ‘전국어린이를 위한 독서진흥사업’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독서진흥프로그램의 가장 필요한 부분은 ‘청소년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강화’와 ‘독서진흥 콘텐츠 개발의 지속적인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자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강사진 확대, 교육형태의 다양화 등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또한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핵심기능인 정책개발과 연구기능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core project operations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ts key functions and project operations pla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for children's librarian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directors of children's librar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verall func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core project operations were rated positively. Among the core projects, ‘Reading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appeared to contribute most, while the most needed areas were contents development and continuous support for the reading promotion program for young adults. In addition, the need for diverse contents development, instructors and education tools were suggested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strengthening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functions.

초록보기
초록

여가를 위해 독서를 하는 독자는 특정 작가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은데 독서분야를 확장할 때에도 자신이 선호하는 작가와 연관된 작가나 장르로 독서분야를 확장하는 성향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심작가로 에드거 앨런 포를 선정한 후 독자들이 에드거 앨런 포와 연관하여 다른 독자에게 추천하는 작가와 작품정보를 기반으로 작가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에드거 앨런 포와 동시출현한 작가와 작품의 빈도수를 분석하고 추천작가간, 작품간 관계를 네트워크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에드거 앨런 포의 장르적 이미지와 연관된 작가군, 작가들 간의 관계, 연관 도서가 파악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특정 작가의 이미지, 연관 작가 및 작품 정보를 도출하는 방안은 특정 작가를 중심으로 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이나 문화 프로그램, 북 큐레이션을 하게 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Many readers tend to read books of a specific author and to expand their reading areas according to the author. This study chose Edgar Allan Poe and analyzed the image of the author using co-recommended authors and books by other readers. The frequencies of co-occurred authors and book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 of authors and books were analyzed with network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genre images of Poe, related authors, and related books are discovere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methods to identify the image of a author, related author groups, and related books for libraries’ reading programs and book curation.

14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윤정(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연구원) 2020, Vol.37, No.1, pp.79-106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079
초록보기
초록

지금까지 도서관에서의 치유적 프로그램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일부로써 독서치유라는 주제로 한정되어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치유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치유적 활동의 유형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도서관과 유사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치유적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상에 따라 다뤄야하는 치유 내용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도서관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유․아동기(0-13세), 청소년(14-19세), 청장년기(20-64세), 노년기(65세 이상)에 맞는 치유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둘째, 치유프로그램 분석 결과로 나타난 도서관, 의료기관과 같이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서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Until now, healing programs in libraries have provided services under the theme of reading therapy as part of the reading cultur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revitalize healing programs in libraries. This study derives the types and themes of healing activities and analyzes the healing activities in libraries and similar institutions. As a result, first, the healing content to be treated varies depending on the subject, so it should be applied to the library in consideration of this. Therefore, a treatment program was proposed for infants and children (0-13 years), adolescents (14-19 years), adolescents (20-64 years), and old age (65 years and over). Second, it proposed a way to operate healing programs through linkage with institutions such as libraries and medical institutions that were show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healing program.

15
김지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윤수진(연세대학교 인공지능학과 대학원) 2024, Vol.41, No.1, pp.211-24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노인과 청년이 함께하는 독서모임의 후속 연구로 중년과 청년이 함께하는 세대교류 독서모임을 다루었다. 독서모임의 프로그램은 독서습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림책 독서를 통한 심리적 치료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연구자는 중년 참여자와 청년 참여자가 참여하는 그림책 독서모임을 운영하고, 개별인터뷰를 한 다음,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질적연구를 하였다. 세대가 교류하는 독서모임은 중년 참여자에게는 청년과 자녀를 이해하고 청년으로부터 배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청년 참여자에게는 중년과 부모를 이해하고 중년으로부터 배우면서 세대 차이가 아니라 동질감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읽으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배우면서 그림책 치료의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독서습관 형성에도 도움을 받았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세대가 교류하는 독서모임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른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세대교류 형태의 독서모임이 더욱 활성화되고, 많은 사람이 그림책을 비롯한 책을 읽는 활동의 장점을 발견하고 독서를 습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an intergenerational book club with middle-aged and young people as a follow-up study on a book club with older people and young people. The book club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people develop a reading habit and experience picture book bibliotherapy. The researcher hosted a picture book reading group between middle-aged and young participants, had individual interview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to analyze research data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middle-aged participants, the intergenerational book club w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young people and their children and learn from the young people, and for young participants, it helped them understand middle-aged people and their parents and learn from the middle-aged people, allowing them to feel a sense of connection rather than a generation gap. In addition, positive effects of picture book bibliotherapy were seen while reducing stress and learning important lessons in life. The participants received help in forming a reading habit. This paper provides constructive suggestions for book clubs where different generations interact.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intergenerational book clubs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other generations will be more popular and people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benefits of reading books including picture books and make reading a habit.

16
김서령(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성재(한성대학교) 2016, Vol.33, No.3, pp.371-398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3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독서경영과 문화경영이 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활동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 정도에 따라 직무자체 만족도, 인간관계 만족도, 자아실현 만족도, 정서적 몰입도, 지속적 몰입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량, 독서시간은 직무자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시간은 정서적 몰입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 기간은 사회적 인식 만족도, 지속적 몰입도, 규범적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체 만족도는 독서시간과 정서적 몰입도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사회적 인식 만족도는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기간과 지속적 몰입도 및 규범적 몰입도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독서경영 도입을 통한 직원 독서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공공도서관 운영진의 독서경영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직원들의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직원들의 이용자 독서모임에 참여를 도모하고, 담당 직원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 직원들의 적극적인 독서활동을 위한 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of employees in public librarie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prov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e business area. The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self-realiza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a book club. Additionally, the number of employees’ reading books and hours spent for read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hours spent for reading significantly influenced affective commitment. It was also found that participation continuity for a book club influenced on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recognition,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Job satisfaction level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reading hours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from social recognition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participation continuity in a reading meeting,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plan for constructing a good environment for employees to read through introducing a reading management as follows. Firstly, managers of public libraries need to take an active interest in reading management and various programs to encourage employees to read need to be provided. Secondly, public libraries are required to encourage their employees’ participation in book clubs and support them, so that the employees a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book club consistently. Finally, institution-level consistent motivation is needed for an active reading activity.

17
이지연(연세대학교) ; 전정현(연세대학교) 2017, Vol.34, No.3, pp.23-48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의 운영방향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이용자의 인식정도를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국내 시각장애 학교도서관 세 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팀과 각 학교의 교사 간의 협의를 통하여 각 학교의 상황에 맞는 총 10개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조사한 결과 도서관 이용 빈도, 독서량, 도서관에 대한 인식, 정보활용 및 자기주도적 학습의지의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study goals are establishing a library management plan for the school for the blind in Korea and also developing a structured library program, which reflected the patron’s perception. We surveyed the students in three schools for the blin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and usage statistics of the libraries. The analysis of the survey led to a school library program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typ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we designed te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the schools by consulting respective school’s teachers. We administered the second survey after the classes, and we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increases in the frequency of library use, a number of books read, perception about the libraries, amount of information u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willingness.

18
강인서(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박사과정,대전자운초등학교 교사) ; 김혜진(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조교수) 2020, Vol.37, No.2, pp.333-352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3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gital divid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his end, we coded research subjects with 11 subcategories, and research objectives with 4 subcategories, and research methods with 4 subcategories, and constructed keyword networks to which a pathfinder algorithm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9.5% of studies are on the disabl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lderly among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and it wa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groups. In addition, digital divide related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information vulnerabilitie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We also found that these studies focused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by designing and applying treatments such as informatization edu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eading programs. Lastl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in the digital divide was found to use case studies or questionnaires simultaneously with literature research.

19
정혜경(KDI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정은주(대통령기록관 연구서비스과) 2008, Vol.25, No.3, pp.377-392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377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그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문화프로그램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 사용되어 온 가상가치평가법의 대안으로 DM 포맷과 IBM 포맷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모형을 공공도서관이 적용할 수 있도록 사례분석을 통해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가상가치평가법의 바이어스를 최대한 감소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정확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본 틀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need for overall assessment of economic effectiveness of library culture program has been suggested, as its importance continues to grow. Our study proposed a new assessment method by applying DM format and IBM format to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at has been used for analyzing the economic value of culture program. This study also illustrates the process through case analysis so that the public library can apply this model.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ovides basic framework to evaluate the fair value of the public library by minimizing the bias that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has.

초록보기
초록

2016년 1월 1일부터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이 서비스되기 시작하여 도서관 빅데이터가 공공도서관 업무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사례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들에서 활용한 빅데이터와 활용유형분석 및 도출된 서비스/시행정책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통합도서관리시스템(ILUS)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각각의 자료분석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점과 이점을 살펴본다. 사례분석 결과,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장서, 수서, 기타의 유형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서비스/시행정책은 이용자 맞춤형 테마서가 및 독서진흥프로그램 진행, 장서활용도 증대, 특화주제에 기반한 수서 및 대출현황 데이터 공개로 요약되었다. 비교분석결과, ILUS는 자관의 자료실현황분석에 특화되어 있으며, 빅데이터 플랫폼은 다양한 속성(연령, 성별, 지역, 대출시기 등)에 따른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시간단축과 유연한 분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비교분석에서 밝혀진 특징 및 한계점을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Since big data platform services for the public library began January 1, 2016, libraries have used big data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use cases of library big data and attempts to draw improvement pla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ibrary big data.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 big data used while utilizing the library big data platform, the usage pattern of big data and services/policies drawn by big data analysis. Next, the limitations and advantages of the library big data platform are examined by comparing the data analysis of the integrated library management system (ILUS) currently used in public libraries and data analysis through the library big data platform.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big data usage patterns were found program planning and execution, collection, collection, and other types, and services/policies were summarized as customizing bookshelf themes for the book curation and reading promotion program, increasing collection utilization, and building a collection based on special topics. and disclosure of loan status data.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LUS is specialized in statistical analysis of library collection unit, and the big data platform enables selective and flexible analysis according to various attributes (age, gender, region, time of loan, etc.) reducing analysis time. Finally, the limitations revealed in cas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a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presen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