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정책, 검색결과: 67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보존은 디지털콘텐츠를 관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보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의 대학도서관 중 디지털콘텐츠를 구축하고 있는 102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디지털보존 요건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과 디지털보존 실무 현황 및 그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다수의 디지털보존 담당자들은 진본성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정책 및 업무절차가 적합하게 수립되어야 하며 담당자는 우선적으로 디지털보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기관의지의 부재와 예산확보의 어려움이 디지털보존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이었으며 디지털보존 계획 및 정책수립에 대한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디지털보존에 대한 인식 및 실태가 대학규모와 콘텐츠구축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규모별로 서로 비교한 결과, 규모와 상관없이 인식과 실무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규모와 콘텐츠 구축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디지털보존 수준에 대한 평가는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현재의 국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보존 수준은 미흡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앞으로의 대학도서관은 디지털보존을 위한 정책 및 업무절차를 미래지향적으로 수립하고 디지털보존을 위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Abstract

Digital preservation becomes, nowadays,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process in the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brarians’ perception on digital preservation requirements and to analyze the business practices of the digital preservation and digital preservation level in the 102 academic libraries. In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digital preservation specialists in academic libraries have almost same perception on basic policies and direction. Also, the study finds that the important function of digital preservation is to secure authenticity and integrity; policy and expertise are the most important key components for digital preservation;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arriers to preservation are the lack of willingness and funding problems; most librarians want to learn and train how to establish preservation planning and policy. In general, most librarian think that the level of digital preservation in the academic libraries is insufficiency. Therefore the academic libraries should establish the relevant digital preservation policy and business workflows and to develop capacity of digital preservation.

22
이희수(인천 부평구립 부개도서관)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4, Vol.31, No.1, pp.207-230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2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 주민의 도서관 요구를 파악하여 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방향과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인천광역시 8개 구와 2개 군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 특성에 따라 지역1(원도심 중심), 지역2(신도심 중심), 지역3(도․농 복합 지역), 3개의 지역 유형으로 나누어 그 지역에 속해 있는 공공도서관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 이용행태, 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지역사회 평가, 서비스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이용행태, 도서관에 대한 인식,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 지역유형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지역 유형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운영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asures to help establish a management direction and policies of local public libraries based on local residents’ need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To that end, a community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eight urbans (gus) and two rural districts (gu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distri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riginal urban center (Area 1), new urban center (Area 2), and urban-rural complex (Area 3). The residents in each type were analyzed in terms of library use, awareness, needs, and satisfaction. In terms of library use, awareness, and satisfaction, we identified differences among the area types. This paper suggested management directions of local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23
강윤호(대림대학 문헌정보과) ; 박영애(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09, Vol.26, No.3, pp.417-43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417
초록보기
초록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통계항목들은 이론적 견지에서 보면 도서관평가 또는 도서관운영 정책수립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항목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통계항목과 공공도서관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통계항목들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평가로 활용되고 있는 국가도서관통계가 신뢰할 수 있는 또는 타당성이 있는 객관적 데이터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통계를 수집할 수 있는 근거자료인 도서관 업무(운영)일지의 항목들을 분석하고 아울러 통계의 자동수집이 가능한 도서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공공도서관에서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향후 공공도서관 업무(운영)일지의 표준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Statistics items requir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re based on data for library evaluation and policy making of library management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However, It is realize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tatistics items required by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those can be collected at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In accordance with this point, this paper contained an analysis of a working diary log of public libraries as a basic material able to collect data at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and also surveyed the present usage situation of Library Management Program able to automatically collect data to recognize that National Library Statistics is reliably or validly objective data. An analysis data of this research will be a basic material to plan the standard guide of a working diary log of public libraries from now 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전자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전자적인 형태의 아동 도서에 대한 주도권을 포털사이트에서 도서관으로 이동시키고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대학도서관에서 서비스 중인 어린이전자책사이트 이용현황을 주 분석대상으로 정하였으며, 도서관 어린이전자책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수서정책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ove the initiative of children's electronic books from portal sites to libraries and to help improving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ir systematic study. The present use state of an e-book site for children that is currently serviced by A-academic library was mainly analyzed for the study. The desirable acquisition policies were also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juvenile e-book services for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find out a strategy to stand tall as an institution to lead the university, by reflecting the university environment having with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reflecting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 first,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big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is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 value of university libraries at the university, and changing spatial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library. Second,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change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ies, various national projects, and various university reform policy significantly affect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rd, about what you think would be helpful to the crisis in their universities as changing role of the library, they responded that they can contribut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and technology literacy, improving students’ reading skills, improving research capacity,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Fourth, they responded that services that users demand the highest in the university library will be expansion of e-books and information resource.

26
김보일(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홍렬(전주대학교) 2021, Vol.38, No.4, pp.25-4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4.0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 및 내실화 측면에서의 평가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행 작은도서관 평가지표 분석, 국내외 작은도서관 관련 평가지표 분석, 국내 타 관종 평가지표 분석,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련 단체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를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작은도서관의 평가체계는 단위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트랙 1과 기초지방자치단체 평가하는 트랙 2로 구분된다. 작은도서관의 평가지표는 트랙 1 작은도서관에 대하여 통계를 통해 확인되는 지표는 생략하고 단순화하였으며, 작은도서관 운영에 따른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 도서관 서비스의 3개 평가영역, 8개 평가항목, 10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20점 총 120점으로 된 정성평가로 구성하였다. 트랙 2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평가지표는 정성평가 없이 작은도서관 정책 수립 및 시행과 작은도서관 지원 등에 관하여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의 2개 평가영역, 4개 평가항목, 5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in the evaluation systems and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small libraries, domestic and foreign ones and domestic other institutions, and gathering opinions from managers of them and experts belonging to related groups, in order to enhance the management quality of small libraries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m, based on the evaluation on the activation and substantiality of them. The evaluation systems proposed b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rack 1 evaluating small libraries and Track 2 evaluating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wa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indicators found from the statistics of Track 1 (small libraries). Track 1 consists of three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management of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infrastructures and services, 8 evaluation items, 10 evaluation indicators, quantitative (a total of 100 points) and qualitative (a total of 120 points) evaluation. Track 2 consists of 2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small library policies and the support for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and infrastructures, 4 evaluation items, 5 evaluation indicator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 total of 100 points).

초록보기
초록

2016년 1월 1일부터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이 서비스되기 시작하여 도서관 빅데이터가 공공도서관 업무 개선에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사례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용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들에서 활용한 빅데이터와 활용유형분석 및 도출된 서비스/시행정책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사용하는 통합도서관리시스템(ILUS)과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각각의 자료분석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점과 이점을 살펴본다. 사례분석 결과,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 장서, 수서, 기타의 유형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서비스/시행정책은 이용자 맞춤형 테마서가 및 독서진흥프로그램 진행, 장서활용도 증대, 특화주제에 기반한 수서 및 대출현황 데이터 공개로 요약되었다. 비교분석결과, ILUS는 자관의 자료실현황분석에 특화되어 있으며, 빅데이터 플랫폼은 다양한 속성(연령, 성별, 지역, 대출시기 등)에 따른 선택적 분석이 가능하여 분석시간단축과 유연한 분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비교분석에서 밝혀진 특징 및 한계점을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Since big data platform services for the public library began January 1, 2016, libraries have used big data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use cases of library big data and attempts to draw improvement pla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ibrary big data.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 big data used while utilizing the library big data platform, the usage pattern of big data and services/policies drawn by big data analysis. Next, the limitations and advantages of the library big data platform are examined by comparing the data analysis of the integrated library management system (ILUS) currently used in public libraries and data analysis through the library big data platform.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big data usage patterns were found program planning and execution, collection, collection, and other types, and services/policies were summarized as customizing bookshelf themes for the book curation and reading promotion program, increasing collection utilization, and building a collection based on special topics. and disclosure of loan status data.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LUS is specialized in statistical analysis of library collection unit, and the big data platform enables selective and flexible analysis according to various attributes (age, gender, region, time of loan, etc.) reducing analysis time. Finally, the limitations revealed in cas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are summariz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presented.

28
박혜선(경기도 고양시 한산초등학교)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6, Vol.33, No.3, pp.239-262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 강화, 이용자 항의 대응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 마련,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의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elf-censorship tendency in teacher librarian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f-censorship which appears during collection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d the concept of self-censorship throug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carried out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as a pilot study to develop a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21.0, a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we have dis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censo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school library committees, and the complaints related with the library colle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ctors on the self-censorship were identified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a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review and approval of book selection in the school library committee, developed and approved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clude guidelines for dealing with users’ complaints related to library collection, and stipulated a regulation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to remove inappropriate books from the library collection.

29
김은형(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2023, Vol.40, No.2, pp.81-114 https://doi.org/10.3743/KOSIM.2023.40.2.0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대내․외 환경변화와 정책적 지원방안에 따라 업무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분석된 현장사서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도서관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에 따른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별 기관 내 도서관 위상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도서관 발전계획 중요도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58.3%, 도서관으로서 본연의 역할 수행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술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중 전문도서관 및 운영평가 인식에서는 국가 공공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5년간 발전전략 중 우선 시행되어야 할 정책으로는 전문도서관 현황 갱신 및 조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넷째, 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 및 개선지표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공기업 평가 항목에서 “기관 도서관 운영 평가” 항목의 가중치 부여가 평균 4.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도서관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전문도서관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학술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pecialized librarians, and the impact on the work area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measures was analyz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library development and policy suggestions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58.3% of the negative opinion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library development plans were positive in recognition of the role of library status within individual institution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it was found that awareness of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was necessar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ajor functions and roles. Third, among the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s, the recogni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operational evaluation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of the expansion of national public information services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ive-year development strategies, the policy that should be implemented first is the preference for updating the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investig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ive alternatives and improvement indicator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in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the weighting of the “institu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item in the evaluation item of public enterprises was the highest at 4.01 on average.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it was recognized as the most urgent task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as well as active academic research and support them.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LOD가 확산되지 못하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 LOD의 발행과 구축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사례조사, 전문가 면담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은 첫째 도서관은 LOD 구축 대상의 중복을 피하고, 유일하고 특화된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은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LOD 서비스를 개발하고, 편리한 LOD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서관은 데이터의 식별체계를 마련하고 전거파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서관은 사서나 이용자에게 데이터 개방과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위한 교육과 홍보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은 통합 검색을 위해 LOD를 활용하고, 도서관 LOD를 검색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도서관은 LOD 발행과 활용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실무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LOD 추진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계속해서 예산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situation where library LOD does not spread after the introduction of library LOD.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The improvemen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library needs to avoid the redundancy of the LOD construction target and build the only and specialized data. Second, libraries need to develop LOD services that reflect user needs and implement convenient LOD interfaces. Third, libraries need to establish identification system of data and build a authority file. Fourth, librarie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data opening and linking to librarians and user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publicity.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LOD for integrated search and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tform for search of library LOD. Sixth, libraries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for LOD issuance and utilization, and form a working-level consultative body.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strong policies with a continuous commitment to LOD promotion and need to continue to provide budget suppor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