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의 역할, 검색결과: 68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이 학교에서 핵심적인 교육요소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적절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도서관에서 교사인식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이 학교도서관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전제로 하고, 그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교사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비교과교육적이고, 이는 학교도서관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학교도서관이 통제 가능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도서관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도서관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교사인식의 개선방안을 학교도서관 활동에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order for school library to fully serve as a key educational element of a school,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n the library’s role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perception, however, school libraries are not closely related to class activities in practice. Sinc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has been regarded as an given environmental factor in the field of school libraries, alternatives for revitalizing school librarie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ere not effective in practice. We developed a hypothesis that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ested the hypothesis and identified library factors to the perception in this study. Through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with the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 library as non-curricular element, their perceptions were affected by the library. Consequently, the school library can influence the teachers’ pervep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o explore practic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ies by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

2
최지혜(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승민(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1, Vol.38, No.3, pp.175-197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175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의 이용 및 정보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있어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용자들의 사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도서관 소장자료와 설비의 이용, 도서관을 통한 동아리 활동 참여는 사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은 정보적 활동에서 사회적 활동을 지원해 주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나 소장자료의 대출, 사서와의 커뮤니케이션 등 사서와의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는 요인들이 사서에 대한 인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사서의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보다 실제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 of librarians can be an important aspect in improving the public library uses and the quality of informn service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users’ perceptions of librarians.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d users’ general perceptions of librarian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library collections, library facilities, and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through the library affect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erception of librarians. In addition, the roles of the librarian are expanding from informational activities to supporting social activities. In contrast, the factors of direct interaction with the librarian, including participation in public library programs, circulating library colle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librarian,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ception of librarian. Thus librarians need to consider library users more substantially and to support them in various way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find out a strategy to stand tall as an institution to lead the university, by reflecting the university environment having with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reflecting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 first,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big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is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 value of university libraries at the university, and changing spatial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library. Second,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change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ies, various national projects, and various university reform policy significantly affect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rd, about what you think would be helpful to the crisis in their universities as changing role of the library, they responded that they can contribut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and technology literacy, improving students’ reading skills, improving research capacity,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Fourth, they responded that services that users demand the highest in the university library will be expansion of e-books and information resource.

5
신수연(University of Pittsburgh) ; 김성민(University of Pittsburgh) 2010, Vol.27, No.2, pp.201-216 https://doi.org/10.3743/KOSIM.2010.27.2.2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idea of Library 2.0 originated from the concept of Web 2.0 social interactions within the Web. From this aspect, Library 2.0 is a library blended with Web 2.0.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of Library 2.0 are interactions and user involvement. Users' roles in new library environments are greater since the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library collection by annotating, blogging, reviewing, etc. While users’ roles become importan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librarians increase due to the unfiltered information created by users. Librarians now should extend their roles as information creators, organizers, providers, managers, as well as moderator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new paradigm of digital libraries, Library 2.0, and the development of Library 2.0. In addition, we discuss the extended role of the Librarian 2.0 in Library 2.0.

6
김원만(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0, Vol.27, No.1, pp.165-18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1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이 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평가 내용을 다루어 법학전문도서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법학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법학전문도서관의 주 이용계층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법학전문도서관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법학전문도서관의 건물과 시설 그리고 소장자료의 양과 함께 소장자료의 질, 법학도서관 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외적인 면과 함께 법학전문도서관의 내실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and issues for law school library evalu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roles and guidelines for law school libraries to perform its own role and function. To carry out the research,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law librarians. Then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aw school students' demands and behaviors.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d law libraries which were not carried out independently and professionally until now and meaningful as it thoroughly investigated users' demands and behavior with law school libraries and function and roles of law librarians. To facilitate law school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quality of the collections, librarians' role, and users' need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buildings and physical facilities. Particularly, users' needs assessment and librarians' opinion survey will be imperative in implementing evaluation.

7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심효정(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곽우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3, Vol.40, No.4, pp.33-5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0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글도서관의 미래 지향적 역할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한글도서관의 현재 기능, 자원, 자료, 온․오프라인 서비스 및 도서관 웹사이트를 철저히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박물관 및 미술관 내 도서관, 그리고 선진 도서관의 운영 현황과 모범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한글도서관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단계별 세부 추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글도서관이 한글 관련 도서관으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ward-looking role of a National Hangeul Museum Library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ra and to propos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is purpose. To achieve this, the current functions, resources, materials, online and offline services, and the library's website were thoroughly analyzed.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operational status and best practices of libraries within museums, art galleries, and advanced librar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Ultimately, we aimed to establish medium to long-term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Korean library and derive step-by-step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help the National Hangeul Museum Library effectively fulfill its central role as a library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8
윤설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163-18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the teacher- librarian expertise that enables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it develops strategies that the school library and teacher-librarians should undertake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176 teachers in 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s a resul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event role perception would positively impact the expected effects of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ggestions are offered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and where teacher-librarian expertise is placed.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은 물리적 장소로서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가상도서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설계하는 도구로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의 실행 문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로 구분하고 전략적 계획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최소한의 요소를 권고하였다. 아울러 UMI, OULS, UBCL, USL 등 선진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문서의 사례를 통하여 사명과 비전, 전략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전략적 계획의 작성이 일반화되지 않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facing challenges to accomplish both roles of traditional libraries as physical places and virtual libraries which service electronic resources effectively.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as a positive tool for designing the future of university libraries addressing threat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core elements be involved in strategic plans of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ctual documents of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America,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These strategic plans were divided into formal elements and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latest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such as UMI, OULS, UBCL, and USL.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s and basic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무한창조공간을 도서관서비스와 결합시키는 것은 도서관 이용자의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라 생각된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은 이용자들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게 하고 그들이 창조할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선행연구논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무한한 활용가능성을 제안했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을 위해 도출된 역할개념은 총 12가지로 사회소통공간으로서의 무한창조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 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 및 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 및 양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서의 공간, 창조를 위한 협력공간, 창조를 위한 장비체험 및 활용공간,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텔링공간, 전문가멘토링 및 컨설팅이 있는 공간 등이다.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연구자들 및 관련자들이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보다 많은 활용가능성 및 역할을 제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획기적인 개념의 도서관 역할모색을 통해 도서관의 발전과 확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Combining makerspaces and library services is an innovative idea that could positively and radically change the library user experience. The Library Makerspace is able to offer users a different view of the world, and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explore and imagine new possibilities which they can then creat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real-world makerspace examples to create suggests for utilizing this trend. The roles and concepts of library makerspace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pace for infinite creativity as social communication space, study areas, job searches, self-publishing, idea incubation, collaboration, equipment and utilization, storytelling, expert mentoring and consulting, and so on.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and allow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librar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