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기능, 검색결과: 70
1
변우열(공주대학교) ; 이미화(공주대학교) 2017, Vol.34, No.1, pp.31-5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1년 개발을 시작으로 학교도서관의 자료 관리를 해결하고, 자료의 공동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축을 지원해 온 DLS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DLS 전문위원 9명을 대상으로 자료선정, 자료등록, 대출반납, 장서점검, 통계, 이용자검색의 6가지 영역에서 DLS의 사용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자료선정 측면에서는 수서시스템 도입 및 온라인 희망도서 구입신청 기능 추가가 필요하다. 자료등록 측면에서는 데이터 품질 관리 향상과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색인어의 체계적 입력 및 어휘통제가 필요하다. 대출반납 측면에서는 대출속도 향상이, 장서점검 측면에서는 폐기자료의 복원 기능이, 통계 측면에서는 정확한 통계자료 생성이 필요하다. 이용자검색에서는 검색속도 향상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으로 DLS 시스템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DLS 이용도 향상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Digital Library System (DLS) which has solved the library management and has supported the data building for resource sharing in school libraries since 2001. The 9 DLS committees were interviewed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DLS use and the problems of DLS system in the 6 areas of acquisition, cataloging, circulation and discharge, inventory, library statistics, and searching interface as th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interviews, the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as followed. In acquisition, it was to need the acquisition system development and online purchase for users. In cataloging, the improveme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indexes and vocabularies control for upgrade of searching function were needed. The advanced circulation speed in circulation, the restoration of discarded data in inventory and the exact statistic data in library statistics were need to improve the DL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DLS and increase the use of DLS.

2
박일종(계명대학교) ; 신상헌(계명대학교) 2006, Vol.23, No.1, pp.243-25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1.2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 도서관들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조사하고 그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용자들의 판단을 중시하는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구체적인 대학 도서관의 이용요인이나 기능이 될 수 있는 상황이나 조건들은 이용자들이 직접 설정하고 그 중요도 평가를 설문조사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첫째, 측정변수들의 관련성 및 독특성, 그리고 통계적 중요도에 따른 요인을 영역별로 나누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이분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판별력 향상을 검정하였다. 세 번째 분석에서는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들에 대해 집단간 평균차이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별 변수값 등 부가적인 설명을 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들이 대학 도서관을 활용하는 목적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에게 끼치는 지식이나 정보 그리고 도서관 시설들을 설명하는 데에는 도서요인, 경쟁 및 효율요인, 그리고 지불(무료)요인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자도서관 기능과 지불요인과의 상관성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s of various library functions according to users' points of view. To execute this study, the several 'circumstance', related variables and 'condition' variables that lead to factors or functions of academic libraries were measured.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factor analysis was used on the three multi variable dimensions to ensure that the groups of variables loaded significantly and uniquely on the respective dimensions. The second phase of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lete research models. In the third phase, t-test wa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models. Books, competition & effectiveness and fee verses free (fee-free hereafter) are the three main factors that distinguish not only the purpose of using an academic library but also the degree of influence on knowledge, information and library facilities for the users. In addition, the fee-free factor related to digital library facilities was also uncovered.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도서관의 신축 및 리노베이션을 통한 공간구성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도서관의 전통적 기능인 자료 보존 및 제공 그리고 대학교 구성원의 학습에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자(supporter)의 기능을 넘어서, 공간구성의 변화를 통해 학습과 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조력자(facilitator)의 기능으로의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대학도서관 공간 기능의 변화와는 달리 이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리노베이션이나 신축 전후의 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 혹은 도서관 이용의 변화에 국한되고 있어서, 대학의 비전과 목표를 반영한 도서관의 학습커먼즈(learning commons)로서의 기능을 평가하는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개발과 미래의 공간구성 및 평가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attempting to reorganize their space through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remodeling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university environment. These changes seem to reflect the need for the shift of the university library functions toward the facilitator role of enabling continuous learning and research through space reorganization beyond the traditional supporter role of preserving and supplying library materials and providing learning space and services to university members. Despite all these changes of university library space functions, however, their assessment has been still limited to the library users’ satisfaction and usage changes before and after library building renovation or new construction, calling for the need to develop proper measurement tools for evaluating the library functions as learning commons that reflect university vision and goal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trend of space reorganization practices in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studies of evaluating its effect, in order to develop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pace reorganiz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pace reorganiza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4
김원만(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0, Vol.27, No.1, pp.165-18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1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이 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평가 내용을 다루어 법학전문도서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법학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법학전문도서관의 주 이용계층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법학전문도서관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법학전문도서관의 건물과 시설 그리고 소장자료의 양과 함께 소장자료의 질, 법학도서관 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외적인 면과 함께 법학전문도서관의 내실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and issues for law school library evalu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roles and guidelines for law school libraries to perform its own role and function. To carry out the research,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law librarians. Then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aw school students' demands and behaviors.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d law libraries which were not carried out independently and professionally until now and meaningful as it thoroughly investigated users' demands and behavior with law school libraries and function and roles of law librarians. To facilitate law school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quality of the collections, librarians' role, and users' need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buildings and physical facilities. Particularly, users' needs assessment and librarians' opinion survey will be imperative in implementing evaluation.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29년간의 도서관을 주제로 한 뉴스 기사 37,818 건을 대상으로 양적 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언론 보도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기별, 주제별, 언론사 유형별 기준에 따라 언론 보도의 양적 변화 추이를 분석한 후, 키워드 빈도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시기별 보도 내용의 변화 추이와 기사에 내재된 언론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론은 도서관의 정보제공 기능과 교육적 기능, 그리고 문화적 기능에 주된 관심을 보였으며, 언론의 관심 주제 변화 추이는 사서직 처우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도서관계 이슈의 변화 추이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언론이 도서관 기사 보도에 대해 취하는 주된 태도는 보도기능과 광고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37,818 news articles that were reported on the subject of ‘library’ for 29 years from 1990 to 2018 in order to analyze the tendency of media coverage about ‘library’. First, the quantitative change in media coverag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by time, subject and media type. In addition,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contents of the press and the frames inherent in the p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 showed a major interest in the library’s informational, educational, and cultural functions, and the trend of the subject’s interest wa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at of the library community, except for the issue of librarianship. Lastly, the main attitudes that the media take toward the reporting of library articles were the reporting and advertising functi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기존시스템의 개선과 새로운 시스템의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2011년 12월 현재 등록되어 있는 공공어린이도서관 77개관의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온라인 검색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을 분석하고, 추가로 확인 가능한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분석하였다.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약간 달리하더라도 동일한 유형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어린이도서관의 수를 확인하여 많은 수의 도서관이 사용하는 시스템 유형을 우선적으로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소수의 도서관이 사용하는 시스템이라도 그 특성을 달리하는 시스템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선정된 분석 대상 온라인목록의 유형은 총 7가지이다. 7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 검색방식, 검색결과의 제시화면, 용어 사용상의 문제, 제공하는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atalogs’ interface of children’s libraries, and to propose how to design user-friendly interfaces. The online catalogs of 77 children’s libraries which are registered on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s of December 2011 were analyzed. They are categorized into 7 types based on interface’s characteristics. Such topics as the features of search methods, the record display formats, the terminology usage,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7 types were examined and discussed. Some shortcomings were examined and how to improve them was suggested.

7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0, Vol.27, No.4, pp.193-21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193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the advent of uniquitous life, changes of users’ demands make a public library accomplish roles and functions of a complex service center providing information, education and culture service. As a multi-function center, a public library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physical and digital space in ubiquitous environment. Information commons is a basement of physical space in an u-Library.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ubiquitous environment, design and use of physical space will be a critical issue for a public library to perform its role and function as a multiple complicated space. This study derives facilities and component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commons in a public library as a physical space. To perform the goal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est trends and requirements through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components of facility and principles of design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ons as a physical space in a public library.

8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권나현(명지대학교)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2011, Vol.28, No.4, pp.99-118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핵심 추진과제 운영평가를 통해 전국의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서비스의 국가기관으로서 주력해야 할 기능과 사업 추진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서비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어린이도서관 관장들과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도서관의 기능 및 핵심 수행사업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수행사업 중 ‘전국어린이를 위한 독서진흥사업’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독서진흥프로그램의 가장 필요한 부분은 ‘청소년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강화’와 ‘독서진흥 콘텐츠 개발의 지속적인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자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강사진 확대, 교육형태의 다양화 등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또한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핵심기능인 정책개발과 연구기능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core project operations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ts key functions and project operations pla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for children's librarian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directors of children's librar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verall func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core project operations were rated positively. Among the core projects, ‘Reading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appeared to contribute most, while the most needed areas were contents development and continuous support for the reading promotion program for young adults. In addition, the need for diverse contents development, instructors and education tools were suggested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strengthening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functi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제시한 주제화 모형의 구성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도서관의 운영 패러다임은 논리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 장서 구분 및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화’가 가장 바람직하다.주제화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셋째,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으로는 ‘광역형 주제화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 1) 광역형 주제화의 공간모형은 중앙도서관의 경우 대학생을 위한 ‘학부전용도서관’으로 운영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주로 하는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연구도서관’으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2) 광역형 주제화의 장서 모형은 중앙도서관(학부전용도서관)의 경우 학부생들의 과제 및 학습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한 서지 및 정보제공에 치중하는 방안이다. 기능적 업무담당사서를 배치하고, 주제도서관은 주제담당사서와 기능적 업무담당사서 그리고 주제와 연관이 있는 학과의 대학원생을 조교나 보조학생으로 확보해 서비스를 주제별과 이용자별로 차별화하는 방안이다.

Abstract

Second, the necessity of adopting subject divisional plan is to secure enough subject librarians and large space. These necessities must be fulfiled prior to adopting th e subject divisional plan. rvice of university library is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model'.1)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spa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is programed as undergraduate library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operated as research 2) In central library, the collection model of wide-area subjec t divisional plan is practiced as ofering reference and general education centered data for undergraduate students' study.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furnished with research papers, recent journals, and various ma 3) The human resour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 n is aplicated by aranging apropriate librarians at the right place.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reference librarians and librarians who educate the users and take charge of function are set in to hel Subject library needs to secure subject librarians, librarians who take charge of function,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lated to the subject as student assistant. T he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reference service by subjects and users.

10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2008, Vol.25, No.3, pp.159-17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159
초록보기
초록

사회적 기구로서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제 기능을 다하고 주어진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통적이거나 관습적인 운영보다는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이 실현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전략이란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자료와 서비스의 차별화와 집중화를 통한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의 특성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발전과 현황을 살펴본 후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특성화란 관점에서 자료중심과 서비스중심으로 나누어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나아가 도서관의 특성화 일반에 대한 이해의 증진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s social institution, the public libraries in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re required to adopt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rial strategy, only to function properly and to achieve the given goal. In this context,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mean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library services through differentiation and focus strategy, and should be realized for the efficient library management.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buil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looks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information and library services,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By so doing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libraries as a whol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