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대학 도서관, 검색결과: 168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digital services and have tried to preserve valuabl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digital preservation raises challenges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which we added to the problems to preserving traditional format materials, it is necessary that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must be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risk management for exploring preserving technologies and assessing tools. It is found that most university libraries have used format conversion frequently and do not use the emulation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hat medium refreshing has the lowest risk probability and isk impact, but information migration and emulation technology have the highest in the risk probability and in the risk impact individually and the absence of full-time professional staff causes high risk.

72
심원식(성균관대학교) ; 이은철(성균관대학교) 2013, Vol.30, No.2, pp.245-268 https://doi.org/10.3743/KOSIM.2013.30.2.2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개발된 서비스 품질 모형인 SERVQUAL을 도서관의 실정에 맞게 적용한 ARL(Assoication of Research Libraries) LibQUAL+ 평가 프로그램에 국내 대학도서관 한 곳이 공식 참여한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LibQUAL+ 시행을 위해 영문으로 된 설문지의 번역, 설문 대상자 표본 선정, 설문 버전의 선택 등을 포함한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설문의 시행 결과로 입수되는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 응답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검토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 집단간, 타기관과의 다양한 비교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LibQUAL+ 프로그램은 단순한 설문도구가 아닌 총체적인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시스템이다.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국제화된 평가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설문도구로서 LibQUAL+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은 새로운 평가 및 서비스 개선 노력을 경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입과 관련해서는 개별적인 참여 대신 다수의 도서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를 구성해서 워크샵, 사례발표 등을 통해 한 단계 높아진 평가 활동을 할 수 있다.

Abstract

The paper describes a case study in which Sungkyunkwan University Library participated in the official ARL(Assoication of Research Libraries) LibQUAL+ evaluation program. LibQUAL+ model is based on the SERVQUAL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originally developed in the marketing area. It details a number of processes including translation of the LibQUAL+ survey instrument into Korean, selection of study sample and choice of survey versions. In addition, it offers a number of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data for various comparisons among different user groups and institutions. LibQUAL+ is more that a survey instrument; it a holistic system for assessing library service quality. Despite criticisms on LibQUAL+, we expect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n will benefit from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t is preferable that a group of libraries form a consortium to participate in the LibQUAL+ program as opposed to individual participation. The consortium can function as a learning community through various workshops and sharing activities, thus elevate the overall evalution efforts in Korean libraries to a higher level.

73
최원실(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2019, Vol.36, No.3, pp.109-129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109
초록보기
초록

대학의 재정 악화는 대학도서관 예산 삭감으로 이어지고, 특히 자료구입비 예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호대차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흐름과 같이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KERIS 종합목록의 서지와 상호대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대차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11년에는 대규모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서양서 상호대차의 제공이 이루어졌으나, 2014년 이후 점차적으로 고유장서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주요 권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권역 내 영향력이 증가하는 기관이 다수 출현하였다. 둘째, 2012년에는 서양서 소장 종수가 많고, 공통장서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나, 2016년에는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고유장서의 비중이 높을수록 제공 측면에서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서양서 소장과 상호대차 지수에 의한 계층적 군집 분석에 따른 6개 군집의 대학도서관이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자원공유를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bstract

Since the recent financial crisis in universities has caused the decrease of academic library budget, the resource sharing has been considered by utilizing inter-library loan (ILL) data for solving the financial defici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llection profiles of western monographs’ ILL data among 4-year academic librar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s ILL data from 2011 to 2017 using the bibliographic data and ILL transactions of the KERIS union catalog.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the western monographs was significantly provided by large-scale academic libraries in 2011, however, the extent of major regions expanded, and the number of influential institutions rose in 2016. Second, in 2012, the influence in the ILL network increased in the quantity of western monographs holdings and the proportion of common collections. On the other hand, in 2016, it was also shown that the influence in terms of provision in the ILL network increased in the proportion of unique collections. Lastly, the ILL participating academic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six clusters by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of holdings and ILL index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여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조사된 100개 대학 중 14개 대학만이 온라인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구축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제가이드들은 내용 구성면에서 볼 때 접근성, 포맷의 일관성, 자원통합성 영역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주제 다양화, 이용자 교육, 검색 영역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주제가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신속한 정보자원으로의 접근, 주제 특화된 이용자 교육, 사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원스탑(one-stop) 서비스가 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suggests improvement. Through the examination of 100 academic libraries' Web sites, only 14 online subject guides were identified, showing that the development of online subjects guides in Korea is still in infancy. The examined online subject guides were evaluated as high quality in terms of accessibility, integr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format consistency, but low quality in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ubjects, user instruc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An online subject guide should be a one-stop service that provides fast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along with subject-specialized user instruc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libraria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전자저널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사례조사로서 국내외 6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를 접근, 목록, 이용자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전자저널의 선정 및 구독 현황을 비롯하여 크게 8개 항목으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의 효과적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8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In order to do that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and survey questionaries were conducted. The case studied involved six university libraries, which were analyzed based on accessing, cataloging and user services. Questionaries consisting of forty-seven items in eight parts, including selection and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were distirbuted to the librarians who were in charge of managing electronic journals. Following an analysis on the survey, quideline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of electronic journals were suggest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환경의 품질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서비스스케이프 개념을 이용하여 학습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활동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선행연구 및 심층면담을 통해 청결성, 쾌적성, 편의성, 심미성, 접근성, 유연성의 6개의 학습공간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을 선정하였고, 수도권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청결성, 쾌적성, 편의성과 접근성 요인이 이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이용자 만족은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활동유형은 청결성, 쾌적성 요인과 이용자 만족 관계에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공간으로의 대학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을 높이는 물리적인 환경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space Servicescape on the user satisfaction level and continuance intention and to identify moderating effect of the learning activity. The six Servicescape factors are selected after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cleanliness, comfort, convenience, aesthetics, accessibility, and flexibility. The online survey is given to the university students at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shows that among the learning space Servicescape factors, cleanliness, comfort,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user’s satisfaction response determines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the learning space. It is also found that the factors of cleanliness and comfort have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ult provides methods to develop the space arrangement for university libraries that provide the better-support to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웹페이지의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것으로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전국에 있는 대학도서관 웹페이지를 국립대학교, 사립대학교 및 전문대학으로 나누어 직접 평가해 봄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하고 보완토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전문가집단에게 문의한 자료(Delphi 기법)를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기초적인 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국립대학로, 사립대학교, 전문대학, 수도권소재 대차, 지방소재 대학간에 평가항목별로 유의한 타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 및 교차분석(x²)을 사용했고.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valuate different academic library homepages but to hit upon and suggest a reformation plan for their future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academic library web pages of Korea were divided into three major groups -- those of national universities, private ones, and junior colleges. Their web pages were evaluated using a number of criteria. Also, their circumstances and problems were tried to grasp and the methods to be corrected were suggested in this thesis.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and suggestions and advices from professional groups that is called Delphi method were used as a tool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or a basic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analysing data. Also, t-test, ANOVA, and chi-square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groups or not.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several variables.

78
채현수(연세대학교) ; 전정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2, Vol.39, No.4, pp.127-157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고객화 연구정보서비스 개념을 확립하고,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여 고객화 연구정보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정보서비스와 고객화의 정의 및 유형, 연구 동향 등을 정리하였고, 대학도서관의 연구정보서비스를 유형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 실무자를 대상으로 연구정보서비스 제공 필요성과 고객화 방안 적용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고객화 방안 적용 필요성 측면에서 사서 응답자들의 합의가 도출된 대학도서관 연구정보서비스 항목은 8가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연구정보서비스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새로운 시도를 제안하고, 사서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전문성 및 가치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ustomerize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nd to build librarians’ consensus on the need for customerize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The literature review enabled summarizations of the definition of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ustomerization, and research trends. A categorization process resulted in a list of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The Delphi method survey reveal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nd applying customerization to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opinions of librarians. The librarians agreed on eight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using customerization servi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proposed new attempts to improve and develop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and explored ways to enhance the expertise and value of academic libraries by forming a consensus among librarians.

초록보기
초록

대출데이터는 대학도서관에 축적된 중요한 데이터로서 도서관 장서개발이나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이다. 이 연구는 대출빈도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대출관련지수를 비교분석하여 지수별 특성을 파악한 후 도서관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A 대학도서관의 10개 단과대학별 대출데이터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 지수는 대출빈도, 대출엔트로피, 대출 h-지수, 대출주제차별지수 등 총 4개의 지수이다. 이 지수들을 적용하여 단과대학별 대출현황을 분석하였고 단과대학별로 나타나는 대출주제의 특성을 표하는 각 지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출 엔트로피는 여러 대학이 공통으로 선호하는 주제를 표현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출주제차별지수는 특정대학에서만 특화되어 대출되는 주제를 표현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Circulation data is a key data set of academic libraries in term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service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measures and their feasibility. This study collected the circulation data of 10 colleges in a university and analyzed 4 measures based on the circulation data: circulation frequency, circulation entropy, circulation h-index, and circulation divergence. These measures are to present the circulation topics of each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at circulation entropy tends to present general topics which are popular for many colleges, but circulation divergence tends to present specific topics which are preferred by a specific college.

80
김원만(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0, Vol.27, No.1, pp.165-18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1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이 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평가 내용을 다루어 법학전문도서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법학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법학전문도서관의 주 이용계층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법학전문도서관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법학전문도서관의 건물과 시설 그리고 소장자료의 양과 함께 소장자료의 질, 법학도서관 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외적인 면과 함께 법학전문도서관의 내실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and issues for law school library evalu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roles and guidelines for law school libraries to perform its own role and function. To carry out the research,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law librarians. Then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aw school students' demands and behaviors.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d law libraries which were not carried out independently and professionally until now and meaningful as it thoroughly investigated users' demands and behavior with law school libraries and function and roles of law librarians. To facilitate law school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quality of the collections, librarians' role, and users' need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buildings and physical facilities. Particularly, users' needs assessment and librarians' opinion survey will be imperative in implementing evalua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