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대학도서관 서비스, 검색결과: 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경영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와 국내 사교육시장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경쟁적 요소가 도서관서비스 시장에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은 도서관 입장에서 보면, 소속된 지역과 업무현장에서 자연스럽게 경쟁관계가 성립되어 상호 조직의 발전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도서관 마케팅 측면에서 새로운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 도서관의 ‘영어도서관프로그램’을 새로운 서비스 확장 사업으로써, 마케팅레버리지(marketing leverage)로 활용하여 도서관이 공공기관으로서의 단단한 입지와 도서관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도서관 2곳을 선택하여 장서개발과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통해 모형을 고안,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hanges of university entrance system which is affecting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services, and current situation of private education market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we have several competitive forces that determine library service justification in Korean service environment(market) which has not experienc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elements of private education may drive competition in the book reading service industry. Such elements effectuate serious problems and discourage library service marketing to the user. For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English language collection and reading program model was developed for library marketing strategies(as applying leverag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university library to find out a strategy to stand tall as an institution to lead the university, by reflecting the university environment having with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reflecting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ult, first,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big issu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is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 value of university libraries at the university, and changing spatial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library. Second, university librarians responded that change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ies, various national projects, and various university reform policy significantly affect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rd, about what you think would be helpful to the crisis in their universities as changing role of the library, they responded that they can contribute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and technology literacy, improving students’ reading skills, improving research capacity,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Fourth, they responded that services that users demand the highest in the university library will be expansion of e-books and information resour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전자저널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사례조사로서 국내외 6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를 접근, 목록, 이용자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전자저널의 선정 및 구독 현황을 비롯하여 크게 8개 항목으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저널의 효과적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8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In order to do that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he case studies involved six university libraries, which were analyzed based on accessing, cataloging and user services.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rty-seven items in eight parts, including selection and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were distributed to the libratians who were in charge of managing electronic journals. Following an analysis on the survey, guideline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user services of electronic journals were suggested.

34
이두영(중앙대학교) ; 김희전(가톨릭대학교) 2003, Vol.20, No.2, pp.73-9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73
초록보기
초록

1970년대 후반 북유럽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시작된 서비스 품질 연구는 기업이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서관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면의 모색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인 SERVQUAL과 SERVPERF를 적용하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SERVQUAL과 SERVPERF중 어떠한 방법이 도서관 서비스 평가에 적합한 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민족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Abstract

Research papaers on the service quality, which began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many Northern Europe at the end of 1970, have been found since the companies became much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services they offered. Libraries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situ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a way to develop a competitive strategy to offer a high level of services to those who use libraries. The purpose of study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by applying "SERVQUAL" and "SERVPERF" of evaluating service quality and to determine which of these 2 methods is better in terms of measuring library servic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35
김혜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 민윤경(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1, Vol.38, No.2, pp.305-33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3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발을 위해 대학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여 이용자가 가진 정보요구와 정보행위를 탐색하였다. 질적 데이터의 내용분석 결과, 심층면담 참여자들은 사회, 교육, 연구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적합성, 최신성, 고유성, 신뢰성, 현장성, 편의성’의 6가지 특성을 띠는 심층적 정보요구를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매체와 인적자원, 그리고 장소매체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보행위를 수행하는 가운데, 참여자들의 신분이나 주제분야, 소속대학을 뛰어넘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정보문제로서 ‘개개인의 미디어․정보활용역량 차이, 대학간 자원인프라 격차, 저작권과 소통채널의 문제’ 등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방향성으로 ‘개인화된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서비스, 정보요구 특성에 부합하는 장소매체로서의 도서관, 인적교류장소로서 자원인프라플랫폼, 접근성 높은 정보매체 활용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have six types of information needs such as ‘suitability, up-to-dateness, uniqueness, reliability,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while going through societal, educational, and research-related changes. Interview participants solved their information needs by acquiring the resources necessary for each individual’s task through information behaviors using information media, human resources and the places. Each participant tried to solve his/her information problem through individual efforts based on their different medi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four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y are an personalized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a space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an infrastructure platform for exchanging human resources, and an accessible support service for utilizing information medi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업무의 수행 형태와 요소의 변화를 시대별(도서관1.0, 도서관2.0, 도서관3.0)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업무를 경영관리, 장서개발 및 관리, 자료조직, 이용서비스,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의 5개 직무로 구분한 다음 각 직무별 세부 업무에 대하여 도서관 현장의 중견 사서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업무가 참여, 공유, 개방(도서관2.0 시대)을 넘어서 소셜 네트워크, 시맨틱(도서관3.0 시대)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업무의 수행 형태 및 요소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2.0 시대에서 시작한 모바일, RFID, SNS, NFC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서관3.0 시대에는 이용서비스에 대한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져서 이를 지원하는 도서관 시스템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iod-specific changes (Library 1.0, Library 2.0, Library 3.0 Period) of job factors and performance features in academic libraries. For this, the study categorized an academic library’s job into five dimensions: 1) library administration 2)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3) information organization 4) information services and 5)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nd management, After the categorized library’s job was defined in detail,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librarians and professo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in job factors and performance features in academic libraries towards the period of library 2.0 characterized by user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and into library 3.0 characterized by social network and semantic web. Library 3.0 is likely to bring about a significant change in user services with ever changing technological advances stemming from library 2.0, such as mobile services, RFID and NFC etc. The finding of the study suggest that library systems need to be continually upgraded in the period of library 3.0.

초록보기
초록

1990년도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미국 공공도서관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로 새로운 측면의 도서관 e-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측정 평가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공공도서관의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과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및 서비스 리퍼럴(service referral)과의 관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마케팅 경영 분야에서 서비스 품질 평가의 대표적 모델로 알려진 SERVQUAL과 SERVPERF 그리고 현재 미국 대학도서관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도서관 품질 평가 모델인 LibQUAL+ 모델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4가지 주요 인터넷 품질 평가 요인 및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와 서비스 리퍼럴(service referral)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s the Internet connections and services at U.S. public librari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1990s, defining, assessing and measuring quality of these new electronic services have become a critical issue. This research was a study designed to identify key dimensions of Internet service quality at public libraries by providing a systematic framework for measuring and assessing the quality of Internet services. The study used modified SERVQUAL and SERVPERF instrument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n business marketing areas and LibQUAL+ model which are widely adopted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nstrument in most of the academic libraries in U.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서비스 회복 공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 회복 노력들이 이용자의 만족과 재이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학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45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파악하였다. 첫째,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강할수록 서비스 회복을 위한 공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서비스 회복을 위한 서비스 회복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는 높아진다. 셋째, 서비스 회복의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재이용과 추천 의도는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서비스 실패에 대한 서비스 회복 노력으로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가 다시 찾거나 다른 이용자에게 이용을 권유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formation service failure severity within existing framework of service recovery justice research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attribution of service recoveries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For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45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gather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information service failures of university library. Som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failure severity has negative effect on service recovery justice. Second,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recovery justice has positive effect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Third, service recovery justi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Finally, recovered us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user revisit and mouth of word.

39
김다해(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09, Vol.26, No.3, pp.89-11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래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주제전문서비스를 마케팅의 한 분야인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실제로 이 서비스가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특히 교수진들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이를 통한 마케팅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비스의 실무자인 주제전문사서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서비스 대상자인 교수이용자와의 개별 심층 면접법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대학도서관의 교수이용자와의 관계의 유지 및 심화를 위한 주제전문사서의 요건을 함께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전문서비스의 목적과 특성을 이용자 및 CRM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ttempt to discuss about the subject reference service from a marketing point of view, especially from a perspectiv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and examine how this service actually functions to build the relationships with users of academic libraries, especially with faculty members. To carry out the researc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ubject specialists, and als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aculty members. In addition, we also discuss about characteristics of subject specialist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ulty members in a college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discussed purposes of and characteristics in subject reference service from user' viewpoint and the perspective of CR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여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조사된 100개 대학 중 14개 대학만이 온라인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구축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제가이드들은 내용 구성면에서 볼 때 접근성, 포맷의 일관성, 자원통합성 영역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주제 다양화, 이용자 교육, 검색 영역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주제가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신속한 정보자원으로의 접근, 주제 특화된 이용자 교육, 사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원스탑(one-stop) 서비스가 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suggests improvement. Through the examination of 100 academic libraries' Web sites, only 14 online subject guides were identified, showing that the development of online subjects guides in Korea is still in infancy. The examined online subject guides were evaluated as high quality in terms of accessibility, integr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format consistency, but low quality in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ubjects, user instruc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An online subject guide should be a one-stop service that provides fast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along with subject-specialized user instruc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librarian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