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술정보서비스, 검색결과: 3
1
변영태(홍익대학교) ; 황상규(홍익대학교) ; 정찬기(국방대학교) 2010, Vol.27, No.4, pp.33-4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33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혁명 및 네트워크 기반 정보공유 대중화는 국방 분야 디지털콘텐츠 수를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급격하게 그 수가 증가한 장기 보존된 디지털화된 공공정보 가운데 사용자 본인에게 적합한 공공정보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는 원 자료의 출처 및 생산 시기에 따라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디지털콘텐츠 간에는 많은 상호 연관 관계가 존재한다.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는 공공분야 디지털 아카이브 정보 생산자와 정보 이용자 간의 상호 지식을 명시화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공공정보 검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는 정보 생산자와 정보 이용자 간의 교량과 같은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업무 처리절차에 대한 의미 지식 추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비정형의 업무 활동들로부터 정형화된 비즈니스 서비스로의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 자동화는 실용화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서비스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써 전사적 아키텍처(ITA/EA)로부터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자동화 방안을 제안한다.

Abstract

The growth of IT technology and the popularity of network based information sharing increase the number of digital contents in military area. Thus, there arise issues of finding suitable public information with the growing number of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publ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ource of raw data and the time of compilation may be variable and there can be existed in many correlations about digital contents. The business service ontology makes knowledge explicit and allows for knowledge sharing among information provider and information consumer for public digital archive engaged in improving the searching ability of digital public information. The business service ontology is at the interface as a bridge between information provider and information consumer. However,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semantic knowledge extraction for the business process analysis, it is hard to realize the automation of constructing business service ontology for mapping from unformed activities to a unit of business service.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a new business service auto-acquisition method for the first step of constructing a business service ontology based on Enterprise Architec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정보학분야 학회지인 『정보관리학회지』에 25년 동안에 발표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동향분석을 시도하여 각 시기별 우리나라 정보학분야의 학문적 구조와 그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25년을 1984-1994, 1995-2002, 2003-2009로 나눈 다음, 각 기간별 『정보관리학회지』에 실린 학술논문의 주제를 분석한 후 각 논문의 주제분포, 주제영역별 논문의 증감, 주제영역별 연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논문의 표제어를 이용하여 기간별 정보학의 지적 구조를 생성하였고 세 개의 지적 구조를 비교하여 정보학 연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관리학회지』 연구의 주요 대주제 영역은 ‘정보서비스’, ‘정보조직’ 그리고 ‘정보시스템’이며 소주제 영역은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연구, 자동문헌처리, 도서관통합시스템, 시소러스/온톨로지, 디지털도서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제어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정보학의 핵심영역은 여전히 정보검색이지만 각종 도서관이나 시스템에 활용된 정보기술 기법이나 서비스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이에 대한 주제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 global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information science and to trace its changes in the main research topics over time using trends analysis. The study examined the topic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between 1984 and 2009. Rather than taking a single snapshot of a given point in tim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eries of such pictures in order to identify trends over time. The fairly arbitrary decision was taken to divide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into three ‘publication windows’: 1984-1994, 1995-2002, 2003-2009.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productive areas were ‘Information Service’, followed by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System’. The most productive sub-areas were ‘Library Service’, ‘User Study’, ‘Automatic Document Analysis’, ‘ILS’, ‘Thesaurus/Ontology’, and ‘Digital Library’. From the comparisons of intellectual structures of title keywords, the key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was ‘Information Retrieval’. The studies of IT applications and service system evaluation have been expand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LA의 American Libraries 웹사이트에서 제시한 도서관 서비스 향상과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및 협력 증진에 활용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에 대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25개 대학도서관의 156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0가지 방법에 대한 각각의 필요성과 효과성, 난이성, 발전가능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 중에는 도서관 직원을 위한 지속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제공하기와 이용자에게 맞춤형 개인화서비스 제공하기, 이용자에 대한 도서관 공지사항을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기가 필요성과 효과성이 모두 높다. 둘째, 10가지 방법에 대한 난이도는 이용자에게 맞춤형 개인화서비스 제공하기와 특수주제별 위키 작성하기, 도서관 직원을 위한 지속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제공하기의 순으로 높다. 셋째, 10가지 방법에 대한 발전가능성은 도서관 직원을 위한 지속적 기술훈련 프로그램 제공하기와 도서관 홈페이지의 최신정보를 자동으로 트위터에 전송하기의 순이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academic librarians of ten technological tools as outlined in American Libraries. Towards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56 academic librarians in 25 Korean university librarie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determine both the viability and level of acceptance of the ten technological proposals in question. Conclusions drawn after analyzing the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Customer service can be improved by first drawing up a list of technological skills required for staff members. Methods to develop the cataloging service to more closely match individual user preferences and the use of SMS to send alerts proved to be the proposals, of the ten that were proposed, that not only bore the greatest necessity but also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once they were implemented. 2) Proposals that proved to be the most difficult to implement were: Us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cataloging service to make it more capable of evolving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users; the special event wiki for users; and improvements in customer service arising from identifying and drawing up a list of technological skills required for staff member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