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 analysis, 검색결과: 280
121
강범일(연세대학교)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4, Vol.31, No.3, pp.293-311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29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국내 트위터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CI에서 검색된 2009년부터 2014년 4월까지의 트위터 관련 논문 539편에서 제목, 초록,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해 트위터 관련 연구가 수행된 학문 분야와 저널을 분석하였고,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트위터 관련 연구의 세부 주제 영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트위터 관련 연구는 53개 학문분야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핵심 분야는 신문방송학, 경영학, 컴퓨터학 분야로 나타났다. 세부 주제로는 선거를 비롯한 정치 관련 이슈가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기업/구매 관련 이슈도 활발히 연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esearch trends on Twitter in Korea by informetric methods. All 539 articles on Twitter published from 2009 to the April of 2014 were obtained from the KCI. Only article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by authors were used in analysis. Academic journals in many different disciplines where Twitter articles were produced were analysed by profiling, and then, the subject areas of researches on Twitter were analysed by co-wor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witter-related papers were published in as many as 53 disciplines with journalis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omputer science to be core fields.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re subject areas are political issues and business.

122
이정연(나사렛대학교)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05, Vol.22, No.4, pp.39-5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여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설계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의 현재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여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정보활용능력 웹 평가사이트를 설계하여 학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구성영역을 통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보자원 영역, 정보요구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분석 영역, 정보기술 및 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임을 밝혀내었고, 기초환경 요인, 자가진단 요인, 영역별 요인, 정보활용능력 총점 요인 및 문항분석을 통해 평가설계 요소와 평가절차, 영역별, 수준별 교육 및 평가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정보활용능력의 통합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독서의 달’ 프로그램의 주요 이용자 유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대도시 지역(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의 62개 표본 공공도서관으로부터 9월의 ‘독서의 달’ 프로그램 622개를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조사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법과 크리펜도르프(Krippendorff)의 신뢰계수 알파(α)를 사용하여 이들 프로그램을 지역별로 그리고 이용자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7대도시 각 지역별로 공공도서관이 선호하는 주요 이용자 유형의 순위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는 것과 모든 대도시지역의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중요한 이용자 유형은 어린이 또는 전연령층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in user types of the reading programs which are provided by sixty-two public libraries during September, “the Month of Reading,”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Seoul, Pusan, Daegu, Incheon, Daejeon, Gwangju and Ulsan. For the analysi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622 programs of “the Month of Read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find meanings from it. The findings show,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rder of the main user types among the seven metropolitan cities, however, the children and all ages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are identified as the main user types of the libraries.

124
김홍렬(전주대학교) ; 정경희(충북대학교) 2005, Vol.22, No.2, pp.23-3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구축되고 있는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히고, 이들 문제점을 토대로 정보원으로서의 기능과 평가도구로서의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구축되는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가운데 전문연구정보센터에서 구축하는 참고문헌 DB,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KSCI, 학술진흥재단의 KCI, 대한의학회의 KoMCI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국내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이들 자료는 참고문헌DB 구축을 위한 제도 및 정책, 기술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of reference databases which is constructed from Korea. The object which is used in analysis concludes on KSCI(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of KISTI, KCI(Korean Citation Index) of KRF, KoMCI(Korean Medical Citation Index) of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and reference database of KOSEF. And then, this paper proposes the activation plan for reference database construction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e proposed plan will be able to apply with fundamental data of the system, policy and technical direction for reference database construction.

125
윤성희(상명대학교) ; 백선욱(상명대학교) 2004, Vol.21, No.4, pp.251-263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251
초록보기
초록

질의응답 시스템에서의 질의 분석 과정은 이용자의 자연어 질의 문장에서 질의 의도를 파악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고 정답 추출을 위한 정보를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분류 규칙 집합이나 대용량의 언어 지식 자원 대신 이용자 질의 문장에서 질의 초점 어휘를 추출하고 구문 구조적으로 관련된 단어들의 의미 정보에 기반하여 효율적으로 질의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질의 초점 어휘가 생략된 경우의 처리와 동의어와 접미사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유형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도 제안한다.

Abstract

For question-answering system, question analysis module finds the question points from user’s natural language questions, classifies the question types, and extracts some useful information for answer. This paper proposes a question type classifying technique based on focus words extracted from questions and word semantic information, instead of complicated rules or huge knowledge resources. It also shows how to find the question type without focus words, and how useful the synonym or postfix information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lassifying module.

초록보기
초록

In this digital environment, license contracting and technical protection measure are being used by copyright holders as a means to restrict the rights of information users. The study reviewed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pyright law and the contract law for digital resources the use of which is based on license contracting, and investigated the legal interpretations of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n based on the analysis of IFLA's position on copyright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study suggested the expected role of librarians to cope with the technological overrides of copyright rules and to expand the rights of information users. 攀*** 이 논문은 2003년도 중앙대학교 학술연구지원금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hmirim7@dreamwiz.com)****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leety@cau.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8월 16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8일攀攀

Abstract

127
진주영(명지대학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8, Vol.35, No.1, pp.183-203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183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 정보이용환경이 웹으로 변화하면서, 기록관리기관들도 종전보다 더 많은 서비스를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최근 유입경로와 10년 반 동안 매달 상위 100개의 검색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기록정보서비스방안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유입경로는 크게 포털 사이트별 접속, 국가별 접속, 유사기관별 접속 및 모바일 접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용자들의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이 10년 반 동안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는 ‘토지조사부’였으며, 꾸준한 관심을 갖고 검색한 검색어 또한 ‘토지조사부’였다. 그 외에 정부 기관에서 생산한 문서 또는 관보에 대한 관심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검색어와 꾸준히 등장한 검색어를 파악한 결과, 검색어들을 크게 토지, 일제강점기, 6․25 전쟁과 남북관계, 기록관리 및 이용으로 묶어볼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포털 사이트 및 모바일 등을 활용한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의 연계성 강화와 검색 서비스의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이렇게 웹로그나 이용자 검색어 등을 분석하면 기록관리기관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s the users’ information use environment changes to the Web, the archives are providing more services on the Web than b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users’ recent inflow route and the highly ranked 100 search terms of each month for 10 and half years in the Web site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suggests suitable inform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 inflow route could be divided into access from portal site, by country, from related institutions, and via mobile plat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arch terms of users for the last 10 and half years,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term turned out to be ‘Land Survey Register’, which was also the search term that was searched for with steady interests for 10 and half years. Also, other government documents or official gazettes were of great interests to users. As results of identifying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and steadily searched terms, we were able to categorize the search terms largely in terms of l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and relationship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nd records management and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strengthening connec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Web site with portal sites and mobile, and upgrading and improving search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nalysis of Web log and user search terms would yield meaningful results that could enhance the user services in archives.

128
한수영(안양대학교) ; 최문형(성균관대학교) ; 박미경(성균관대학교) ; 이홍재(안양대학교) 2013, Vol.30, No.3, pp.133-156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SNS 이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SNS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SNS 이용이 결속적 네트워크와 교량적 네트워크라는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주 이용계층인 20~30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였다. 구조방정식에 의한 가설검증 결과, SNS 이용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는 SNS 이용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은 결속적 네트워크, 교량적 네트워크에 각각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SNS 이용 영향요인과 SNS 이용 간에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NS 이용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 간에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과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on SNS us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NS use, (2) to analyze effect of SNS use on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3) to consider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Social network. We conducted a survey for 20-30’s SNS user.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represent that attitude on SNS us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SNS use. SNS use affects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An interesting result was observed that the gender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social network.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129
Soo-Jin Park(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이명희(상명대학교) 2008, Vol.25, No.2, pp.99-114 https://doi.org/10.3743/KOSIM.2008.25.2.09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the privacy concerns in knowledge management in scholarly publications. As theoretical background, understandings of privacy and practices of knowledge management for privacy are discussed. Content analysis of scholarly publications which are limited to the period from 2000 to 2004 is used for examining the awareness.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t much scholarly discussion on the privacy concerns in knowledge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Reasons for the result are identified,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not only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opic but also to bring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discussions of the topic.

130
김태승(경기대학교) ; 이동규(대림대학) 2005, Vol.22, No.4, pp.79-95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0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년제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이용특성을 조사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이용자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문지법과 면접조사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처리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WIN 1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용행태, 검색결과 만족도, 웹 온라인목록의 선호도, 검색어 선정, 문헌정보학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탐색성과 차이, 웹 온라인목록의 이용자교육의 필요성 등에 관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웹 온라인목록 이용 중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어려움을 느끼는 기능들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웹 온라인목록 이용의 효율성을 돕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user's behavior, satisfaction, difficulties and selection of retrieval keywords for the use of Web-based OPAC in the College students. The method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was applied to get the data and processed by using SPSSWIN 10.1. Several research results was proved the hypothesis such as differences between major subject of students in their fields.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nother purpose is to come up with the improvements of functions prompting difficulties and answers to problems found in the Web OPAC, helping them to use the Web OPAC efficientl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