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accessibility, 검색결과: 182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기록관과 박물관은 인류의 문화유산을 수집하여 정리함으로써 당대의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잘 보관하였다가 후대의 인류에게 전승한다는 공통의 사명을 갖고 있다. 이들 문화유산기관은 간행물과 기록물, 3차원 객체 등 상이한 컬렉션 수집의 전통을 기반으로 분화와 전문화를 거듭하며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은 이러한 구분이 더 이상 큰 의미를 갖지 않는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와 집단면담을 통해 도서관, 기록관과 박물관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유산기관 간 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디지털 큐레이션과 디지털 보존 등 원래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할 새로운 책무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bstract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share the common mission of collecting and providing access to cultural heritage for the use of both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Although the evolution of these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have taken place separately, distinguishing publications, records and 3-dimensional objects, it is expected that the pervasive digital environment will not allow the distinction remain effective for long. The present study aims at explor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and illuminating the necessities and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among them.

112
이기영(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3, pp.133-156 https://doi.org/10.3743/KOSIM.2020.37.3.1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VR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강화됨에 따라, 국내 대학도서관 중 V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평가를 통해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VR 서비스의 종류와 현황을 분석한 후, VR 서비스 이용자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이용자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용자 의견과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종합하여 대학도서관에서의 VR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improve the Virtual Reality (VR) service in Korea through the user evaluations of a university library that provide users with VR experiences as a new technolog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s in the VR industry increase and access to technology is strengthened. The kinds of VR service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status of VR services at the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were analyzed. After carrying out user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VR service users,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inions and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방송자료에 대한 지적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뉴스 및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기술을 위한 패싯 분석 기법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랑가나단의 PMEST 기본 패싯에 기반하여, 보도 장르에 적합한 기본 패싯-‘누가’, ‘무엇을’, ‘어떻게’, ‘어디서’, ‘언제’-을 생성하였으며, 보도 장르의 형식적 구조와 내용적 요소를 반영하여 패싯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실제 방영한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패싯이 보도 장르의 맥락적 요소를 잘 표현해주고 있었으며, 패싯의 적용은 특정 방송내용에 대한 식별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tellectual access to TV content using faceted classification. In order to describe the content of news and current affairs programs, a faceted approach was explored. Based on the Ranganathan’s PMEST formula, the basic facets - ‘who’, ‘what’, ‘how’, ‘where’, ‘when’ - and their sub-facets were created, specifically for describing the news genre. Additionally, the formal structure and the contextual features of the news genre were mainly considered for creating sub-facets. These created facets were applied to a news genre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se suggested facets are useful for representing well the contextual components of the news genre. The application of faceted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TV content.

114
김현희(명지대학교) ; 정경희(한성대학교) ; 김용호(부경대학교) 2006, Vol.23, No.4, pp.17-39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17
초록보기
초록

기관 리포지토리는 오픈 액세스 운동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체제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학술 정보 공유 공간으로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 컨소시엄인 dCollection을 2003년에 구성하여 현재 62개의 국사립 대학들이 회원 대학으로 참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도에 구축된 dCollection 평가 모형을 조사 도구로 활용하여, 40개의 대학 기관 리포지토리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dCollection 자료의 등록률 및 이용율 향상에 초점을 맞춰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국가지식정보 유통체제의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Abstract

Building institutional repositories is known as one of powerful methods for realizing the open access movement.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proposed to organize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to a consortium, called "dCollection (Digital Collection)," composed of 62 universities since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40 member universities of dCollection using the evaluation model including 4 categories and 39 indicators, and, based on the survey outcomes, to pinpoint the procedural or performance weak points of the dCollection systems in order to find its customized solution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use and self-archiving rates.

초록보기
초록

XML 웹 문서 포맷은 문헌 내에 내용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논리적인 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어, 검색에서 문서의 내용 뿐만 아니라 구조로 접근하는 것을 제공한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XML 검색에 있어 내용 검색에 추가적인 요소로 사용된 구조적인 제한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실험하기 위해 내용만으로 검색한 결과와 내용과 구조적인 제한을 가지고 검색한 결과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실험은 자체 개발된 단말노드 언어모델기반의 XML 검색시스템을 사용하였고 INEX 2005의 ad-hoc트랙에 참여하여 모든 실험방법과 INEX 2005의 실험 문헌 집단을 사용하였다.

Abstract

XML documents format on the Web provides a mechanism to impose their content and logical structure information. Therefore, an XML processor provides access to their content and struc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tructural hints in the leaf node language model-based XML document retrieval. In order to this purpose, this experiment tested the performances of the leaf node language model-based XML retrieval system to compare the queries for a topic containing only content-only constraints and both content constrains and structure constraints. A newly designed and implemented leaf node language model-based XML retrieval system was used. And we participated in the ad-hoc track of INEX 2005 and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a large-scale XML test collection provided by INEX 2005.

116
한혜영(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Vol.20, No.3, pp.51-79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051
초록보기
초록

납본의 목적은 한 국가 내에서 출판된 문예산출물을 완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것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시행된 납본제도는 인쇄형태의 출판물 혹은 오프라인 형식의 전자출판물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인터넷상의 웹 자원, 전자책 등과 같은 온라인 형식의 전자출판물을 국가차원에서 수집하고 보존할 수 있는 납본제도의 보완과 납본시행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접이다. 본 논고에서는 국내외 납본제도에 있어서의 변화를 전자출판물의 납본절차, 접근, 보존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고 전자출판물 납분을 위해 요구되는 전자출판물 온라인 납본시스템 모델과 시스템 구축시의 기술적, 관리적 측면의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general purpose of deposit is to ensure that the knowledge of the present is not lost to the future. By today the status of legal deposit scheme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Korea is focusing on paper-based publication or tangible electronic publications. Born-digital publications including electronic books should be registered and be deposited for meeting the aims of deposit. This study presents the findings on deposit legislation, deposit arrangement, and accessing methods of networked electronic publications. The study suggests electronic deposit system, and outlines the technical and procedural challenges involved in developing the deposit system.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참고봉사의 현황과 발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직접 접속하여 관찰하고 이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2003년에 수집하였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모두 404개의 디지털참고봉사 사이트에 대하여, 접근수준, 서비스방식, 링크명칭, 서비스정책, 웹폼, FAQ 등 서비스 제공 관련 특성을 분석한 후, 15일간 수행된 질문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도서관, 이용수준, 응답비율, 질문유형 등 서비스 성능을 분석하였다. 서비스 현황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그리고 4년 동안에 걸친 변화가 식별되었으며, 향후 발전을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Abstract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n public libraries, a nationwide site observation was attempted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n compared with the previous analysis based on a 2003 data. For the 404 sites offering digital referenc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ccess level, service mode, link description, policy, web form, and FAQ, are analyzed. 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the presence of question posting, volume of usage, response rate, and types of the questions, for the data collected for 15 days through question and answer transcript recording. Results reveal findings on the present situation as well as changes over 4 years.Related problems are identified. The conclusion includes suggestions for improving digital reference service.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dCollection이 학위논문 수집기로 활용되고 있는데 반해, 일본의 레포지토리는 다양한 학술 컨텐츠를 수집, 보존, 확산하고 오픈 엑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개별 기관의 자발적인 운영 도구로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 통계 DB인 IRDB를 통해 레포지토리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구축된 컨텐츠량, 종별 구축 비율, 그리고 종간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등록된 컨텐츠 특성을 변수로 K-means 군집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일본에 형성된 기관 레포지토리가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의 기관 레포지토리는 교내학술논문, 학위논문, 기술보고서, 의학자료, 학술잡지논문 등 다양한 컨텐츠를 수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컨텐츠의 특징에 따라 5개의 차별화된 군집으로 유형화됨으로써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었다.

Abstract

While dCollections of Korea have been initiated by a government for metadata harvesting,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Japan have been managed as instituion’s independent tool for not only collectiong, archiving and distributing their intellecture assets, but also realizing open access. This study analyzes IRDB of Japanese statistically for understanding feature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by clustering the repository on the basis of types of contents, the differences have been brighten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Japanese repository contains diverse types of contents, such as journal articles, scholarly papers, text books and technical reports. etc. and clustered by five distinguished group with different contents type.

119
남영준(중앙대학교) ; 양지안(중앙대학교) 2010, Vol.27, No.3, pp.307-32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307
초록보기
초록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과 웹 검색엔진의 차별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인터넷의 자원과 학술데이터베이스의 자원을 혼동하고 있다. 특히 구글스칼라와 같은 상업용 검색엔진의 검색속도와 조작 편의성이라는 상대적 장점 때문에 학술데이터베이스가 갖고 있는 학술적 가치와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는 구글스칼라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글스칼라가 갖는 장점을 반영한 메타서치시스템의 특성과 가치를 인터페이스 측면과 전자정보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검색채널로서 메타서치시스템과 이와 연계된 링크리졸버를 이용하는 대학도서관의 이용통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스칼라와 차별화될 수 있는 도서관만의 특징인 이용자 이용행태 패턴과 주제별 전자정보 이용행태를 도출하여 전자정보 서비스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조사하였다.

Abstract

The amount of online scholarly information rapidly expands in numerous resources, while user behavior demands single search box interface like Google Scholar. Despite scholarly values of e-resources libraries provide, users consider Google Scholar as the most efficient research tool attracted by its speed, simplicity, ease of use, and convenience. Characteristics of Metasearch System compared with Google Scholar are analyzed from perspectives of the interface and e-resource. Based on usage statistics of Metasearch System along with a link resolver in one academic library, e-resource accessibility pattern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subject-specific areas are investigated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정보환경 속에서 동일한 내용이지만 형태와 표현 방식이 다른 저작들이 빈번하게 생성되어지자, IFLA는 다양한 매체, 응용 및 기능을 수용하고 이용자의 정보탐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서지정보 기술 권고안인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기관에서 이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탐색, 식별, 선정, 획득하고 또 항해할 수 있게 하는 FRBR 모형 기반의 서지정보시스템을 실험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이러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개발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서지정보 인터페이스 개발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새로운 검색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선보이고 있는 FRBR 모형 기반 서지정보시스템의 전체적 특징을 살펴본 후, 각 시스템이 제공하는 탐색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각각 비교ㆍ분석하였다.

Abstract

New concept of bibliographic data and its scheme are needed to accommodate a change resulting from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electronic publishing, and the advent of networked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FRBR model was developed for defining functions performed by the bibliographic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media, various applications, and various user needs. Several institutions including OCLC and RLG or vendors have tried to implement the FRBR on OPAC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bibliographic interface based the FRBR model.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presentative FRBRized systems and compare the systems regarding on search interface and display interfac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