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정보이용자, 검색결과: 263
111
김은자(일본 규슈대학부속도서관 연구개발실 연구원) ; 남준낭(일본 규슈대학부속도서관 특별연구원) 2009, Vol.26, No.3, pp.395-415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395
초록보기
초록

건축물로서의 도서관을 설계하고 나서, 이용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공간은 어떤 곳일까 하는 테마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과천정보과학도서관을 이용한 이용자의 행동조사결과를 근거로 하여 도서관내의 공간배치 재구성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도서관이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한 도서관 마케팅 관점에서 볼 때 큰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는 일본규슈대학부속도서관(중앙 도서관)의 도서관 이용자 테이블 이용 상황을 조사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도서관 공간배치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libraries to provide their patrons with spaces that are used comfortably. In this paper, first we propose some improvement plans for space organizations of Gwacheon Public Library based on its patrons' behavioral research. It has a big meaning from the view of library marketing, which aims at improving patrons' satisfaction. Then we investigate how study tables are used based on the data taken at Kyushu University Library in Japan. Finally we put some proposals on libraries' space organization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112
곽승진(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고재민(수원과학대학교 융합디자인학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강봉숙(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정택(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2022, Vol.39, No.2, pp.255-273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2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인천글로벌캠퍼스 도서관의 종합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인천글로벌캠퍼스 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현황 및 만족도, 수요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종합운영계획 수립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서의 경우 지속적인 장서 확충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이 필요하며, 특히 전공 관련 장서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들의 연구단계별 맞춤형 정보서비스, 연구자 맞춤정보서비스, 학과전담 연구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연구를 지원해야 하며, 정보활용교육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공간 부분의 경우, IGC 이용자들은 학습 및 연구 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향후 공간 재구성을 통해 이용자들이 원하는 교육 및 관련 공간 개선이 필요하며, 학습 공간 확대와 더불어 토론 및․협업 활동, 세미나, 휴식 등 학생들의 삶과 밀접한 장소로서의 창의 협업 공간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홈페이지 및 정보시스템과 관련하여 홈페이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홈페이지 내에 이용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최신성을 갖춘 자료 확충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국내 전자저널 및 DB 제공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for the Incheon Global Campus Library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st-corona era.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first collection, a mid- to long-term plan for continuous expansion of the collection is required, and in particular, it seems that the expansion of major-related collections is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second service, it is necessary to support users’ research by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customized for each stage of research by users, information services customized for researchers,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for department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programs. Third, in the case of space, IGC users have very high demands for learning and research spac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 and related spaces that users want through space reorganization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creative collaboration space as a plac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students, such as rest, etc. Lastly, in order to activate the homepage in relation to the homepage and inform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first expand the various contents and up-to-date data that users want on the homepag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domestic electronic journal and DB provision plan should be implemented.

113
이화영(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정보서비스실) ; 오상희(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1, Vol.38, No.3, pp.73-99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0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건강정보검색에서 4-50대 중년층의 건강정보 이용경험을 분석하고 건강관심도와 건강정보추구도가 정보향기를 감지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채집이론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실험관찰, 면담조사를 진행하여 이용자의 건강정보 이용경험과 정보검색행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자가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획득에 익숙할수록 인터넷 건강정보 검색주기가 길었으며 가장 많이 검색하는 정보는 질병진단 및 관리를 위한 건강지식으로 나타났다. 중년층의 건강관심도와 건강정보추구도는 건강정보검색에서 정보향기를 감지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건강관심도나 건강정보추구도가 높은 참가자는 텍스트 유형의 비영리, 공공기관의 정보원과 텍스트와 맥락이 맞는 다양한 이미지를 중요한 정보단서로 판단하였다. 또한, 건강관심도나 건강정보추구도에 상관없이 정보게시날짜는 중요 정보단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건강정보 활용교육을 시행하는 도서관이나 평생교육원에서 단순한 지식전달보다 이용자의 건강관심도와 건강정보추구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포털사이트나 건강관련 기관 웹사이트 담당자들은 중년층 이용자들의 건강관심도와 건강정보추구도에 따라 건강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alth information use experience of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50s and to observe and analyze their health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according to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This study uses Information Foraging Theory with the concept of information scents which leads users to detect and collect cues in information searching. Type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cues that middle-aged people use when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Also, how their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ffected using information cues were analyzed. Three methods of research were used; (1) pre-interviews, (2) search experiments, and (3) post-interviews. Thirty-two middle-aged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performance on health information searching was recorded and referred to in the post-interviews using a think-aloud protocol. Findings presented that middle-aged people’s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ffected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scents in health information search; those with high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consider the text made by the government office the most critical information cues. We believ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public libraries or non-profit institutions to understand middle-aged people’s health information behaviors to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information retrieval considering users’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Findings could also contribute to Internet portal site or health-related web site designers developing strategies for middle-aged users to access health information effectively.

114
서은경(한성대학교) ; 손주영(한성대학교) 2012, Vol.29, No.1, pp.351-37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51
초록보기
초록

최근 디지털 기록관리 패러다임 속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기록관 웹사이트는 대학기록을 찾고 활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더욱 더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 웹사이트가 질적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적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내 9개의 대학기록관을 선정한 후, 이들에 대하여 웹사이트 구성 내용분석, 웹사이트가 지닌 기능적 유용성, 사용성 및 정보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그리고 웹표준 준수여부 등 다섯 가지의 각도에서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정보의 이용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학기록관의 소개 및 대학기록 활용성에 대한 홍보와 웹사이트에서의 이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웹사이트의 콘텐츠 빈약함은 이용자의 이용도를 떨어뜨리므로 체계적인 대학기록의 수집과 함께 디지털화하는 작업에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가장 불만족스럽게 나타난 ‘검색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의 검색인터페이스를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웹사이트에 대한 ‘호감도’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대학기록관 웹사이트를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웹사이트는 웹표준을 준수하여 보편적 웹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Recently, the website of university archives is becoming greatly significant to users who retrieve and utilize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This study aims to meta-analyze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in terms of usefulness, usability, information quality, and web accessi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usefulness of university archives website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archives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he digital records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chanels, such as blog, chatting room, digital reference services for activating use of university records. Secondly, university archives make efforts to develop systematic collecting and managing procedures and to build relevant digital collections. Thirdly, the websites of university archives develops more user-friendly interfaces and web design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Finally, the websties of university archives should follow the standards on web accessibility.

115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다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창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윤소현(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9, Vol.36, No.1, pp.247-267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247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향토정보서비스는 낮은 이용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부분 열람 및 대출형태의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향토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인 LibPass (Library와 Pass의 합성어)를 개발하였다. LibPass는 향토자원의 특성들이 LibPass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이용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지역의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정보탐색을 한 곳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즉, 관광자원에 대한 소개는 물론이고, 그 이용을 위한 숙박시설, 체험프로그램, 그리고 특화도서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토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도모하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이 서비스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카드로 일원화되어 제공되므로 전국 어디서나 사용이 편리하고, 공공기관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신뢰성과 최신성을 확보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의 품질 평가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관광정보서비스 앱을 분석하여 LibPass 앱의 개체들을 구성하고 논리적 개체 관계 모델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도서관의 향토정보서비스 이용률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이용자 친화적인 앱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There has been low use of local information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provide, and most of those services are limited only through in-house reading or checkout. Motivated by these issues, the study has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app, hereafter) entitled as LibPass (a combination of Library and Pass) to propose new local information services that reflect the information needs of users. Regarding the design of LibPass, contents of LibPass are composed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esources so that users can easily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local culture and tour resources through mobile app. That is, it aims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s on local resource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ccommodations, outdoor programs, and specialized libraries, as well as introducing tour resources. Above all, the services are provided with a single card issu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is convenient to use anywhere in the country. It not only secures reliability and currency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developed by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provides functions to facilitate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local information of librari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derives the factors of quality evaluation of mobile tour information services; it constructs objects of LibPass application by analyzing existing applications and develops the prototype based on logical entity relationship model. This model can contribute to the increased use of local information services and, promotes the public’s positive perception of the libraries through user-friendly applicati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 이용자 편의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 표준 용어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하여 주요 전문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의 웹페이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웹기반 정보검색시스템에서 사용자 오류와 혼란을 최소화하고 검색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준 용어를 제안하였다. 제안의 기준은 해당 용어의 사용빈도와 의미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검색관련 기본 모듈을 비롯하여 검색범위설정 모듈, 이용자 지원 모듈에서 사용된 용어 가운대 최소 50%이상의 기관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존재하는 용어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웹 기반 검색화면 설계 및 구축 전문가에게 검색 관련 용어선정을 위한 표준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suggesrs the method of standardizing terms for raising the dffectiveness of information retrival. Especiallly for web search, I propose the proper terms which they will use in retriveal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related terms abour information retrieval interface. The proper terms will solve the eqyivocaiton for user and increase the retrieval effectiveness. And I think the proposed terms will be used to standard data for designers who are construct the user interface systems.

117
이세라(광주전남연구원) ; 김지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9, Vol.36, No.1, pp.73-9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07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하여 실제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을 파악하고 전문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연구원 소속 6개의 전문도서관 이용자 111명을 대상으로 LibQUAL+을 기반으로 수정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력품질이 공간품질과 정보품질 보다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서비스 품질 하위변수 중에서는 인력품질의 서비스 태도, 공간품질의 공간 편의성, 정보품질의 정보 유용성이 이용자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자료부족, 디지털 자료의 비활성화, 도서관 공간개념의 환경, 타 기관과의 자료공유 비활성화, 인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service that affects satisfaction of special library user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unction and role of special librar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and interview method conducted with 111 library users in 6 local research institute using modified questionnaires based on LibQUAL+. The results revealed that human quality factor had more influence on library service satisfaction than space and information quality factor.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library service satisfaction and three sub service factors, such as service attitude, space convenience, and information usability. The interviewers indicated problems of special library service in lack of data, inactivation of digital data, space problem, data sharing problem, and lack of expert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service quality of special library of local autonomous entity research institution.

118
이현실(원광대학교) ; 배창섭(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이은주(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한성국(원광대학교) 2009, Vol.26, No.3, pp.47-67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ecosystem of the Library has been radically changing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We are already aware of the digital library due to populariz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we are impressed with Library 2.0 and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 of user-centered, service-oriented library. We summarize the ultimate goal of the evolution of library systems as knowledge services and propose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knowledge services. This local model can be applied for a library framework to harmonize the diverse knowledge resources, active users wit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he innovation of library busines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ies to achieve the missions of library in knowledge-intensive societ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미국에서 발표된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분야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PQDT Global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1,016편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각 논문의 관련 학문 분야를 나타내는 분야명들을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야명 간의 관계와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다른 분야들과 관계가 있는 전역중심성이 높은 분야명을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군집분석을 통해 연관성 높은 분야명들이 어떠한 군집을 형성하는지, 각 군집 안에서 지역중심성이 높은 분야명들은 어떤 것들인지 살펴보았다. 103개 핵심 분야명 키워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최근 5년간 미국의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의 관련 학문분야로는 컴퓨터 관련 분야, 교육 관련 분야,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 외에도 다양한 이용자 집단에 관한 연구와 정보시스템 관련 분야 등을 포함하여 26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개 군집들 중 정보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군집에는 컴퓨터 관련 학문 분야명들이 다수 포함되었고, 도서관학을 중심으로 하는 군집에는 대부분 교육 관련 분야명들이 포함되었으며, 그 외에도 이용자 연구와 관련하여 특정 이용자 그룹과 관련된 젠더연구 분야나 정보시스템과 관련하여 경영학, 지리학, 의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Library Science and Information Science published in the U.S. for the last 5 years. Data collected from PQDT Global includes 1,016 doctoral dissertations containing “Library Science” or “Information Science” as subject headings, and keywords extracted from those dissertations were used for a network analysis, which helps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ssertations. Also, the analysis using 103 subject heading keywords resulted in various centrality measures, including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nd nearest neighbor centrality, as well as 26 clusters of associated subject heading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include computer-related subjects,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and a cluster with information science as the most central subject contains most of the computer-related keywords, while a cluster with library science as the most central subject contains many of the education-related keywords. Other related subjects include various user groups for user studies, and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s such as management, economics, geography, and biomedical engineering.

120
장보성(국립중앙도서관 자료개발과) 2015, Vol.32, No.1, pp.297-31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2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들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도서관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각장애 대학생에게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 총 15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그 데이터를 빈도분석, 교차검증, t-검증,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 대학생의 성별, 학년, 장애등급, 출신학교, 학과, 사용 보장구에 따라 도서관 이용형태(정보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이용횟수, 도서관 이용목적,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 대학생의 사용 보장구의 종류, 출신학교, 장애등급에 따른 정보요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용 보장구에 따른 정보요구(최신 자료 확충, 이용자 교육홍보, 수화통역사, 홈페이지 개선, 열람환경개선)는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출신학교에 따른 정보요구(이용자 교육홍보, 수화통역사 배치)와 장애등급에 따른 정보요구(이용자 교육홍보, 열람환경 개선)에서도 일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This study looks into how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use libraries and what their information needs are in order to prepare basic materials which would be applied for developing a library service program and others proper enough to be used by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a total of 155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and a frequency analysis, a cross validation, a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t the end of its research,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gender, years, degrees of disability, schools, specialties and prosthetic appliances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the students use the libraries. In addition, the study took a look into differences in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needs caused by types of the students’ prosthetic appliances, schools and degrees of disability and found out that these types of the prosthetic appliances the students use would significantly affect every category of their information needs. The study now also understands that both the school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y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few categorie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the former influences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users and arrange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ile the latter affects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users and improvements in browsing environment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