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 검색결과: 42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ith the purpose of enriching existing catalogues with FRBR, which i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in mind,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impact of bibliographic ontology on the overall system’s performance in the field of literature. In doing this, OCLC’s FictionFinder (http://fictionfinder.oclc.org) was selected and qualitatively evaluated. In this study 40 university seniors evaluat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using the ‘transferring thoughts onto paper method’: 1) In which ways is this FRBR-aware bibliographical ontology helpful? 2) Are the things which are initially attempted to be helped being helped? 3) Would users seeking one work in particular also see all other related work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s Cutter claimed in his 2nd rule of the library, collocations give added-value to the users and overall ontology provides better interface and usefulness. It also revealed that a system’s evaluation with qualitative methodology helped to build full pictures of the system and to grip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users when the system is developed. Qualitative evaluations, therefore,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any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102
김영주(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권선영(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3, pp.217-24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3.217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요소가 중요해지면서 메타버스가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고, MZ세대는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 세대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발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언한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방향은 첫째, 메타버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 둘째, 소통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를 장점으로 한 서비스의 제공. 셋째,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메타버스에 대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을 통한 사서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 다섯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다.

Abstract

As non-face-to-face elements became important due to COVID-19, the metaverse received social attention, and the MZ generation became the main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light of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ervices for the MZ generation, the main users of public libraries, and to provide services tailored to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metavers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 and then proposed a method for applying the metaverse to users in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etaverse in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etavers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ommunity based on communication. Third, a program that is not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should be provided. Fourth, services by librarians should be provided by enhancing the librarians’ expertise on the metaverse. Fifth, services for generation M must be provided.

103
권혜진(동아일보)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10, Vol.27, No.4, pp.109-13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자직의 웹 행동 분석을 통해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자직 23명을 대상으로 트랜잭션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분석 대상의 컴퓨터에 웹 트래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였으며, 2주 동안 총 39,860개의 웹 로그가 수집되었다. 세션의 시작과 종료 패턴, 단계별 이행 패턴, 순차규칙 모형이 분석되었으며, 기자직과 일반인의 웹 이용 패턴을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을 사실확인형 탐색, 사실확인형 검색, 조사형 탐색, 조사형 검색 등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 patterns in the news report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by observing their web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ransaction logs collected from 23 news reporters were analyzed. Web tracking software was install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ir PCs, and a total of 39,860 web logs were collected in two weeks. Start and end pattern of sessions, transitional pattern by step, sequence rule model was analyzed and the pattern of Internet use was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analysis of pattern derived a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s that consists of four types of behaviors: fact-checking browsing, fact-checking search, investigative browsing and investigative search.

104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1, pp.45-6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이용을 살펴보고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어린이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55명을 대상으로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 서비스 현황,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일한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 30명을 선정하여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어린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전자책 콘텐츠와 공간 및 시설의 충분한 제공,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전자책 서비스 홍보, 전자책 담당 사서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and to suggest important elements to improve e-book services at the children's libraries. User survey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rom fifty five librarians and thirty children were carried for the perceptions and the use of e-books at five children's libraries. Based upon the data analysis from two groups,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improving e-book services of the librar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providing enough e-book contents, facilities and spaces, developing e-book user education programs with proactive pubic relat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e-books to librarians.

105
성은혜(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수정(전북대학교) 2015, Vol.32, No.4, pp.29-53 https://doi.org/10.3743/KOSIM.2015.32.4.0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도구인 LibQUAL+를 어린이도서관에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시에 소재하는 3개관의 어린이도서관을 이용하는 210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연구대상 어린이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은 3개의 차원, 즉 ‘서비스 영향력’, ‘정보 제어’, ‘장소로서의 도서관’의 차원에서 이용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실제인식치가 최소인식치에도 미치지 못하여 서비스 개선이 매우 시급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영향력’과 ‘장소로서의 도서관’ 차원만이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통계분석 결과와 이용자 의견에 대한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어린이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children’s libraries using LibQUAL+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users’ satisfaction. To do tha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0 users in three children’s libraries located in J city. In three service quality dimensions - ‘Affect of Service’, ‘Information Control’, and ‘Library as Place’ - the users’ perceived service level was less than the minimum service level, which implies that the current services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It was also found that ‘Affect of Service’ and ‘Library as Place’ influenced the users’ satisfac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users’ comments about the library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in the children’s libraries.

106
박지홍(연세대학교) ; 박진희(연세대학교) ; 남은경(연세대학교) ; 이서하(연세대학교) 2013, Vol.30, No.4, pp.93-110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09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During the last decade, increasing use of technology that facilitates information access has changed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 emergence of information commons is one of the key changes. Most previous studies on information commons have focused on its conception and role. Whereas, considering information commons as a spatial servi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mmons on user traffic patterns within the library and perception of the library. As the information commons grew into main library service space and facility,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at influences information commons have on the behavior and recognition of users. Two methods were used. First, observation method was used to record traffic pattern and user behavior. Second, twenty undergraduates and twelve graduate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use and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commons and the libra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traffic patterns were different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facilities influences their movement and behaviors; and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commons tends to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entire library. The findings may help librarians improve and plan for library spaces to meet user demands.

107
지선혜(국립중앙도서관 사서)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2, pp.95-117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095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의 지적․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문화 프로그램의 하나로 전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순회전시 운영 방식과 홍보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순회전시의 이용 정도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책 속 인물에게 보내는 한글 손 편지’ 수상작 순회전시를 연구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여 5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순회전시의 운영 방식에 따라 전시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시 홍보물’과 ‘도서관 홈페이지’는 순회전시 홍보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전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순회전시 효과, 순회전시 평가가 소극적인 이용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순회전시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ublic libraries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for users to meet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needs. Thus, the proportion of exhibitions as one of the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the libraries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operation method and promotion method of traveling exhibition hosted by public librari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us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 of the traveling exhibition. For this purpose, a research program, the traveling exhibition of the award-winning works: the Hangeul Hand Letters to the People in Books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as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85 users from five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traveling exhibition among library use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of traveling exhibition of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promotional material’ and ‘library homepage’ were proven to be a useful way to promote the traveling exhibition. Also, the overall use of library, the effect of traveling exhibition, and the evaluation of traveling exhibition of the users who actively used the traveling exhib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sers who passively used it. Based on the findings, methods to increase the use of the traveling exhibition were suggested.

108
이은희(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1, Vol.28, No.3, pp.377-392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점차 확장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관련 연구나 서비스 제공이 미흡한 공공도서관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함께 e-Contents 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이 기존 정보서비스의 혁신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정보서비스에 대한 또 하나의 접근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users view information services that use today’s rapidly expanding smart phones and what their demands are. The research focus is specifically on public libraries where related studies or the provision of services is still lacking. For this study, users of public libraries were targeted for surveys and interviews. The results that Public library users showed positive views on using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and e-contents service on smart phones. But the users viewed smart phones as another point of access in accessing information services, not as something revolutionary to the existing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109
이용정(성균관대학교) ; 배범준(Georgia Southern University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rts) 2017, Vol.34, No.1, pp.135-154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건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방해하는 요인을 혁신확산이론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의적 표집방법에 따라 비수용자(non-adopters)와 사용 중단자(rejecters)로 구성된 대학생을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44명으로 남학생 32명과 여학생 1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 유익성, 복잡성, 시험가능성 및 관찰가능성 등과 같은 속성은 건강 어플리케이션의 채택이나 지속적 이용을 방해하는 심각한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상대적 불이익과 적합성은 커다란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 어플리케이션이라는 혁신을 확산시키고 지속적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상대적 유익성이나 복잡성을 개선하기 보다는, 상대적 불이익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생활 적합성은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barriers to using mobile health applications bas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The study employed a purposive sampling to recruit college students who were non-adopters or reject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44 students, who consist of 32 males and 12 females, and paper-bas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ttributes such as relative advantages, complex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were not considerable factors of impeding the adoption or continuous use of health applications, whereas relative disadvantages and compatibility were. The study suggests that health application developers and service providers minimize relative disadvantages and enhance compatibility of the innovation with consumers’ life styles, rather than try to improve relative advantages and complexity, to more effectively encourage non-adopters to try and maintain using the innovation.

110
서하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 송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207-226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207
초록보기
초록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우울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본인의 스트레스나 감정 상태에 대해 소셜미디어에 공유한 글을 통해 그들의 심리나 정신건강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하는 맥락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연구 역시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 경향의 이용자와 그렇지 않은 이용자들의 2016년부터 2019년 2월까지의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어떤 주제적, 어휘 사용의 특성을 보이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우울 경향의 시기별로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우울 경향 관측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이전(before) 시기와 이후(after) 시기를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동시출현 단어분석, 감성분석 방법을 통해 우울 경향과 비(非)우울 경향 이용자의 텍스트의 주제적 차이를 살펴보았고, 감성 반응에 따라 사용한 어휘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우울’ 표현을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 수집방법을 통해 비교적 긴 기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었고, 또한 우울 경향의 여부와 시기적 구분에 따른 관심 주제에 대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Depression is a serious psychological disease that is expected to afflict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nd studies on depression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because social media is a platform through which users often frankly express their emotions and often reveal their mental states. In this study, large amounts of Korean tex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such data could be used to detect depression in users.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witter users who had and did not have depressive tendencies between January 2016 and February 2019. The data for each user was separately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depressive tendencies to see how their expression chang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occurrence word analysis,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This study’s automated data collection method enabled analyses of data collect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Also it compar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users with depressive tendencies to those without depressive tendenc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