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searchers, 검색결과: 24
1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윤정(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연구원) 2020, Vol.37, No.1, pp.79-106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079
초록보기
초록

지금까지 도서관에서의 치유적 프로그램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일부로써 독서치유라는 주제로 한정되어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치유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치유적 활동의 유형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도서관과 유사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치유적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상에 따라 다뤄야하는 치유 내용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도서관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유․아동기(0-13세), 청소년(14-19세), 청장년기(20-64세), 노년기(65세 이상)에 맞는 치유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둘째, 치유프로그램 분석 결과로 나타난 도서관, 의료기관과 같이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서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Until now, healing programs in libraries have provided services under the theme of reading therapy as part of the reading cultur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revitalize healing programs in libraries. This study derives the types and themes of healing activities and analyzes the healing activities in libraries and similar institutions. As a result, first, the healing content to be treated varies depending on the subject, so it should be applied to the library in consideration of this. Therefore, a treatment program was proposed for infants and children (0-13 years), adolescents (14-19 years), adolescents (20-64 years), and old age (65 years and over). Second, it proposed a way to operate healing programs through linkage with institutions such as libraries and medical institutions that were show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healing progra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60여 개의 국내․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를 토대로 11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최종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평가지표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크게 지역 사회 개발, 지역 사회의 연계,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역 주민의 평등화,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제공서비스 등의 5가지 평가영역과, 13개 평가항목, 64개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향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and, for this, first of all,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comprehensively about 60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which researched on the value of libraries. On the basis of the derived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11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 three time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five evaluation areas, which are the divided areas of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e linkage of local communities, the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life quality, the equal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information service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13 evaluation items, and 64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it seems that researches to measure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based on this will have to be conducted.

3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노지윤(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 장인호(대진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고재민(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건축학과 부교수) ; 강정아(제천기적의도서관 관장) 2024, Vol.41, No.1, pp.241-26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지역 여건을 조사하고, 전국 공공도서관과 주요 대표도서관의 소장 자료 현황, 이용 현황, 직원 수, 프로그램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 분석을 실시하여 충북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충북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사명은 “지식과 문화의 교차로, 도민의 삶과 동행하며 함께 성장하는 도서관”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gional conditions of Chungcheongbuk-do and the status of collections, usage, staff, and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and major representative libraries. Based on this, a SWO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vision, goal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mission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is presented as “The library that grows alongside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ntersecting knowledge and culture.”

4
곽승진(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고재민(수원과학대학교 융합디자인학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강봉숙(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정택(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2022, Vol.39, No.2, pp.255-273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2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인천글로벌캠퍼스 도서관의 종합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인천글로벌캠퍼스 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현황 및 만족도, 수요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종합운영계획 수립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서의 경우 지속적인 장서 확충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이 필요하며, 특히 전공 관련 장서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들의 연구단계별 맞춤형 정보서비스, 연구자 맞춤정보서비스, 학과전담 연구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연구를 지원해야 하며, 정보활용교육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공간 부분의 경우, IGC 이용자들은 학습 및 연구 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향후 공간 재구성을 통해 이용자들이 원하는 교육 및 관련 공간 개선이 필요하며, 학습 공간 확대와 더불어 토론 및․협업 활동, 세미나, 휴식 등 학생들의 삶과 밀접한 장소로서의 창의 협업 공간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홈페이지 및 정보시스템과 관련하여 홈페이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홈페이지 내에 이용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최신성을 갖춘 자료 확충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국내 전자저널 및 DB 제공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for the Incheon Global Campus Library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st-corona era.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first collection, a mid- to long-term plan for continuous expansion of the collection is required, and in particular, it seems that the expansion of major-related collections is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second service, it is necessary to support users’ research by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customized for each stage of research by users, information services customized for researchers,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for department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programs. Third, in the case of space, IGC users have very high demands for learning and research spac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 and related spaces that users want through space reorganization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creative collaboration space as a plac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students, such as rest, etc. Lastly, in order to activate the homepage in relation to the homepage and inform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first expand the various contents and up-to-date data that users want on the homepag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domestic electronic journal and DB provision plan should be implemented.

5
노영희(건국대학교) ; 최원태(건국대학교) ; 윤다영(건국대학교) 2014, Vol.31, No.4, pp.69-102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교과서전문도서관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교과서전문도서관 및 포털사이트 구축․운영 관련 선행연구 관련사례를 조사․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교과서 관련 정보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종합목록 및 각종 콘텐츠 구축, 소장자료의 디지털화 프로젝트 수행, 교과서관련 각종 참고자료 수집 및 제공, 주제별 교과서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교과서 관련 연구출판물의 통합수집 및 제공, 교과서 관련 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포털사이트의 적극적인 홍보 등이 교과서관련 전문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사업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ach of building a portal site that can offer integrated services for textbook through special librar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investigated textbook portal construction sites domestically and abroad. Based on this research, we developed survey question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users of textbook librar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jects are required for creating a textbook library: a comprehensive list of textbooks and other content construction, digitization projects of library holdings, collection and delivery of various textbook-related reference books, building a textbook database by topic, collecting and providing textbook-related research publications, a cooperation network with textbook-related organizations, and active promotion of portal sites.

6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박미영(서울여자대학교) ; 이재권(동원대학교) 2011, Vol.28, No.1, pp.195-22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9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s public interests and demands on the library space and library goods increase, the role of librarians dealing with this issu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is research develops lists of core and non-core goods in space managements of public libraries, children's libraries, and school libraries. The lists will make the librarian's tasks effective and maximize user satisfaction. For public libraries, the space is divided into nine main areas, and a total of 80-90 goods(50-60 core and 20-30 non-core goods) are identified. The space of children's libraries is divided into four main areas(space for reading, books, entry, and special activities) with a list of 60-70 library goods(30 core and 30-40 non-core goods). School libraries consist of seven distinctive spaces, including spaces for books, multi-media, reading, and teaching, and it requires 90 goods in total(30-40 core and 50-60 non-core go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listing up library good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such tools as guidelines, standards and manuals for space management.

7
김은형(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2023, Vol.40, No.2, pp.81-114 https://doi.org/10.3743/KOSIM.2023.40.2.0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대내․외 환경변화와 정책적 지원방안에 따라 업무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분석된 현장사서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도서관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에 따른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별 기관 내 도서관 위상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도서관 발전계획 중요도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58.3%, 도서관으로서 본연의 역할 수행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술연구활동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중 전문도서관 및 운영평가 인식에서는 국가 공공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확대에 대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5년간 발전전략 중 우선 시행되어야 할 정책으로는 전문도서관 현황 갱신 및 조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넷째, 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 및 개선지표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공기업 평가 항목에서 “기관 도서관 운영 평가” 항목의 가중치 부여가 평균 4.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도서관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전문도서관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학술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pecialized librarians, and the impact on the work area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measures was analyz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library development and policy suggestions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58.3% of the negative opinion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library development plans were positive in recognition of the role of library status within individual institution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it was found that awareness of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was necessar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ajor functions and roles. Third, among the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s, the recogni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operational evaluation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of the expansion of national public information services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ive-year development strategies, the policy that should be implemented first is the preference for updating the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investig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ive alternatives and improvement indicator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in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the weighting of the “institu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item in the evaluation item of public enterprises was the highest at 4.01 on average.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it was recognized as the most urgent task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ized libraries as well as active academic research and support them.

8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오세훈(광운대학교) 2013, Vol.30, No.4, pp.61-9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061
초록보기
초록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S fields, it is essential to have strategies to nurture and utilize those human resources, in relation to supply and demand as well a sound legal foundation supporting those strategies. Such strategies and legal foundation can only be developed from a complete knowledge of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in the LIS and 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therefore, conducted research on the basic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environment, and an overall analysis of related issues, in order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LIS field. This research included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environments that involve social enviro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law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as well as the current requirements of librarians in the field, based on a demand survey of LIS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first, there are three distinguishable factors in LIS employment: a feminization of librarianship, an increase in temporary posts, and a high entering ratio into the library workplace. Second, while there were only little differences in the given tasks between full-time and temporary employees, the differences in salary and welfare were considerably larger. Third, field requirements for librarian education included a mentoring system with field experts, short-term internships, and librarian apprenticeships, while job requirements included internship or apprenticeship, language skills, various license acquisition, and career management. Fourth, librarians with licenses for related organizations held 20% more librarian licenses overall.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서관서비스들을 발굴하고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 도서관 적용가능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을 논하고 있는 주요 논문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기술관련 기사 및 논문 등 미래의 도서관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핵심적인 기술, 개념, 도구는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상황인식기술, 구글글래스, 혁명적 디스플레이기술, 개방형의 연결된 콘텐츠제공방식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나 개념을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o identify digital library services applying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attemp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and services to domestic libraries. To this end, we reviewed main research which discusses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ies, and examined thoroughly main technologies which can be applied to future libraries. As a result, the core technologies, concepts, and tools of the next generation of digital library are: cloud services, space for infinite creating (makerspa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context-aware technologies, Google-glass, a revolutionary display technology, open linked-content-offering method, and so on. Specific cases of libraries already utilizing these technologies are also discussed.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and which direction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5-point Likert scale surveys change their initial responses when they are given an identical second survey after certain treatments. The research employs three identical questionnaires (first, second and third surveys) to analyze survey results based on group differences, kinds of treatment, survey purposes, and response change direction and the degree. This paper concludes that,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specialist groups do not change their initial responses compared to a general librarian group. Second, there are no differences by survey purpose; however, participants tend to change their initial responses by others’ opinions rather than by previous use experiences. Third, participants who initially answered positively tend not to change their responses, and most participants who answered negatively change their initial responses in a positive direction. Fourth, when there are changes, participants change their initial responses by less than two points, and most of them change by one point. Finally, the hypothesis that middle responses change most and that participants who respond at both ends do not change their opinion was rejected by the finding that participants who answered on the negative end tend to change their initial responses in a positive direction.

정보관리학회지